• 제목/요약/키워드: 의류무역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미얀마 의류 무역결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de Intensity of Garments in Myanmar)

  • 배홍균;강신원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7-161
    • /
    • 2017
  • 본 연구는 미얀마 의류산업에 있어 미얀마의 주요 수출대상국인 한국과 일본, 인접국이며 경제제재 이후로 미얀마와 지속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는 중국, 태국을 선정해 의류산업 상호경쟁력을 살펴보고, 주요 의류상품별 무역결합도를 분석해 향후 미얀마 의류산업의 현실을 직시한 경쟁력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한국은 미얀마와 섬유산업에 있어 유사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국가와의 차이점에 따른 미얀마의 장점을 인식하고 한국이 미얀마 섬유산업에 있어 노동인력 양성, 산업관계 강화, 안전시설 강화, 건전한 노사관계 정립등 대책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의류산업으로 발전할수 있어야 한다.

인조섬유 산업에 있어서의 산업내 무역의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Intra-Industry Trade in Man-Made Fibers)

  • 전양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6-57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두가지 인조섬유 산업, 즉 합성섬유 산업(SITC 266)과 재생섬유 산업(SITC 267)에 있어서, 산업내 무역의 결정요인을 조사하는데 있다. 20개의 주요 인조섬유 수출 국가들을 대상으로 1977, 1982, 1987년의 세 시기에 거힉 자료가 수집되었다. 국제무역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산업내 무역 모델이 사용되었고 종속 변인으로 Grubel-Lloyd지수가 사용되었다. 산업내 무역 을 결정하는 독립변인으로는 국가특성 변인, 국가간 변인, 산업특성 변인의 세 종류가 쓰였다. 국가 특성 변인에는 시장규모, 일인당 소득, 자본-노동 비율 변인들이 사용되었고, 국가간 변인으로는 국가간 거리, 인접국경, 공통언어, 동일 경제블럭 변인들이 사용되었다. 산업특성 변인에는 규모의 경제와 제품차별성 변인들이 쓰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비선형자승 방법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일인당 소득과 자본-노동의 비율 변인들은 인조섬유의 산업내 무역에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장규모, 국가간 거리, 인접국경, 규모의 경제, 제품차별성 변인들은 모든 시기에 걸켜 산업내 무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통언어 사용과 동일 경제블럭 변인들도 대부분의 시기에 인조섬유의 산업내 무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제의류사슬 내 수출위치가 섬유 및 의류제품의 미국 내 수출단가에 미치는 영향 (Export Positions in the Global Apparel Commodity Chain and Unit Values of Apparel and Textile Products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 Lee, Eun-Ju;Lee, Kwang-Ba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16-1726
    • /
    • 2002
  • 본 연구는 국제의류사슬 내 수출위치를 단순조립 생산 (Mere-Assembly Production), 주문자 상표부착 생간방식 (Origin Equipment Manufacturing), 고유상표 생산방식 (Original Brand Name Manufacturing)으로 규명하고, 각 국가의 의류사슬 내 수출 위치가 수입 단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1999년 미국Department of commerce의 무역 자료를 사용하여 국제 의류사슬 내 각각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 방글라데시, 홍콩, 한국, 이태리를 비교한 결과, 의류사슬 내 위치에 따라 이들 국가로부터의 섬유 및 의류제품의 미국 내 수출단가가 통계 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양과 서양여자의 인체계측에 의한 치수의 비교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Oriental and Caucasian Females for Sizing Systems)

  • 허갑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
    • /
    • 1985
  • 연구의 목적은 의류생산에 있어서 동양(Oriental women)과 서양여자(Caucasian women: U.S.A)의 인체계측에 의한 치수의 비교를 하였다. 연구자료는 동양여자 100명과 서양여자 970명의 자료로 비교하였다. 동양여자의 인체계측치는 1981년 4월 일본에서 필자에 의해 수집되고 서양여자의 인체계측치는 1976년 11월부터 1977년 2월 미국(U.S.A by the Quartermaster Corps of the United States Army)에서 인체계측을 한 자료이다. 동양과 서양여자의 인체계측치 중에서 각각 32항목을 선출하여 비교된 것은 높이항목과 길이항목(height-related measurements; height and length), 나비항특(surface measurements; breadth and depth) , 둘레항목(measurement of circumference)이다. 32항목을 평균치의 t-test로 동양인과 서양인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다. 그 중에서 머리둘레, 목둘레, 손목둘레, 팔굼치둘레, 손바닥둘레의 항목에서는 동양인이 서양인에 비해서 큰 값을 나타냈다. 그 외에 27개 항목은 동양인이 전부 높거나, 길거나, 또는 큰 값을 나타냈다. 표준편차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서양인자가 동양여자보다 크고, 특히 높이 항목, 길이항목(height-related measurements)이 더 높거나 길다. 이러한 결과로서 동양과 서양여자의 인종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의류생산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것 같다. 이 동양과 서양여자의 인체계측비교에 중요한 요점을 두고 연구한 것은 의류생산과정에 있어서, size설정, 보다 미적인 design, 의복구성을 위한 등등에 고려되겠으나, 특히 미국과 같은 대량생산국에서 동양과의 무역(import or export)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가 될것이며, 나날이 발전하는 우리나라의 의류무역에도 고려되리라 본다. 뒤에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에서 말한 바와 같이 서양과 한국여자의 입체계측비교를 하며 우리나라의 의류무역(수출)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한국 의류무역의 산업내무역 현상에 관한 연구 (Intra-industry Phenomena of Clothing Trade in Korea)

  • 지혜경;이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7-4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tra-industry phenomena of Clothing Trade in Korea. For this purpose, changes of Korean clothing trade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intra-industry trade during the 1990's. Formerly, changes of Korean clothing trade were analyzed by the trade orientation index and that of the trade with each Korean clothing trade partner particularly. secondly, tendency and major determinants of two-way trade or intra-industry trade of Korean clothing trad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trade pattern of clothing in Korea was strong export orientation. Since the mid 1990's, however, this tendency has been weakened. Second, tendency of one-way trade is strong generally. but since the mid 1990's, tendency of intra-industry(two-way) trade increased. The intra-industry(two-way) trade tendency with Hong Kong and China is especially strong. Third, from the viewpoint of determinants of intra-industry trade in clothing industry, the determinant is distance between countries in 1994. Also the determinant is trade tendency of the country in 1999.

  • PDF

한국 수출의류제품의 품목 특성 -1990년대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Export Articles in Korean Clothing Trade -Focused on the 1990's-)

  • 지혜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3-33
    • /
    • 2007
  • Clothing exports of Korea has grown rapidly till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contributing Korean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from the 1990's, the amount, the world market share an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lothing exports have declined. Based on these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xport articles in Korean Clothing Trade focused on the 1990's. Statistical data of clothing articles(SITC 84 : Articles of apparel & clothing accessories) were used. The relative importance, trade orientation tendency and unit price of each export clothing artic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n the relative importance, trade orientation tendency and unit price of each export clothing articles, outer garments or products that required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e.g., coats, suits, ensembles, jackets, dress) had been decreased in the portion and weakened in the export orientation tendency. But one item in a set or casual wear like trousers, skirts, blouses, shirts, Jerseys, pullovers, T-shirts has been increased in the portion and risen in the unit price. These trends means that clothing exports of Korea were more focused on those category an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n those articles were advanced.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can be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concrete clothing export articles strategies of Korean firms.

  • PDF

섬유/의류 산업의 FTA 대응전략 (한-미, 한-중 FTA를 중심으로) (Counterstrategy of Textile/Clothing Industry to FTA (Focusing on Korea-US/China FTA))

  • 김정회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9-148
    • /
    • 2016
  • There is an expanding global network of free trade agreements (FTA). High-quality, comprehensive free trade agreements play an important role to support global trade liberalization and are explicitly allowed under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rules. An FTA is an international treaty that removes barriers to trade and facilitates stronger trade and commercial ties that contribute to increased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participating countries. Korea benefits from the global FTA trend; however it has started and developed FTA negotiations later than other countries. Current FTA agreements exist with Chile, Singapore, EFTA, ASIAN, India, EU, Peru, USA, Turkey, Australia, and Canada; in addition, there are ongoing negotiations with China, Colombia, New Zealand, and Vietnam. FTA open up opportunities for the textile/clothing industry to expand businesses into key overseas markets. FTA improve market access across all areas of trade to help maintain and stimulate the competitiveness of textile/clothing firms. This study examines the expansion of free trade agreements in light of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and the status of the Korean textile/clothing industry. Korea's textile/clothing export/import products and concession of tariff, country of origin covered under Korea-US/China FTA are investigated to identify problem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textile/clothing industry in regards to the Korea-US/China FTA.

개항기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직물 상품의 종류와 무역 특성 -면직물, 견직물, 모직물을 중심으로- (Types and Trade Characteristics of Textile Products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Era -Focusing on Cotton, Silk, and Woollen Cloths-)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70-787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cotton, silk, and woollen products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import trade related to these textile product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Japanese trade statistics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betwee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Several key findings were made from these data. First, at least 24 types of cotton fabrics, 13 silk fabrics, and 16 woollen fabrics imported from Japan were identified. Several types of weaves that can be found in the present day were also identified. Second, the total import of textiles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made up 33.7% of the total imports from Japan, indicating that textiles were an important aspect of import trade with Japan. The value of textile imports from Japan tended to increase overall during this time. Cotton fabrics and silk fabric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continuously, while woollen fabrics showed a trend of gradual increase over repeating periods of increase and decrease. It is apparent from examining the ratio of Japanese and foreign products that cotton fabrics, silk fabrics, and woollen fabric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개항기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의복의 종류와 무역 특성 (Types and Trade Characteristics of Clothes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Era)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90-909
    • /
    • 2022
  •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clothing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era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import trade related to these clothing products. This is a literature study based on trade statistics data and books on Western clothing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Meiji perio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clothing products imported from Japan were divided into 6 types: 1) clothing, 2) undergarments, 3) shirts, 4) waterproof coats, 5) European-style clothing, and 6) nightgowns. "Clothing" is a unified name for any kind of garment, appearing in import records only from 1877 to 1884. Undergarments and shirts were imported from 1884. Waterproof coats were imported only in 1886 and 1898. European-style clothing and nightgowns were imported from 1902. In the total import of clothes, the proportion of clothing was the highest (48.0%), followed by undergarments (41.3%) and shirts (10.6%), while the ratio of nightgowns and raincoats was almost 0%.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the change in the import value of clothes did not show a continuous increase, but rather showed a large stepwise increase over the course of several years.

한국에서의 소싱 - 서울 국제 섬유/의류 무역전에 참여한 바이어 분석을 대상으로 - (Sourcing in Korea - Lessons from an International Textile and Apparel Trade Show in Seoul -)

  • 박혜정;이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02-910
    • /
    • 2007
  • 본 연구는 글로벌 소싱기지로서의 한국 섬유/의류산업의 경쟁력을 모색하기 위하여 회사유형과 국가지역에 따라 해외 바이어들이 한국을 방문하는 목적과 한국에서 소싱하고자하는 품목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섬유산업 연합회가 국제 섬유거류 무역전에 참가한 해외 바이어로부터 수거한 결과인 2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빈도와 ${\chi}^2$-test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을 방문하는 바이어들의 국가지역과 그들이 한국에서 소싱하고자하는 품목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