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 정책

Search Result 1,36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Formulation of Industrial Policy for Nurturing the Bio-medical Sector: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the Bio-medical Complexes of Korea (한국 생명의료산업클러스터 정책형성과정 분석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정책을 중심으로-)

  • Jeong, Y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5.05a
    • /
    • pp.215-221
    • /
    • 2015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식기반산업인 생명의료산업클러스터인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정책의 형성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미래첨단산업육성정책, 국가산업진흥정책 그리고 지역균형발전정책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첨단의료산업 발전정책과 그 산물로서 2005년부터 시작한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건립과정에 대한 경과를 분석하여 그 과정, 절차 그리고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둘러싼 정책형성과정에 대한 분석은 단지 하나의 이벤트나 사건으로 머물지 않고 우리나라의 미래첨단산업정책, 국가신성장동력육성정책, 및 지역균형발전정책 등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분석결과 첨단 의료산업분야의 정책형성 과정은 여러 정책행위자들이 간여하였다. 특히 해당 정책형성과정은 경제발전과정에서 보여준 한국 산업정책 고유특성이 반영된 합리적 행위자로서의 정부역할이 강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분석결과 다양한 정책행위자의 역동적인 역할이 정책형성의 여러 지점에 반영되었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Architecture & Operation Planning of Public Health Services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도시계획지원을 위한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 정립)

  • Kim, Eunseok;Yong, Insuk;Jeong, Daeun;Goo, Gayeon;You,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30 no.1
    • /
    • pp.47-52
    • /
    • 2024
  • 병원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관 별 운영 전략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나 입원 등의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그에 따른 운영 전략이 상이하다. 이러한 병원의 운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건축 역시, 건립 시기, 유형, 중증도에 따른 병원의 규모 등에 따라 시설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최근 정부에서 요구되는 제도 및 정책의 수용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의료법은 기존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신규 의료시설에 대한 설치 및 운영기준이 강화 추세에 있고, 서울시 또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감염관리시설이나 필수의료시설 설치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 중이다. 병원 운영 환경이 상이함에 따라 종합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적용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공익을 위해서 종합의료시설 인센티브제도를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공공의료 기능 확충을 위한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영 기준은 공공과 민간이 모두 만족하는 의료환경 구축을 위해 매우 깊은 고민이 필요했다. 본 논설은 서울시 공공필요의료시설 확충 제도의 주요 내용과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준의 주요 내용을 정립하게 된 배경과 이유 등을 설명하여 본 제도의 의의를 정확히 전달하고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The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Public Health Policies in Nepal - Focus on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Health Workforce and Access to Health Services (네팔 보건의료 정책의 현황과 과제 - 전문 의료 인력의 지리적 분포와 의료서비스 접근성의 관점에서 -)

  • Bu, Hye-Jin;Kim, Yeong-J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2
    • /
    • pp.203-216
    • /
    • 2012
  •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lead to suggestions on public health polic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 services in rural area through analyzing various health programs and health service system, health care facilities. Nepal's public health policy needs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health services as well as accessibility to the services to improve population quality.

  • PDF

Formulation of Industrial Policy for Nurturing the Bio-medical Sector: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the Bio-medical Complexes of Korea (첨단 의료산업분야 정책형성과정 연구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정책을 중심으로-)

  • Jeong, Yong-Il;Kim, Sang-Ta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3
    • /
    • pp.839-860
    • /
    • 2013
  • Drawing on a case of the construction of high-tech medical complex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rocess of policy formuation. Beause the construction of high-tech medical complexes involves various analytic elements, and changes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Kingdon's Policy Stream Framework is employ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anges from the embarkment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Healthcare Industry Innovation (PCHII) in August, 2005, to the enactment of High-tech Medical Complex Special Act in March, 2008. The analysis illuminates that policy formulation from agenda setting to enactment in the area of biomedical industry involves multiple factors and policy streams. An enactment of policy agenda particularly depends on the roles of multiple stakeholders as welll as policy leaders.

  • PDF

A Study on the activity policy for the Medical Industry in the Digital Era : Focusing on the Management Service Organization and Profit-making corporation (디지털시대의 의료산업 활성화 정책 방안 연구 : 병원경영지원회사(MSO)와 영리법인을 중심으로)

  • Kim, Bo-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4
    • /
    • pp.41-50
    • /
    • 2011
  • This study supports the introduction policy of the MSO and Profit-making corporation by reviewing, and is intend to reviewing the analysis of policy measures activation in the digital age. The Medical industry is changing at a fast pace, and it is becoming fierce, In that flow, our nation has been giving efforts to the Medical industry in its bot qualitative growth and quantitative growth. However, we are laggard in our policy to activity such as the MSO and Profit-making corporation. It is true that there exists arguing on introducing market economy into the Medical industry, but we need a sound the activity policy which can extend over those negative perspectives.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Tasks of Medical Interpreter Policy for International Patient in Korea (외국인환자를 위한 의료통역사 정책의 현황과 과제)

  • Chung, Mi 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1
    • /
    • pp.593-602
    • /
    • 2019
  • The healthcare industry, a high-value-added business, continues to grow with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medical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is being pushed by advanced countries. Korea is also actively supporting projects to attract international pati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ior research on Korea's medical interpreter polic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edical interpreter policy for international patients, and presents the task. Problems include insufficient policy control towers, lack of links with local governments, lack of expertise of medical interpreters, poor quality of medical interpreting services, and poor treatment of medical interpreters. As improvement measures,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policy control tower, strengthen the link with local governments, switch to a medical interpreter system, diversify the language of medical interpreting qualification test,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interpreting service, internalize the training process for medical interpreter, give preferential treatment to medical interpreters, utilize the nurse, and train multicultural medical personnel.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Enhancement of Korea medical delivery system : Two policy proposals and healthcare policy making governance (의료전달체계 정립을 위한 두 가지 정책 제안과 보건의료정책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O, Don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340-350
    • /
    • 2016
  • The Medical Service Act of Korea describes a clinic as providing services primarily to outpatients, while a large general hospital provides specialized medical services requiring a high level of expertise for treating serious diseases. The portion of medical revenue for clinics has been decreasing gradually compared with large hospitals. This article proposes two fundamental medical policies to fix the distorted medical delivery system of Korea. Firstly, uniform additional medical remuneration rates based on the type of medial institution should be divided into outpatient additional rates and inpatient additional rates. Secondly, to normalize the function of clinics and large general hospitals, an outpatient medical target budget system should be introduced. Finally, to properly implement the proposal,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healthcare policy-making governance. The suc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strongly depends on the participation and incentives of the government, suppliers, and patients. Healthcare policy-making governance must be designed to encompass this fact and improve quality of care.

The opinions of health-unrelated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on medical personnel of dental hygienists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치과위생사 의료인화에 대한 견해)

  • Jeong, mi-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9-280
    • /
    • 2019
  •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에 대한 찬반의견을 조사하였다.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은 의료인, 의료기사의 구분에 대한 인식 수준,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았고, 40%의 응답자가 치과위생사 의료인화 정책에 찬성하였다. 치과위생사를 단순히 의료인으로 편입시키는 정책보다는 치과의료와 관련된 법률을 제정한다거나 치과위생사 직업의 단독법을 제정하는 등 국민구강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한 체계가 무엇인지 다양한 시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 PDF

Health and Medical Practice Revisited with a Historical Review of Health Care Legislature and Application to Health Policy (보건의료법제의 연혁적 검토를 통해 본 건강과 의료행위 개념의 변화와 정책 적용)

  • Bae, Hyun-A;Kim, Hyo-Sin;Kang, Min-Ah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 /
    • no.44
    • /
    • pp.387-433
    • /
    • 2013
  •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health and medical practice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are the basis of health and medical policy and law. How legislators, policy makers, and the public perceive those concepts defines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and policy making. This study aims to show the changes of the concepts by reviewing the history of major Statutes relating to health and medicine. Alongside medicalization of human conditions and daily activities, the concepts of health and medical practice also expanded. On the other hand, as technologies of health and medicine have specialized and segmented, the large portion of public services of the past is now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We argue that the actual laws and decisions by the judiciary should be responsive to social and scientific changes, which may cause the changes of the perceptions of health and medical practice. By doing so, they not only can have actual legal force but also even initiate a movement for establishing new medical policy or law.

The Political Challeng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of Medical Tourism in Korea (국내 의료관광의 정책적 과제와 제도적 개선방안)

  • Joung, Soon-Hyoung;Park, J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115-118
    • /
    • 2015
  • 최근 평균수명이 증가와 더불어 삶의 질이 중요시하고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하는 인류의 염원은 보건의료라는 보편적 가치에 동반 상승할 수 있는 산업과의 결합이 의료관광이라는 새로운 관광시장을 형성하였다. 의료관광은 시장규모가 1억 달러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또한 외국인을 상대 의료관광은 체류기간이 길고 지출비용도 일반 관광객의 3배 이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공헌을 하는 대표적인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의료관광 추세가 의료서비스를 받으면서 휴양 레저 문화활동을 함께 즐기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측하고 최근 단순 치료 목적이 아닌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 정책적 산업으로서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는 있으나 의료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관련 규정 및 제도적 미비점이 지금의 의료관광 산업에 발맞추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주변 경쟁국에 비해 인식부족과 세계시장에 대한 마케팅 활동 부족 및 의료관광 상품의 다양성 부족 등과 함께 의료관광이 활성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제약이 되는 정책적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에 대한 정책적 과제를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