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 정보 보안

Search Result 35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의료정보공유 서비스의 전송데이터 보안 기술 동향

  • Han, Sung-Hwa;Yang, Hyun-Mo;Lim, Sung-ho;Hong, Jeong-Wook;KIM, Hak-Beom
    • Review of KIISC
    • /
    • v.25 no.5
    • /
    • pp.81-89
    • /
    • 2015
  • 현재 의료기관간의 의료정보 공유는, 상호 협의된 의료기관간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및 HL7(Health Level 7)에서 제시한 표준 Protocol을 사용하거나 각 기관별 별도의 Protocol을 사용하고 있다.[1] 현재의 의료정보공유는 특정 의료기관들 끼리만 이루어지며, 해당 기관 간 전송구간 보안은 대부분 IPSec VPN을 적용하고 있다. 법적으로 요구되는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사전 보안 제휴를 맺은 의료기관들만 의료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는 의료정보교류 범위를 제한하기 때문에 의료서비스의 발전을 보안이 저해하고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의료정보공유 서비스와 의료정보 전송데이터 보호기술을 조사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확인 후 범국가적인 의료정보공유 서비스에 대한 전송데이터 보안 아키텍처의 수립을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외 의료기기 보안위협 사례 및 보안 동향 조사

  • Choi, Seong-Ho;Kwak, Jin
    • Review of KIISC
    • /
    • v.25 no.3
    • /
    • pp.11-18
    • /
    • 2015
  • 정보시스템 산업의 발전은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서 많은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IT 산업이 IoT 환경으로 집중됨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되고 있으며, 다양한 IoT 제품들은 의료기기를 포함한다, 의료 환경에서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의료기기를 통해 환자를 위한 다양한 건강관리 서비스, 생명유지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의료기기에 대한 보안 위협이 부각되면서, 인명 피해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보안 관리 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기에 대한 보안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의료기기 관련 보안 위협 사례를 분석하고, 미국, 유럽, 일본의 의료기기 정보보호 대책 및 국제 표준화 현황을 분석한다.

A Study on the Basis of Telehealth Cybersecurity Standards (원격의료보안표준 기반에 관한 연구)

  • Lee, In Hye;Park, SangSeon;Han, Ke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259-262
    • /
    • 2021
  • 팬데믹 시대를 맞아 전세계적으로 원격의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고, 이에 따라 원격의료의 보안 위험도 급증하고 있다. 원격의료는 각각의 원격의료 참여자가 서로 보안수준이 상이한 물리적 공간에 있으면서 의료행위에 참여하고, IT와 의료기기 비전문가인 개인이 자신의 공간에서 다수의 의료기기를 운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서비스형태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의료와 다른 보안 이슈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특성의 원격의료 보안 위험 대응방안 연구를 위하여 관련 표준을 검토해 보았으나, ISO/IEC 및 미국 NIST의 일반보안 표준으로부터 분기한 의료 일반에 대한 보안표준이나 의료기기 보안 가이드는 존재하지만 원격의료보안을 포괄적으로 정립한 표준을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원격의료보안 표준의 개발이 시급하며, 이를 위하여 원격의료에 대한 용어 정의, 원격의료 참조모델 규정, 원격의료 보안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이와 같은 원격 의료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구성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과 환경적 보안 취약성 및 위협, 보안 요구사항을 정립한 원격의료 보안프레임워크 수립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f Methodology Based on Role-Based Serucity Agent Medical Information System Security Architecture Design (보안 에이전트 역할 기반에 기초한 의료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보안아키텍쳐 설계방안)

  • Lee, Dae-Sung;Noh, Si-Cho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1 no.4
    • /
    • pp.77-83
    • /
    • 2011
  • In addition to the rapid development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medical information, a lot of research is underway. Improve health care services for patients are many ways to help them. However, no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y, if only the technology advances in health care systems will create an element of risk and threat. Today's issues and access issues are stable over a public network. Ad hocsensor network using secure, non-integrated health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vulnerabilities does not solve the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systems to be subject to greater restrictions. Different security policies in an environment with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security policy mechanism that can be resolved if people get here are needed. Context-aware and flexible policy of integration and confidential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resistance should be guaranteed. Other cross-domain access control policy for telecommunications should be protected. In this paper, that the caller's medical information system, diversification, diversification Security agent in the environment, architecture, design, plan, role-based security system are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design work in the field and in the utilization of one model are expected to be.

Meta-Analysis of Healthcar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Effect for Life-care Promotion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의료정보보안 교육 효과 메타 분석)

  • Song, Ji-Young;Lee, Eun-Wo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3
    • /
    • pp.75-82
    • /
    • 2020
  • It is important to secure patient healthcare information in medical institutions. Education can enhance healthcare information security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size of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car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nd healthcare information security practice in medical institution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2010 to July 31, 2019 through DBpia, RISS, NDSL. Four studies were eligible for inclusion in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with R.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arge effect size of correlation with education and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healthcar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in medical institutions and use them as a basis for developing healthcar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programs.

u-헬스케어 서비스에서의 정보보호 기술 동향

  • Yun, Eun-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0
    • /
    • pp.55-65
    • /
    • 2012
  • u-헬스케어 서비스는 개인 의료 정보를 다루는 분야로서 단순한 건강 검진 및 치료의 수준을 넘어 생명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개인 의료 정보 속성은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만약 개인 의료 정보가 불법적으로 노출되거나 악용될 경우 단순한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뿐만 아니라 생명까지도 위협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전한 개인 의료 정보 공유 및 인증방법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며 보안성을 고려하여 u-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개인의 건강 정보에 대한 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의료 서비스기관에 의한 개인 의료 정보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 감사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u-헬스케어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보안 취약점 및 최신 정보보호 기술 동향에 관해 알아본다.

Improvement of security of cloud-based medical image storage transmission systems (PACS) (클라우드 기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의 보안성 향상 연구)

  • Jung, M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672-675
    • /
    • 2015
  • 다른 IT 분야에 비해 헬스케어 IT 분야는 의료정보의 중요성이 매우 높으나 현재 의료정보 보관, 데이터 전송에 대한 보안 부분이 매우 취약하며 보안관리에 대한 인력 또한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향후 클라우드발전법으로 인한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의 환경 변화로 보안에 대한 취약성은 더욱 두드러질 것이며 사고 또한 급증할 것이다. 이에 대한 보안성 향상에 대한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A Building Method of Infrastructure Efficiency under Ad Hoc-based on Network Infrastructure for Medical Information System (Ad Hoc 기반 의료정보시스템의 네트워크 보안 효율성구조 Infrastructure 설계방법)

  • Noh, Si-Choon;Yoo, Seung-Jae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1 no.3
    • /
    • pp.91-98
    • /
    • 2011
  • Med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d hoc network designed for general information systems and information networks have different security requirements. Malicious code infiltration and security features are performed on same medical information network architecture along the route. Security domain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s is the ground of penetration and defense performed over the network architecture and it is also the traffic handling areas separated by a concept of differentiated group. Ad hoc-based medical information systems in the network security domain, set some standards about what should b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 this paper, medical information system network configuration, the determining factor based on the security domain, the structure selection criteria and blocking positionings a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raffic route configuration. If you apply this methodology designed to increase security, efficiency can be possible. Health information systems in accordance with the security domain areas requires differentiated protection needs of the security mechanism that is proposed by this study.

A Study for Security-Based Medical Information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Methodology (의료정보보안 기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방법)

  • Kim, Jeom Goo;Noh, SiCho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3 no.6
    • /
    • pp.35-41
    • /
    • 2013
  • What is an alternative to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of medical information more secure preservation and safety of various types of security threats should be taken, starting from the software design. Interspersed with medical information systems medical information to be able to integrate the real-time ex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must be reliable data communication. The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s and sharing of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issues and communication phase allows the user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reflected in the software design. Software framework design, message standard design, design a web-based inter-process communication procedures, access control algorithm design, architecture, writing descriptions, evaluation of various will procedure the establishing architecture. The initial decision is a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development, testing, maintenance, ongoing impact. In addition, the project will be based on the decision in detail.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method based on the design software architecture of today's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of the framework will be able to provide.

A Design Of Role-base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System REMISS (역할기반 응급의료정보보안시스템 REMISS의 설계)

  • Kim, Hyung-Hoon;Cho, Jeong-R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10
    • /
    • pp.185-195
    • /
    • 2014
  • In this paper, we designed a role-base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system REMISS added the security concept to the existing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Also we suggested a REMISS protocol based on HL7 for using the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The procedure of security consists of user authentication phase and role/permission assign phase in the REMISS. The REMISS can supply proper security service since the REMISS assign proper permissions to each users of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allow the user to access the permitted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by using security information of the REMISS. There are some advantages that REMISS can adapt to the changing of the role of each user by dynamic exchanging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assigning permissions to each u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