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정보

Search Result 3,70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Behavior for Protecting Patient Medical Record of Physical Therapists (물리치료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 실천행위)

  • Lee, I.H.;Park, H.J.;Shin, A.M.;Son, C.S.;Kim, Y.N.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3 no.1
    • /
    • pp.15-2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havior to protect medical record among physical therapists(P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hrough the self-written questionnaires from 69 clinical PTs to understanding to protect patient' medical recor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behavior of PTs was not average 1, but the older PTs and healthier PTs, more protective patient's medical record(p<.01). The revision of PTs' behavior attitude and intention subjective was helpful to improve their behavior to protect patent's medical record.

  • PDF

Design of HL7 Message for HIS Integration of Healthcare Systems (헬스케어 시스템의 HIS 연동을 위한 HL7 메시지 설계)

  • Kim, Min-Woo;Jeon, Jae-Hwan;Kim, Gwan-Hyung;Kang, Sung-In;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183-186
    • /
    • 2010
  •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기술적 발전에 따라 다양한 u-Health 서비스 시스템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u-Health 시스템은 서비스 인프라인 병원, 의료기관의 의료정보시스템 연동을 통한 의료정보활용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HL7 의료정보 표준안은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활용하는 의료정보에 대한 명세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즉 의료정보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요청/제공 받기 위한 HL7 표준 메시지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병원 내 의료정보를 분석하고 적합한 HL7 표준 메시지 구조를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Model for Precision Medicine Hospital Information System(P-HIS)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 정보보호모델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Dong-Won Kim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3 no.1
    • /
    • pp.79-87
    • /
    • 2023
  • Precision Medicine, which utilize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genetic information, clinical information, etc., is growing as the next-generation medical industry. In Korea, medical institution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companies have coll aborated to provide cloud-based Precision Medicine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P-HIS) to about 90 primary medical ins titutions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plan to continue promoting and expanding it to primary and secondary medical insti tutions for the next four years. Precision medicine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health and life, making information protecti on and healthcare information protection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preliminary research on inform ation protection models that can be utilized in cloud-based Precision Medicine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nd ultimately proposes research on ways to improve information protection in P-HIS.

A Study on Standardized Healthcare System based on HL7 (HL7 기반 표준화된 헬스케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Am-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656-664
    • /
    • 2013
  • U-healthcare system supports healthcare service of prevention, diagnosis, medical treatment and currently various medical service systems. Therefore, utilization of medical information thru hospitals, medical agencies is unevitable in this society. However, the standard draft of HL7 which is a standard of medical information does not support specifi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being used currently. Thus, in this paper, we study standard HL7 message system to analyze and adjust the medical information and it will help to utilize efficient medical information and the method is verified to be sufficiently effective.

The Agent Platform in Multi-Agent System Providing Intelligent Medical Information (지능형 의료 정보 제공을 위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에서 에이전트 플랫폼)

  • 최원기;이상욱;김일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445-454
    • /
    • 2000
  • 의료 정보 시스템은 많은 지식과 의료 인력과의 연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의 활용 영역으로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의료 정보 제공을 위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인 MAMI(Multi-Agent system for Medical Image)의 에이전트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대해 기술한다. MAMI는 여러 의료 정보 중 의료 영상을 위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이다. MAMI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는 에이전트 플랫폼을 들 수 있다. 에이전트 플랫폼은 에이전트들이 동작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을 제공해 준다. MAMI는 FIPA(foundation for Intelligent Physical Agent)가 제안하는 관리 모델을 따르고 있다. MAMI에서는 COM(Common Object Model)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인코딩된 ACL(Agent Communication Language)을 메시지 교환에 이용하고 있다. 의료 영역의 특성상 의사와 같은 의료 전문 인력과의 연계는 반드시 필요하다. MAMI는 이를 위해서 의료 인력을 하나의 에이전트로 개념화하여 시스템에 연결한다. MAMI의 에이전트 플랫폼은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와 휴먼 에이전트들이 지식을 공유하기에 적합한 물리적 기반을 제 공해주어 지능형 의료 정보 서비스를 용이하게 해준다.

  • PDF

Study of Information Collection Analysis of Patients's Pain on Web Environment (웹 환경에서 환자 통증부위 정보 수집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Hyun Chang;Xu, Chen Lin;Shin, Seong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37-139
    • /
    • 2013
  • 현대의학의 발전에 힘입어 의료정보의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한의학의 IT를 접목한 정보화는 매우 빠르게 확장 및 향상 되고 있다. 그러나 서양의학에 비하여 한의학의 의료정보 활용은 상대적으로 적은 게 사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 정보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 한의학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는 인체의료정보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환자의 신체 통증부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웹기반 인터페이스 설계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의 환자의 신체 통증부위 정보 획득 설계 방법론을 통해서 한의학의 IT를 접목한 의료정보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을 통한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 of Intelligent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using Personal·Medical Information (개인·의료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 Shim, Jae-Sung;Yun, Sung-Yeol;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981-98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정보접근성의 개선을 위하여 개인 의료정보와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공간정보 서비스를 활용하여 개인 의료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공간 서비스 제공 서버와 식이조절, 맞춤검색, 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보안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모바일 서비스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있어서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Issues of Digital Health Care Medical Information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정보의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 Moon, Yong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7 no.3
    • /
    • pp.17-26
    • /
    • 2022
  • As the well-being mindset to keep our minds and bodies free and healthy more than anything else in the society we live in is spreading, the meaning of health care has become a key par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big data, IoT, AI, and block chain. The advancement of the advanced medical information service industry is being promoted by utilizing convergence technology. In digital healthcare,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cloud is being promoted as a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medical and healthcare industry. In addition, due to rapid development in the converg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various issues such as health, medical care, welfare, etc.,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due to social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the general meaning and current status of digital health care medical information is examined, and then, developmental tasks to activate digital health care medical information are analyzed and review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mprove usability to fully pursue our human freedom.

Necessity for the integration of OCS and PACS (OCS와 PACS 통합의 필요성)

  • Kim, J.W.
    • Korean Journal of Digital Imaging in Medicine
    • /
    • v.6 no.1
    • /
    • pp.69-77
    • /
    • 2003
  • 목적 : 최근 들어 여러 가지 디지털 의료장비와 각종 의료정보시스템, 인터넷의 활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의료정보와 지식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고, 최신의 진료환경구축을 위해서 이러한 지식과 정보들을 통합 관리하려는 필요성과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들은 기존의 종이로 된 차트나 필름 등의 기법에서는 물론이고 여러 가지 독립적인 전산 시스템들 <처방전달시스템(OCS),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등>을 통해서도 충족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왜냐하면 기존에 설치된 의료 정보 시스템들은 대체로 독자적인 처리방식과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의료 정보 시스템간에 정보를 교환한다는 것이 사실상 매우 어렵거나 심지어는 불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 정보들을 최대한 유기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상의 여러 가지 의료 정보 시스템들을 완벽히 통합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러한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이 비로소 진료에 있어서의 의사결정 과정에 중추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의료영상을 다루는 PACS에서는 다른 종류의 의료정보시스템인 OCS(처방전달시스템)와의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병원의 전산시스템이 서로 호환되지 않음으로 인해 OCS/PACS 통합은 PACS 도입과정 중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제까지의 PACS에 있어서는 대량의 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적인 문제에 주로 관심을 기울였으며 기존의 정보 시스템과의 연계 또는 통합문제는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 그 결과 PACS를 도입한 병원에서는 기대와는 달리 PACS 운용을 위한 많은 인력소모가 뒤따르거나 운용에 차질을 빚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까지의 PACS 개발이 기술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향 접근에서 이루어졌다면, 이제부터는 기술적인 해결을 바탕으로 하여 병원내의 임상운용환경에서 그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기 위하여 기존 OCS/PACS의 통합 연계성을 주 관심으로 하는 임상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고 파악된다. 이와 같은 OCS/PACS의 통합은 병원 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진료 과정들에 있어서 문자정보뿐 아니라 영상정보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진료정보의 관리와 전달을 컴퓨터화 함으로써 진료효율을 비약적으로 형상 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모든 병원의 정보시스템이 지향하는 목표이기도 하다. 따라서 OCS/PACS의 통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과 OCS/PACS 통합 방식의 차이점이 분석 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차후 병원에 도입되는 시스템이 안정적이고 완성도 높은 병원 정보화 시스템으로 구축 되어져야 하므로 이에 따른 통합 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ivacy Concern Measurement Tool in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개인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Lee, Kiho;Chung, Youngchul;Han, Kyeongseok;Song, Taemi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3 no.6
    • /
    • pp.197-208
    • /
    • 2014
  • In an information society, privacy prot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thical issues. In medical institutes in which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tored, in addition, a privacy breach can cause a serious damage on personal liv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privacy concern measurement tool in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to measure patients' concern on their medical information from medical service consumers' perspective and verify its validity. For this, privacy concern measurement tool in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fter perform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on the measurement tool,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It appears that the measurement tool would be useful in developing decent privacy protection policy after investigating citizens' concern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d domains they are interested in. For medical institutes as well, they would be helpful in coming up with a reasonable plan after figuring out problems in the protection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and current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