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적 요구

Search Result 94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CT 융합 의료기기

  • Nam, Gi-Chang;Kim, Ho-Cheol;Gwon, Beom-S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2
    • /
    • pp.44-50
    • /
    • 2014
  • 지난 수십년간 의료기기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의료서비스에 이바지하여 왔다. 최근의 기술동향으로는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이 전통적인 진단과 치료 방법에서 새로운 의료서비스의 형태로 진화를 유도하고 있다. ICT 기술과 의료기기의 융합을 통하여 진단, 치료, 의료정보화 및 개인건강관리 분야에 이르기 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고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개선을 추구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자 증가, 의료비상승, 의료진의 부족이 예상되는 미래환경에서 ICT 기술의 기여도는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전세계적인 정보통신망 인프라의 활성화와 개인용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으로 정보와 기기에 대한 접근성이 훨씬 용이해지고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 건강관리에 대한 서비스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ICT 종주국으로서 의료기기 산업에서도 국내기업의 활약을 기대하며 ICT 융합 의료기기의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A Study about Information Demand and Satisfaction of Medical Tourists who Visit Korea: focusing on Chinese and Russian (방한 의료관광객의 정보요구도 및 만족도 연구: 중국인 러시아 인을 중심으로)

  • Jin, Ki-Nam;Cha, Sunmi;Kim, Sun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9
    • /
    • pp.560-568
    • /
    • 2016
  • In Korea, management support has been given at the government level for activities to attract foreign patients. China and Russia ranked on top of the lists for in-bound medical tour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edical tourists in Korea, the demand for inform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their experiences. 100 cases of medical tourists from China and Russia were collected through the mail survey. While Chinese used beauty, skin-care related products, Russian experienced the grocery shopping and wellness related services. Most patients from both nationalities experienced the traditional food in Korea and wanted to know about beauty products. Chinese wanted to get more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Russian. Finally, Russian showed higher overall satisfaction scores than Chinese respondents. If we reflect these results as a contents, it can be useful to attract foreign patients.

The Effect of Waiting Time on a Hospital Image (한국 종합병원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기시간 요인을 중심으로-)

  • Kang, Han Seung;Ko, Jong Weo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1
    • /
    • pp.491-512
    • /
    • 2009
  • The study on waiting time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since Maister (1985). In using medical institutions, especially general hospitals, it is not avoidable to wait for a long time. As a result, the waiting time gives clients psychological stress, which causes medical consumers to be more dissatisfied and decreases their rate of revisit. Accordingly, it is very urgent to study on the waiting time for hospitals' marketing and better image-mak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how hospitals image and clients revisit is influenced by waiting environment and consumers' attitude, variables of waiting time perceived in medical services. Based on this study, those medic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improve their medical service and waiting environment. Accordingly, they should convert waiting time into more efficient and comfortable recess and provide better environment for physical service and effective human services. As those medical institutions have relatively worse image than other businesses, they should actively study on ways of better image-making in the future.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에서의 공공부문의 역할

  • Jo, Hu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7-18
    • /
    • 2011
  •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에 있어서의 공공부문의 역할은 오래된 화두이다. 이번 학회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질병관리와 건강이 갖는 주제 자체의 중요성이다. 건강은 국민의 기본 권리이다. 국민의 기본 건강권을 유지,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의 방향 모색은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주제임이 분명하다. 둘째, 공공보건의료를 전체 인구집단의 건강향상을 위한 총체적 활동으로 볼 때 건강위험요인의 변화와 질병패턴의 변화에 따라 인구집단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내용이 변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논의 당시의 시점에서 요구되는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의 내용을 검토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노력은 주기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최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변화하는 가운데 공공부문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과거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에서는 공공보건의료 기관만을 공공보건의료 수행자로 정하고 있었으나 최근 수행자의 범위를 민간의료기관까지 확대시키는 개정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에따라 공공부문의 역할과 활동의 범위를 검토하는 기회가 필요하겠다. 본 원고에서는 발표자가 국립대학병원의 공공보건의료 활동과 지역사회 단위의 보건사업 활동에 참여하면서 직 간접적으로 경험한 내용을 중심으로 질병관리와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환자 감시 장치의 자동화 전망

  • 김원기
    • 전기의세계
    • /
    • v.34 no.9
    • /
    • pp.562-565
    • /
    • 1985
  • 환자 감시 장치의 변화 추세를 살펴보면 전자공학이 발달 추세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현재 전자공학의 발달은 컴퓨터는 무한대의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전자공학의 의료 분야에서 응용 또한 보다 용이하게 됨으로써 환자 감시 장치의 자동화에 박차를 가 할 수 있다. 의료기기의 발달은 곧바로 자동화를 요구하게 되었고 적은 인원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 할 수 있다는 잇점과 보다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볼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환자의 진료시 편리한 기능과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요구를 국내의 상황과 비교하여 보았을때 의용공학을 전공으로한 전문인력과 적극적으로 장비를 실용화 할 수 있는 기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이 충족 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지면 환자 감시 장치의 자동화 및 국산화와 실용화가 가능해 질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Basis of Telehealth Cybersecurity Standards (원격의료보안표준 기반에 관한 연구)

  • Lee, In Hye;Park, SangSeon;Han, Ke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259-262
    • /
    • 2021
  • 팬데믹 시대를 맞아 전세계적으로 원격의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고, 이에 따라 원격의료의 보안 위험도 급증하고 있다. 원격의료는 각각의 원격의료 참여자가 서로 보안수준이 상이한 물리적 공간에 있으면서 의료행위에 참여하고, IT와 의료기기 비전문가인 개인이 자신의 공간에서 다수의 의료기기를 운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서비스형태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의료와 다른 보안 이슈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특성의 원격의료 보안 위험 대응방안 연구를 위하여 관련 표준을 검토해 보았으나, ISO/IEC 및 미국 NIST의 일반보안 표준으로부터 분기한 의료 일반에 대한 보안표준이나 의료기기 보안 가이드는 존재하지만 원격의료보안을 포괄적으로 정립한 표준을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원격의료보안 표준의 개발이 시급하며, 이를 위하여 원격의료에 대한 용어 정의, 원격의료 참조모델 규정, 원격의료 보안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이와 같은 원격 의료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구성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과 환경적 보안 취약성 및 위협, 보안 요구사항을 정립한 원격의료 보안프레임워크 수립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혼란의 시기에 윤리의 역할 강화하기

  • 한국가톨릭의료협회
    • Health and Mission
    • /
    • s.20
    • /
    • pp.38-40
    • /
    • 2010
  • 윤리적 영역에 대한 인식을 키우는 일은 어떤 결정과 실천이 기관의 정체성 요구와 부합되는지 그리고 실제로 그 같은 행위가 인간 존엄성을 존중하고 그들의 안녕을 진작시키리라는 것을 확실하게 보장해 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demand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요구가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Eunjin;Nam, Seok I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8 no.2
    • /
    • pp.233-266
    • /
    • 2017
  • The problem of excessive job burdens and high turnover rates in the social welfare area has been dealt with for a long time.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s on the issue of voluntary turnover of medical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demands on medical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the medical social workers registered in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188 respondents currently working in hospital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research methods,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22.0 version and SPSS Macro Process v.2.16. Finally, bootstrap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are follows: extrinsic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the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In other words, job demands of medical social workers affect turnover intentions through extrinsic job satisfaction, but there is no direct effect of the job demand on the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intrinsic job satisfact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job demands affected to low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Strategies for Improving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병원전단계 응급의료서비스 고도화 전략)

  • Chai, Seung-Gi;Jang, Dai-Hyun;Lee, Hyun-Woo;Han, Woo-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27-130
    • /
    • 2011
  • 사회가 고령화, 초핵가족화 및 재난취약계층이 늘어나면서 요구호자에 대한 고품질 맞춤형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급성진환, 심뇌혈관 고위험 환자 및 자살 등 예방가능 사망률이 선진국에 비해 높음에 따라 신속하고 전문적인 구조 구급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병원 도착 전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응급의료기관에서는 환자 진료준비를 사전에 할 수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응급환자 진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사회적 인지도가 높은 119번호를 이용한 다양한 복합 응급신고 접수 시 유관기관과 통합적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효율적 응급의료서비스 고도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Life Cycle-Based Association Analysis of Requirements for Risk Management of Medical Device Software (의료기기 소프트웨어 위험관리를 위한 개발생명주기 기반 위험관리 요구사항 연관성 분석)

  • Kim, DongYeop;Park, Ye-Seul;Lee, Jung-W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6 no.12
    • /
    • pp.543-548
    • /
    • 2017
  •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the safety of medical device software has been emphasized because of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oftware among components of the medical device, and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medical device software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and safety of the user. To this end, various standards have been set up that provide activities that can effectively ensure the safety of medical devices and provide their respective requirements. The activities that standards provide to ensure the safety of medical device software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life cycle of medical device software and the risk management process. These two activities should be concurrent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risk management requirements to be performed at each stage of the medical device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are not classified. As a result, developers must analyze the association of standards directly to develop risk management activities during the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device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and risk management process, and extract risk management requirement items. It enables efficient and systematic risk management during the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 software by mapping the extracted risk management requirement items to the development life cycle based on the analyzed associ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