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료적 요구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28초

ICT 융합 의료기기

  • 남기창;김호철;권범선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12호
    • /
    • pp.44-50
    • /
    • 2014
  • 지난 수십년간 의료기기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의료서비스에 이바지하여 왔다. 최근의 기술동향으로는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이 전통적인 진단과 치료 방법에서 새로운 의료서비스의 형태로 진화를 유도하고 있다. ICT 기술과 의료기기의 융합을 통하여 진단, 치료, 의료정보화 및 개인건강관리 분야에 이르기 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고 효율적인 의료서비스 개선을 추구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자 증가, 의료비상승, 의료진의 부족이 예상되는 미래환경에서 ICT 기술의 기여도는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전세계적인 정보통신망 인프라의 활성화와 개인용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으로 정보와 기기에 대한 접근성이 훨씬 용이해지고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 건강관리에 대한 서비스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ICT 종주국으로서 의료기기 산업에서도 국내기업의 활약을 기대하며 ICT 융합 의료기기의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방한 의료관광객의 정보요구도 및 만족도 연구: 중국인 러시아 인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Information Demand and Satisfaction of Medical Tourists who Visit Korea: focusing on Chinese and Russian)

  • 진기남;차선미;김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60-568
    • /
    • 2016
  • 한국은 2009년 의료관광을 국가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하여 외국인 환자 유치활성화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뒷받침을 해왔다. 그 결과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 환자가 증가하였고, 중국과 러시아 환자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환자와 러시아 환자의 한국에서의 체험을 알아보고, 이들이 원하는 정보 요구와 체험한 활동의 만족도를 국적별로 파악하였다. 자료는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 방한하여 의료서비스를 받은 중국, 러시아 국적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유치 등록기관을 통해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험 측면에서는 중국은 뷰티제품이나 피부관련 제품을, 러시아 환자는 식료품 구매나 웰니스 관련 서비스를 더 많이 체험하였고, 두 국적 모두는 한국전통음식을 가장 많이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뷰티 제품에 대한 정보 요구도가 높았으며, 중국인이 한국전통음식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기를 원하였다. 관광 명소 방문경험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그 다음은 의료경험이었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러시아 환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러시아 외국인환자들의 실제 체험, 정보요구, 만족도를 확인하였으며, 추후 이를 반영한 컨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의료관광객 유치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 종합병원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기시간 요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Waiting Time on a Hospital Image)

  • 강한승;고종원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1호
    • /
    • pp.491-512
    • /
    • 2009
  • 대기시간의 연구는 Maister(1985)의 연구이후에 심리적 관점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종합병원 이용 시 장시간 대기시간이 불가피하고, 기다림은 고객에게 심리적 불안 및 부정적 감정으로 다가 올 것이다. 이는 의료소비자들의 불만을 가중시키게 되고, 병원 재방문의 의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병원의 마케팅 및 전반적 이미지 재고를 위해서 대기시간의 연구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의료서비스 시 발생하는 지각된 대기시간의 변수인 대기환경, 소비자태도가 병원의 이미지와 재방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한국 소비자의 대기의 심리적 관점인 태도, 감정들이 의료기관의 환경과 대기시간에 따라 병원의 이미지 및 재방문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될 대기시간의 연구는 고객이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대기가 될 수 있는 대기환경 개선방안과 지각된 대기시간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문제인 기다림을 승화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대안이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대기시간의 고객의 심리적 감정연구가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에서의 공공부문의 역할

  • 조희숙
    • 한국보건행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1년도 전기학술대회
    • /
    • pp.7-18
    • /
    • 2011
  •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에 있어서의 공공부문의 역할은 오래된 화두이다. 이번 학회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질병관리와 건강이 갖는 주제 자체의 중요성이다. 건강은 국민의 기본 권리이다. 국민의 기본 건강권을 유지,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질병관리와 의료서비스의 방향 모색은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주제임이 분명하다. 둘째, 공공보건의료를 전체 인구집단의 건강향상을 위한 총체적 활동으로 볼 때 건강위험요인의 변화와 질병패턴의 변화에 따라 인구집단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내용이 변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논의 당시의 시점에서 요구되는 공공보건의료 서비스의 내용을 검토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노력은 주기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최근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변화하는 가운데 공공부문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과거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에서는 공공보건의료 기관만을 공공보건의료 수행자로 정하고 있었으나 최근 수행자의 범위를 민간의료기관까지 확대시키는 개정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에따라 공공부문의 역할과 활동의 범위를 검토하는 기회가 필요하겠다. 본 원고에서는 발표자가 국립대학병원의 공공보건의료 활동과 지역사회 단위의 보건사업 활동에 참여하면서 직 간접적으로 경험한 내용을 중심으로 질병관리와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에 있어서의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환자 감시 장치의 자동화 전망

  • 김원기
    • 전기의세계
    • /
    • 제34권9호
    • /
    • pp.562-565
    • /
    • 1985
  • 환자 감시 장치의 변화 추세를 살펴보면 전자공학이 발달 추세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현재 전자공학의 발달은 컴퓨터는 무한대의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전자공학의 의료 분야에서 응용 또한 보다 용이하게 됨으로써 환자 감시 장치의 자동화에 박차를 가 할 수 있다. 의료기기의 발달은 곧바로 자동화를 요구하게 되었고 적은 인원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 할 수 있다는 잇점과 보다 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볼수 있다는 점으로 인해 환자의 진료시 편리한 기능과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요구를 국내의 상황과 비교하여 보았을때 의용공학을 전공으로한 전문인력과 적극적으로 장비를 실용화 할 수 있는 기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이 충족 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지면 환자 감시 장치의 자동화 및 국산화와 실용화가 가능해 질 것이다.

  • PDF

원격의료보안표준 기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s of Telehealth Cybersecurity Standards)

  • 이인혜;박상선;한근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59-262
    • /
    • 2021
  • 팬데믹 시대를 맞아 전세계적으로 원격의료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고, 이에 따라 원격의료의 보안 위험도 급증하고 있다. 원격의료는 각각의 원격의료 참여자가 서로 보안수준이 상이한 물리적 공간에 있으면서 의료행위에 참여하고, IT와 의료기기 비전문가인 개인이 자신의 공간에서 다수의 의료기기를 운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서비스형태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의료와 다른 보안 이슈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특성의 원격의료 보안 위험 대응방안 연구를 위하여 관련 표준을 검토해 보았으나, ISO/IEC 및 미국 NIST의 일반보안 표준으로부터 분기한 의료 일반에 대한 보안표준이나 의료기기 보안 가이드는 존재하지만 원격의료보안을 포괄적으로 정립한 표준을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원격의료보안 표준의 개발이 시급하며, 이를 위하여 원격의료에 대한 용어 정의, 원격의료 참조모델 규정, 원격의료 보안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이와 같은 원격 의료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구성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과 환경적 보안 취약성 및 위협, 보안 요구사항을 정립한 원격의료 보안프레임워크 수립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혼란의 시기에 윤리의 역할 강화하기

  • 한국가톨릭의료협회
    • 헬스앤미션
    • /
    • 통권20호
    • /
    • pp.38-40
    • /
    • 2010
  • 윤리적 영역에 대한 인식을 키우는 일은 어떤 결정과 실천이 기관의 정체성 요구와 부합되는지 그리고 실제로 그 같은 행위가 인간 존엄성을 존중하고 그들의 안녕을 진작시키리라는 것을 확실하게 보장해 줄 수 있다.

  • PDF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요구가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demand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 이은진;남석인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233-266
    • /
    • 2017
  • 사회복지 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과도한 업무 부담과 높은 이직률 문제는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으나, 의료사회복지사의 이직 문제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에는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의료사회복지사 중 현재 병원에서 근무 중인 188명의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가 직무만족을 거쳐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경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로 이어지는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직무요구 개선을 위한 대한 조직적, 제도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병원전단계 응급의료서비스 고도화 전략 (Strategies for Improving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 채승기;장대현;이현우;한우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27-130
    • /
    • 2011
  • 사회가 고령화, 초핵가족화 및 재난취약계층이 늘어나면서 요구호자에 대한 고품질 맞춤형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급성진환, 심뇌혈관 고위험 환자 및 자살 등 예방가능 사망률이 선진국에 비해 높음에 따라 신속하고 전문적인 구조 구급서비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병원 도착 전 환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응급의료기관에서는 환자 진료준비를 사전에 할 수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응급환자 진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또한 사회적 인지도가 높은 119번호를 이용한 다양한 복합 응급신고 접수 시 유관기관과 통합적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효율적 응급의료서비스 고도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QoS(Quality of Service) 측정 모델을 참조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소프트웨어 품질만족도 평가체계 (A Study of Smart Healthcare Services Software Quality Satisfaction Rating System based on QoS(Quality of Service) Measurement Model)

  • 노시춘;송은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49-154
    • /
    • 2014
  • 품질은 양(Quantity) 이나 질(Quality)로 관찰하여 수치로 측정 할 수 있는 서비스 특성이다. QoS란 트래픽이 통신망에서 전달되면서 예측 가능하면서 동시에 최소한으로 보장되어야할 서비스 요구사항이다. 스마트 의료정보시스템 개발에는 스마트 환경에서 기능적 요구사항과 품질을 만족시켜야 할 목표가 존재한다. 스마트 의료정보시스템의 기능도메인은 Patient Module 도메인, 스마트 환경 도메인, RFID Tag와 리더기 간 동작 도메인, Homecare Station 도메인, Clinical Station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각 도메인에서 수행되는 유헬스 서비스 스마트 기능 품질만족도 평가 방법론을 제시한다. QoS 측정기준은 의료정보의 기능적 요구 사항과 품질 요구사항 별로 구분된다. 품질측정 파라메타는 기능적 요구사항 6개 항목과 20개 세부항목이며 품질 요구사항은 5개항목과 20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다. 품질평가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형 스마트 의료 정보 품질평가 매트릭스로 2-factor 평가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품질평가 프레임워크는 모든 스마트 의료정보시스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의료정보 특유의 품질에 대한 기준을 체계화하고 품질평가 절차를 모델화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