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시설 재편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Strategies of Korean Healthcare Facilities for Reinforcing it's Competition Power in the Emerging Global Healthcare Market (의료복지 분야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의료시설재편 및 그 실행방안에 관한 전략적 연구 - 광주, 전남지역의 의료현황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

  • Choi, Kw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0 no.2
    • /
    • pp.59-70
    • /
    • 2004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re-structuring strategies of healthcare facilities in Kwang-ju and Jon-nam province for it's competition power in the emerging global health care market. Kwang-Ju city and Jon-nam province have had difficulties in building a balanced healthcare system because of rapidly declining population, weakened healthcare infra-structure and geographical problems of healthcare supply by numerous islands. Now, Kwang-Ju city and Jon-nam province try to be a core place of economy and culture in the west-south asia. To do so, it is fundamentally necessary to reform their current social structure including healthcare system in large scale.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healthcare environment in these areas.

  • PDF

Research on the Trend of Welf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cility Reorganization in Japan - Focused on Medical-type Facilit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일본의 장애아를 위한 복지의 동향과 시설재편에 관한 연구 - 의료형 장애아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 Bae, Minjung;Takemiya, Kenj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5 no.3
    • /
    • pp.67-74
    • /
    • 2019
  • Purpose: In 2012, the Child Welfare Act was revised to provide better support to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n Japan. Previously, inpatient facilities had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ies of patients. After the revision of the Act, however, these facilities were assigned into the category of "medical-type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welfare-type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reorganization of the Child Welfare Act and to analyze the new layout of Center K after its transition from a facility for children with motional disabilities to a medical-type facilit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rend in the treat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in Japan.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twice in 2015 and 2016, before and after the renovation of the Center K facilities depending upon the revision of the Child Welfare Act. Result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of the popul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Japan, and the severity level of disabilit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case of Center K, two types of ward constructed to meet the two types of disability has been reconstructed into three types of unit following the various severity level of disability. Implications: As a result, it could be argued that it is also necessary in Korea to reorganize th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deal with the fact that the popul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has been growing and their degree of disabilities also getting severe.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and Planning Strategies for Regional Healthcare Facilities in K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광주, 전남지역의 의료시설 재편 및 그 실행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Kw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1 no.1
    • /
    • pp.43-54
    • /
    • 2005
  • This study is a second paper of the re-structuring strategies of healthcare facilities in Kwang-ju and Jeon-nam province for it's competition power in the emerging global health care market. K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have had difficulties in building a balanced healthcare system because of rapidly declining population, weakened healthcare infra-structure and geographical problems of healthcare supply by numerous islands. This paper presents the new approaching process for re-building healthcare network in the regional healthcare facilities planning. In addition, it analyzes health planning index, healthcare system, the concept of health care networking, etc. Finally, this presents the case study of regional healthcare facilities planning in K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 PDF

Smart Healthcare: Enabling AI, Blockchain, VR/AR and Digital Solutions for Future Hospitals (스마트 헬스케어: 미래 병원을 위한 AI, 블록체인, VR/AR 및 디지털 솔루션 구현)

  • Begum, Khadija;Rashid, Md Mamunur;Armand, Tagne Poupi Theodore;Kim, Hee-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6-409
    • /
    • 2022
  •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s in technologies, such as AI systems, Blockchain, VR/AR, 3D printing, robotics, and nanotechnology, are reshaping the future of healthcare right before our eyes. And also, healthcare has seen a paradigm shift towards prevention-oriented medicine, with a focus on consumers requirements.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have altered the definition of healthcare and treatment facilities, necessitating immediate action to redesign hospitals' physical environments, adapt communication models to address social distancing requirements, implement virtual health solutions, and establish new clinical protocols. Hospitals, which have traditionally served as the hub of healthcare systems, are pursuing or being forced to reestablish themselves against this landscape. Rather than only treating ailments, future healthcare is predicted to focus on wellness and prevention. In personalized care, long-term prevention strategies, remote monitoring, early diagnosis, and detection are critical. Given the growing interest in smart healthcare defined by these modern technologies,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finitions and service kinds of smart healthcare. The background and technical aspects of smart hospitals were also explor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 PDF

Accessability Analysis by Using QGIS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Small Town - Case of Cheongdo Gun in Gyeongsang Bukdo - (QGIS를 활용한 소도시 고령자 생활편의시설 접근성 분석 - 경상북도 청도군을 대상으로 -)

  • Son, Sungum;Kim, Hocheol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6 no.2
    • /
    • pp.37-49
    • /
    • 2020
  • Currently, the average aging rate has reached 14.8% in our country, despite the residents are aging or over the average aging rate has reached 31.8%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100,000.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the town center, causing inconvenience to u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essability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in this area. This study builds on the population aging of the research target area and distribution of liv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based on MDIS data of the regional survey of the National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QGIS was used to visualize the status of the elderly, distribu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hot spot maps, and distance analysis, and also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and distance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the area where the elderly lived a lot was located in a location that caused severe inconvenience to the use of the elderly.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change facilities type and spatial reorganization by raising the need for space policy change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lderly convenience facilities, reflecting the serious aging of small towns such as the study area.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 (여성과 어린이 건강문제와 증진방안)

  • Park Jeong-Ha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7b
    • /
    • pp.3-17
    • /
    • 2002
  • 국민건강은 국가발전의 기본조건이다. 국민건강은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에서 비롯되고,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을 위하여 여성이 건강해야 한다 따라서 여성과 어린이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모자보건사업은 국가보건사업 중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은 1960대부터 보건소를 통하여 가족계획, 산전관리, 안전분만유도, 예방접종을 중심으로 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전국민의료보험의 실현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산전관리 수진율과 시설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에는 거의 100%에 도달하였고, 가족계획실천율도 1991년에 79.4%까지 증가하여 합계출산율이 1.6으로 감소하였고, 어린이 기본예방접종률도 90%이상이 되어 전염병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통적인 모자보건사업 관련 지표들이 이렇게 향상되자 일선 보건요원에서부터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권자에 이러기까지 모자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중앙부처의 모자보건업무 담당 부서도 축소되고, 모자보건 사업도 쇠퇴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와 여성의 건강실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심각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시설 분만율의 증가에 따라 제왕절개분만율이 40%대까지 급증하였고, 모유수유률은 10%대로 떨어졌다. 어린이의 체격은 커지고 있으나 체력은 떨어지고, 비만한 어린이가 급증하여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유병률이 어린이들에게 증가하고,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과 장애가 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율과 음주률이 증가하고, 성적 성숙이 빨라지고 사회의 개방풍조로 성(性)활동 연령이 낮아지고 성활동이 증가하여 혼전임신과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은 일찍 단산하고, 폐경 연령은 높아지고, 평균수명은 길어져 중년기와 장년기 그리고 노년기가 길어져 각종 만성질환에 이환될 기회가 늘어났다. 이러한 시기의 중요 건강문제들은 뇌혈관질환, 폐암, 유방암, 골다공증, 뇨실금 등과 같이 해결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렇게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새로운 건강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정책이 없었고, 따라서 새로운 모자보건사업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일선 보건요원의 훈련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건강실태를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보건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보건정보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에 소수의 학자들이 어린이와 여성건강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모자보건사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보건복지부가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이라는 이름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23개 보건소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시범사업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여성과 어린이 보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개발에 역점을 두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시범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에는 전국의 45개 보건소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에서는 임산부가 대상이었던 기존의 모자보건사업과는 달리 신생아, 영유아, 학동기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신혼부부에서부터 장년기 여성에 이르기까지 사업대상을 확대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문제해결을 목표로 한 보건사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사업수행 과정에서 보건소는 지역내 대학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적 지원을 받고, 보건요원의 교육 훈련을 통해 사업기획 능력과 전문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켰고, 보건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구입하였고, 민간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보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모자보건 선도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취약계층 중심의 보건교육, 상담 및 지도, 고위험대상자 조기발견 및 민간기관 의뢰 및 주구관리, 질병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의뢰, 지역 보건통계 생산과 관리, 그리고 지역내 가용자원 안내 등이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민간의료기관에 의뢰 또는 검진비용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민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치료, 사후관리를 포함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위험 및 건강의심 대상, 임부와 장년기 여성에 대해서는 건강검진서비스를 과감히 민간기관에 의뢰, 위탁하친 보건소는 상담자,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업관리자의 양적 평가에 대한 고정관념과 질적 평가에 대한 인식부족, 기본 생정통계와 정보체계의 미비로 인한 부정확한 통계생산, 사업요원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그리고 인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효율적인 사업확산과 조기 정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보건정보체계확립, 그리고 공공보건기관과 민간의료기관간의 공식적인 협력체계확립이 필요하다.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평가, 조정을 위하여 중앙에 '모자보건 선도사업 기술지원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프로그램 운영이 잘되는 보건소를 특성화 보건소로 지원 육성하고, 사업요원의 업무 적정화를 위한 보건소 조직과 기존 보건사업체계의 평가와 재편이 필요하다. 보건사업요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과 보건통계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모자보건사업관련 보건교육자료를 수집하고 개발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는 중앙 보건교육자료 및 정보센터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