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cessability Analysis by Using QGIS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Small Town - Case of Cheongdo Gun in Gyeongsang Bukdo -

QGIS를 활용한 소도시 고령자 생활편의시설 접근성 분석 - 경상북도 청도군을 대상으로 -

  • 손순금 (단국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
  • 김호철 (단국대학교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부)
  • Received : 2020.06.10
  • Accepted : 2020.06.24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Currently, the average aging rate has reached 14.8% in our country, despite the residents are aging or over the average aging rate has reached 31.8%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100,000.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the town center, causing inconvenience to u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essability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in this area. This study builds on the population aging of the research target area and distribution of liv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based on MDIS data of the regional survey of the National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QGIS was used to visualize the status of the elderly, distribu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hot spot maps, and distance analysis, and also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and distance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the area where the elderly lived a lot was located in a location that caused severe inconvenience to the use of the elderly.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change facilities type and spatial reorganization by raising the need for space policy changes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lderly convenience facilities, reflecting the serious aging of small towns such as the study area.

2019년 현재 우리나라 인구 10만 미만인 소도시의 평균 고령화율이 약 31.8%에 이르고 있음에도 각종 생활편의시설이 읍면의 일부 중심지에 집중되어 있어 특히 고령주민의 이용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지역에서의 고령자 생활편의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실증적으로 밝혀, 향후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의 인구 고령화 정도와 고령자 생활편의시설의 분포현황을 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의 지역조사 MDIS자료를 중심으로 구축한 후, 고령자 현황과 생활편의시설의 분포도 및 핫스팟맵 작성, 접근거리를 QGIS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특히 고령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서의 의료, 판매, 위생 노인복지부문의 생활편의시설 접근성이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소도시의 심각한 고령화를 반영한 고령자 생활편의시설의 유형 변화 및 공간적 재편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단.서순탁, 2015, 낙후지역개발정책의 장기변동 분석, 국토연구, 87, pp.131-150. https://doi.org/10.15793/KSPR.2015.87..009
  2. 박종철, 2011, 인구감소시대의 축소 도시계획 수립방안: 전라남도 중소도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4), pp.55-88.
  3. 변필성.임상연.김명수, 2014, 인구과소지역 공공시설 공급 및 활용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4. 손순금, 2015, 지역특성을 감안한 읍면소재지 정주환경 정비 방안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전문가세션).
  5. 손순금.이승희.임미화.전유신, 2019, 생활SOC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과제, 도시정보, 449, pp.3-19.
  6. 송미령.김광선, 2009, 농촌서비스 기준 도입 필요성과 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4), pp.1-18.
  7. 안정근.김병환.이재희, 2015,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따른 지방 중소도시 발전방안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3(1), pp.323-334.
  8. 이미홍.김륜희.배진원.권영한, 2018, 지역상생을 위한 지방중소도시 연계유형별 특성분석, LH 토지주택연구원.
  9. 이성근.이관률, 2009, 지방소도읍 공급서비스의 중심성과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4), pp.177-200.
  10. 이소영.박진경, 2014, 지역맞춤형 기초생활시설 공급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1. 이제연.김도형, 2018, 인구감소지역 기초생활시설 공급방향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2. 이형숙, 2011, 노인들의 도보권 근린시설 이용현황 및 인지된 근접성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4), pp.63-74.
  13. 정은주.정봉현, 2014, 고령자 통행특성과 주거환경 선호 요인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6(5), pp.161-178.
  14. 제현정.이희연, 2017, 지역별 인구구조 변화와 유형별 특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 pp.27-43.
  15. 조성아.이건학, 2017, 공간 통계를 활용한 서울시 노년인구 거주지와 노인 수요시설분포의 공간적 불일치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pp.99-112.
  16. Carstens, D.Y., 1993, Site Planning and Design for the Elderly: Issues, Guidelines, and Alternative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7. http://www.nsdi.go.kr.
  18. http://www.qgis.org/ko/site.
  19. http://cheongdo.go.kr.
  20. http://www.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