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료사고

Search Result 413,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 Constitutional Review on Compensation for Medical Malpractice during Delivery (의료분쟁조정법상 의료사고보상사업의 헌법적 쟁점)

  • Cheon, Kwang-Seok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13 no.1
    • /
    • pp.295-329
    • /
    • 2012
  • A medical malpractice case requires special legal protection,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such as seriousness and long term effects of its damages, medical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practitioners and patients, and difficulties in realization of liability. Taking the points above into consideration, Medical Malpractice Arbitration Act of 2012(MAA) has legislative intent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injured from medical malpractice, while protecting the stability of medical practice by providing arbitration as a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However, constitutional review is required for one new scheme of compensation for medical injuries during delivery, which is implemented in MAA of 2012, especially with regard to freedom to exercise occupation, property, equality under the Constitution. Two important aspects are 1. according to the law, absolute liability applies to compensation for damages during delivery without negligence of practitioners; and 2. the practitioner bears some portion of the cost, 30% in the law above.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is new institution in various aspects of the Constitution, and, as a result, it does not comply with constitutional criteria.

  • PDF

The Influence of Biomedical Ethic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College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Cho, Young-M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638-645
    • /
    • 2021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biomedical ethic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professionalism. For this study, from May to June 2021, 144 students were participated from S University in A City, using self reported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on biomedical ethic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r=.400, p<.001, r=.431, p<.001). Also,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were grade(𝛽=0.303, p<.001), biomedical ethics(𝛽=0.287,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𝛽=0.294, p<.001)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31.2%.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ir biomedical ethic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specific strategies are to make and apply special programs by their grades.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ental Popular Complaints (치과 의료 민원 현황에 관한 분석)

  • Kwon, Kyung-Min;Tea, Il-Ho;Ko, Myung-Yun;Ahn, Yong-W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4 no.2
    • /
    • pp.143-151
    • /
    • 2009
  •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reference for prevention and education of medical dispute in dental clinic and to recognize anew about medical malpractice, by analyzing medical dispute. The results from data were based on questionnaires and replies about medical complaint, which were received the Busan Dental Association from November, 2000 to June, 2007, were as follows; 1. It were categorized 35 cases to 51 detail patterns. These cases were consists of complicated problem. 2. The cases, which were related to the treatment for prosthesis and orthodontics, became an issue. 3. In the case, which was related to the treatment for prosthesis and orthodontics, there were complaints in order of symptoms(occlusal discomfort, hypersensitivity, abnormal pain) and aesthetics after equipped prosthesis, and so on. 4. There was a tendency toward increasing complaints along with an increase of treatments (except conventional ways) for implant and so on.

의사의 설명의무

  • Lee, Jun-Sang
    • 건강소식
    • /
    • v.16 no.7 s.164
    • /
    • pp.38-41
    • /
    • 1992
  • 때때로 발생하는 의료사고와 관련하여 의사가 환자에게 치료 전 사고의 위험성을 설명했느냐의 문제에 대해, 그리고 그 "설명"이 의사의 법적의무인가에 대해 알아본다.

  • PDF

Study on Direction Sensor for reduce perforation risk in Endoscopy (천공부작용 해소용 내시경 Direction Sensor 설계)

  • Kang, Sang-man;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8-330
    • /
    • 2016
  • 내시경을 이용한 진단 및 시술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장암의 증가와 정부의 암 조기검진사업의 영향으로 시행건수가 많아지면서 천공 및 출혈 등의 의료사고도 늘어나고 있다. 내시경 장비를 이용한 시술은 시술자의 경험이나 감각, 숙련도에 의존하여 시행된다. 내시경 시술시 내시경 선단부의 수평 및 수직, 압력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면 의료사고를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속도와 자이로센서를 융합하여 각도 및 자세정보를 얻고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선단부가 받는 압력을 시술자에게 제공하여 내시경 시술시 천공 및 출혈 등의 의료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Chemical Accidents Preparedness and Safety in the Situation of COVID-19 Pandemic (COVID-19 확산 상황에서의 화학사고 대비 및 안전)

  • Wang, So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371-372
    • /
    • 2022
  • 국내에서 다양한 규모와 종류의 화학사고가 지속 발생 중이며 이 중 초동대응 실패로 피해가 확산되는 경우도 발생하면서 이에 따른 화학사고 대응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 이전의 상황이며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회 여러 분야의 변화로 새로운 개념과 방법으로서 화학사고 대비와 안전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이 생기게 되었다. 화학사고와 같은 특수 상황에 대비하여, 국가적으로 코로나 19 상황 하에서의 재난의료대응 인력에 대한 해당 재난 유형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정책이 제공되어야 하며, 재난의료대응기관에서는 현장구조자 및 응급의료진 등 재난의료대응 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한 코로나 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을 대비한 상황 하에서의 지침 마련, 시스템 보완, 사전 교육이 시행되어야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치과에서의 의료사고와 의료분쟁의 이해

  • Hwang, Chung-J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6 no.7 s.350
    • /
    • pp.503-512
    • /
    • 1998
  • 건강과 의료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의료수요는 날로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르는 의료분쟁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의 아니게 발생한 의료사고는 의료분쟁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과실과 악결과 그리고 이에 따르는 인과관계와 책임여부를 따지게 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은 주의의무와 설명의무를 잘 수행했는지와 환자 또한 의무를 잘 수행했는지를 평가하게 된다. 일단 의료분쟁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의 진료와 환자와의 대화가 요구되며 분쟁시 화해, 조정, 소송 등으로 해결하며 이 과정 각각에서의 준비와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르는 의료분쟁을 방지하려면 진료기술의 숙련도를 높이고 발전하는 새로운 의학 정보를 얻는데 게으르지 말아야하며 특히 환자를 대하는데 진단, 치료과정, 치료의 후유증, 위험성에 관한 자세한 설명을 통하여 환자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의료환경이 요구되며 가장 기본적인 의료기록부 작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것이다.

  • PDF

A Study on Marine Telemedicine Systems for Coastal Ships with Immersive Technologies (실감기술기반 연안 선박 원격의료 시스템 연구)

  • Sangseop Lim;Changhee Lee;Sungho Park;Jeong-Ho Kim;Hohyun Jin;Kyoung-A Lee;Seok-H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493-494
    • /
    • 2023
  • 해상에서 운항되는 선박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하면 육상과 달리 적시에 의료지원을 받기 구조적으로 어렵다. 특히 연안선박의 경우 원양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령의 선원들이 승무하고 있기 때문에 인명사고가 빈번하며 인명사고에 취약하다. 본 연구는 AR과 VR과 같은 실감기술을 기반으로하는 연박선박의 원격의료지원 모델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