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례

Search Result 3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nteraction Ritual Interpretation of AI Robot in the TV Show (드라마<굿 플레이스>속 인공지능 로봇의 상호작용 의례적 해석)

  • Chu, Mi-Sun;Ryu, Seou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70-83
    • /
    • 2021
  • The issue of predi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I robots is a 'strong AI' problem. Many experts predict the tragic ending which is a strong AI with superior thinking ability than humans will conquer humans. Due to the expectations of AI robots are projected onto media, the 'morally good AI' that meets human expectations is an important issue. However, the demand for good AI and the realization of perfect technology is not limited to machines. Rather, it appears as a result of putting all responsibility on humans, driving humans into immoral beings and turning them into human and human problems, which is resulting in more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As such, the result of technology interacts with the human being used and its properties are determi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action. This again affects humans. Therefore, AI technology that considers human emotions in consideration of interaction is also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will clarify the process that the demand for 'Good AI' in the relationship of AI to humans with Randall Collins' Interaction Ritual Chain. Emotional energy in Interaction Ritual Chain has explained the formation of human bonds. Also, the methodology is a type of thinking experiment and explained through Janet and surrounding characters in the TV show .

A Study on the Use of Soseon in Joseon Dynasty Based on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Chungwantonggo』 (조선시대 왕실의 소선(素膳) 이용에 관한 연구: 『조선왕조실록』, 『춘관통고』를 이용하여)

  • Oh, Eunn-Mi;Lee, Sim-Yeol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4 no.2
    • /
    • pp.115-128
    • /
    • 2022
  • Soseon means a table setting without meat and fish. It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Buddhism and is mentioned in Joseon Dynasty recor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 of Soseon and its relationship with Buddhism in Joseon, which emphasized Confucianism and refused Buddhism.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Joseon Dynasty Annals database and records of royal food litera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Joseon, Soseon was seen in 186 cases and its cases were found during the early days than the late days of the same Dynasty. It was carried out at funerals for subjects and relatives(61.82%). national ceremonies(21.51%), envoy receptions(11.29%), and auspicious ceremony(5.38%). Meat dishes were replaced by tofu, seaweed, rice cakes, and cookies in the Soseon for national rituals. The table setting of Soseon consisted of a main dish, side dishes, and desserts. A comparison of the Soseon table setting between Gilrye and Hyungrye showed Chae, Gaejang and Dasik belonged only Gilrye table setting. The major food was Noodles, Tang, Chae, Yumilgwa, Yugwa, Dasik, rice cakes and fruits. Soseon menu was cooked flour, tofu, seaweed, shiitake, pine nut, sesame oil, honey, etc. Tofu, flour, and seaweed were referred to in the documents in relation to Buddhism. This study shows that the Soseon is a vegetarian diet form in Joseon affected by Buddhism from Goryeo.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Buddhist food culture of royal rituals in the Joseon Dynasty.

A Re-examination of the Significance of Devotional Offerings at Daesoon Jinrihoe Temple Complexes (대순진리회 도장 치성의 의미 재검토)

  • Cha Seon-keu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2
    • /
    • pp.1-4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evotional offerings held in Daesoon Jinrihoe Temple Complexes (道場 dojang) and to interpret their identity. Firstly, the existing research insists that the significance of these rituals implies that offerings held by Daesoon Jinrihoe embody the order's religious purpose.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purpose of devotional offerings is not limited thereto. The reason is that the primary sources of Daesoon Jinrihoe defines the devotional offerings as practiced for purposes of worship, celebration, commemoration, the expression of gratitude,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and to humbly beg pardon from divine beings. Additionally, the offerings are meant to express the solid faith of devotees. Considering the various purposes of practicing devotional offerings, rather than mostly being about prayer to divine beings, the meaning of the offerings could be better understood as forms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unique ideas and intentions. Secondly, in the light of Korea's history of rituals, the devotional offerings of Daesoon Jinrihoe obviously differ from the rituals of Confucianism or the ritual for Heaven and Earth (圜丘祭 hwanguje). Indeed, the rituals of Daesoon Jinrihoe are rather alien to both of the aforementioned rituals. Accordingly, the identity of the devotional offerings in Daesoon Jinrihoe do neither succeed to the religious and cultural tradition of Korea nor transform it. It is rather the case that Daesoon Jinrihoe's devotional offerings should be identified as having been newly invented. In this regard, the devotional offerings of Daesoon Jinrihoe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vented tradition that began in modern times. In other words, they are 'invented rituals to Heaven.'

Influences of Protestantism on som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of Hmong Ethnic People in Lao Cai Province of Vietnam (베트남 라오까이 지역 흐몽족의 전통적 문화가치관에 미친 개신교의 영향)

  • NGUYEN, Van Hieu;DO, Quang Son
    • SUVANNABHUMI
    • /
    • v.1 no.2
    • /
    • pp.43-71
    • /
    • 2009
  • 베트남 소수민족 공동체 중 Hmong족은 중요한 구성원이라고 여겨져 왔다. 타지에서 베트남으로 이민 와서 다른 민족들과 함께 오랫동안 살아 왔지만 Hmong족은 자기의 민족문화 특색을 잘 지켜왔다. 그런데 지난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종교와 달리 새로운 종교를 믿게 되는 방향으로 Hmong족의 심령의 종교는 많이 변하고 있다. 그 중에 특히 주목받은 것은 개신교의 유입이다. 개신교는 직접적, 간접적 선교 방법으로 Lao Cai에 있는 Hmong족 공동체에 자연스럽게 유입되었다. Lao Cai의 많은 지방에서 사람들이 개신교를 믿게 되었고 그 중에는 가족이나 종족 환경에서 강제적 선교도 일어났다. 개신교는 Hmong족의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Hmong족의 전통 종교, 신앙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 글에서는 Hmong족이 살고 있는 Lao Cai 지방을 선택하여 고찰하며 Hmong족의 전통문화가치에 대한 개신교의 영향 및 원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Hmong사람들은 전통신앙을 버리고 개신교를 믿게 되는 원인을 살펴보자. 주 원인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있다고 본다. -경제와 관련된 원인 -성별 불평등과 관련된 원인 -학문 수준과 정보 습득 희망과 관련된 원인 -전통문화, 심리와 민속의식과 관련된 원인 그리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각도에서 전통문화 가치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첫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 둘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풍속습관 및 전통 신앙에 영향을 준 점이다.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은 여러 방면에서 보인다. 전통적인 가치와 개신교의 새로운 규정 사이의 충돌도 있고 가족 안에서 부부의 위치상 충돌도 있다. 또한 Hmong사람들에게 전통 종족의 역할, 위치를 약화시키는 영향도 주었고 산골 마을에서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과 믿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 일어난 새로운 충돌도 있다 개신교와 개신교의 교리는 역시 풍속습관과 전통신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첫째는 예수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고 조상 숭배나 "집에 있는 귀신 숭배"같은 것보다 강력한 것이다. 그래서 Hmong사람의 신앙, 종교는 원시적 다신교부터 일신교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이 Hmong족의 전통 민속축제를 점차 멀리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 사람들이 자기 민족의 전통문화 환경을 떠나 버리는 일도 있었다. 셋째는 개신교의 교리가 Hmong족의 풍속 규정을 바꾸게 하였고 Hmong사람들이 새로운 종교의 교리를 집행시켰다. 넷째는 인간 인생 주기에 관한 풍속습관 및 민속의례들은 의례 대상보다 의례 주제를 중심으로 삼는 것으로 점차 변화했다. 대체로 개신교가 Hmong족 공동체에 유입하여 이 민족의 전통문화 가치는 변화했다. Hmong족 공동체에 오래 존재해 왔던 낙후한 습관을 개선하는 점에서 개신교는 적극적 역할을 했다. 현재 문제점은 어떻게 전통문화가치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교와 같이 존재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다음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 PDF

불과민속 - 혼례의 불 성스러운 결합 위하여 촛불을 켜다

  • Jang, Ja-Sik
    • 방재와보험
    • /
    • s.112
    • /
    • pp.38-41
    • /
    • 2006
  • 인간이 태어나서 일생을 살아가는 데에는 반드시 거쳐야 할 것들이 여럿있다. 지금은 가치관이 바뀌어 아닐 수도 있지만, 그중의 하나가 혼례다. 혼례는 개인적으로 진짜 성년이 되었음을 선언하는 것이요. 사회적으로는 사회 집단의 기본 단위인 가정을 이루었음을 뜻한다. 이를 뒤집어 본다면, 성에 대한 독점적 자유의 허용과 이에 대한 공증적 절차이기도 하다. 아내만을, 남편만을 사랑하고 그에 대한 개인적 자유와 허용을 인증하는 사회적 통과의례인 셈이다. 조금 더 솔직하게 표현해 보면, '이제 너희 남녀는 두 의지에 따라 성을 마음대로 해도 좋다' 는 선언이다. 따라서 혼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큰 일' 로서 , 여러 가지 관습적 가치관이 굳어져 하나의 풍습으로 이어오고 있다.

  • PDF

남녀의 연륜이 깃든 성-노인들을 위한 성은 없다?

  • Yang, Seong-Sik
    • 건강소식
    • /
    • v.32 no.4 s.353
    • /
    • pp.26-27
    • /
    • 2008
  • 인간의 성은 나면서부터 자신과 타인을 긴밀하게 연결시켜주는 축복과도 같은 것이다. 때문에 마땅히 아름답고, 건강해야만 한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성에 대한 마음가짐이나 몸짓으로부터 자유롭지만은 못한 것 같다. 특히 현대를 살아가는 노인들에게 있어 성이란 잊고 지내야만 하는, 한때의 추억이나 통과의례 같은 것으로 치부되기 십상이다. 그런 고정된 성 관념이 노인들의 성 의식을 억압하고, 무력화시켜왔다. 지난 십 수 년간 달라진 거라고는 그런 문제들이 수면위로 떠오를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가까스로 마련됐다는 정도? 이제, 남녀의 연륜이 깃든 사랑과 성에 대해 귀 기울여야만 한다.

  • PDF

취학기 아동의 구강관리

  • Kim, Je-Uk
    • 건강소식
    • /
    • v.32 no.4 s.353
    • /
    • pp.34-35
    • /
    • 2008
  • 초봄에는 엄마 품을 처음으로 떠나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로 입학한 병아리 친구들을 볼 수 있다. 어른들이 보기에는 인생의 한 통과의례로 볼 수도 있지만 어린이들 입장에서는 심리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건강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단체 생활을 하므로 운동량이 많아지고 다른 친구들과의 접촉이 많아지므로 호흡기 질환에 걸리는 빈도가 잦아질 수 있다. 치과적인 측면에서도 취학기 아동은 치아 관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다. 만 6세부터 이갈이가 시작되어 평생 간직해야 할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고,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급식을 할 경우에는 스스로 올바르게 이를 닦을 줄 알아야 하며, 친구들과의 놀이가 지나치면 치아 외상을 입는 경우도 많아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s through the Building Rites (건축의례를 통해 본 전통주거의 공간구조와 의미에 관한 연구)

  • 정영철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2 no.1
    • /
    • pp.67-75
    • /
    • 2001
  • There were the rites and customs in building of the traditional ho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meaning of the building rites, and to search the spatial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traditional houses through the rites as establishing the true dwelling. The traditional houses show the oppositional structure of the sacred and profane through the rites and customs of the building as the communication with the gods and men. The traditional houses are the center of which the gods of four sides defined and have the cardinal points and vertical axis which has the mythical and symbolic meaning.

  • PDF

Childrearing in the Customs-Records of the Chosen Dynasty Period (조선일대 풍속지에 나타난 아동양육 고찰)

  • 신양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219-228
    • /
    • 1994
  • 본 연구는 한국전통사회의 아동양육을 알아보기 위해 조선시대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경도잡지를 문헌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선시대 세시풍속 가운데 아동이 관련된 풍속은 주로봄철과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당시의 사람들은 이러한 풍속을 통해 아동의 의식주나 건강유지에 요구되는 물리적 측면의 양육 그리고 아동의 심리적 측면의 양육을 신앙의례화함으로써 아동을 보호하고 있음을 밝혀졌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Resident Living Space in Upper Class Residence of CHO-SUN Dynasity - Through the Rites of Passage in the MAN-CHUI-DANG -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주생활공간 이용에 대한 연구 - 만취당에서의 통과의례를 중심으로 -)

  • 백영흠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 no.1
    • /
    • pp.103-111
    • /
    • 1990
  • This study has researched on the utilization of living space through interview with a owner of the MAN-CHUI-DANC. The aim of the study is to grasp-the resident living and dwelling ceremony through rites of passase of the MAN-CHUI-DANG among the upper class residence of Korean traditional house A result of this study , Korean traditional house have been so inhered multipurpositive and adaptability that dwelling living space for the rites of passage is always separation, transition, coordination as living asp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