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축 열전달

Search Result 22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혼합증기(수증기/공기)와 물의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 현상

  • 이한춘;김무환;박수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577-583
    • /
    • 1998
  • 직접 접촉에 의한 응축 열전달은 혼합증기의 레이놀즈수, 비응축 가스(공기)의 질량비, 액막의 레이놀즈수, 그리고 액막의 과냉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평면으로부터 87˚ 기울어진 수직 사각 덕트에서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의 각 실험 변수에 따른 평균 열전달 대수의 변화를 고찰하였으며, 실험결과로부터 혼합증기 레이놀즈수, 비웅축 가스의 질량비, 액막 레이놀즈수, 그리고 제이콥수를 변수로 하여 직접 접촉 응축 열전달에 대한 평균 누셀트수에 대한 실험 상관식을 도출하였다. 혼합증기의 직접 접측 웅축 열전달에 대한 평균 열전달 계수는 비응축 가스의 질량비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으며, 액막의 과법 정도가 증가할수록 평균 열전달 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혼합증기의 레이놀즈수가 30,000 이상의 템위에서는 액막 레이놀즈수의 변화에 따라 평균 열전달 계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PDF

A Proposed Model to Estimate Condensing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Steam-Air Mixture (비응축성 가스(공기)가 존재하는 격납용기내에서 증기의 응축 열전달 계수평가에 관한 모델)

  • Choi, J. H.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7 no.3
    • /
    • pp.344-352
    • /
    • 1983
  • 격납 용기 내에 비응축성 가스(공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증기의 응축 열전달 계수를 평가하는 방 법을 연구하였다. 유일한 대규모 격납 용기 실험인 CVTR자료를 이용하여 응축 열전달 계수를 계산하여, 현재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재 상실 사고(LOCA) 및 주 증기 배관 파열사고(MSLB)시에 격납 용기의 안전 해석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Tagami와 Uchida열전달 계수 관계식과 비교해 본 결과 좋은 일치를 보여 주었다.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team Condensation Heat Transfer in the Presence of Noncondensable Gas on a Vertical Tube (수직 튜브 외벽에서의 증기-비응축성 기체 응축 열전달 실험 연구)

  • Lee, Yeon-Gun;Jang, Yeong-Jun;Choi, Dong-Jae;Kim, Si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1
    • /
    • pp.42-50
    • /
    • 2015
  • To evaluate the heat removal capability of a condenser tube in the PCCS of an advanced nuclear power plant, a steam condensation experiment in the presence of noncondensable gas on a vertical tube is performed. The average heat transfer coefficient is measured on a vertical tube of 40 mm in O.D. and 1.0 m in length. The experiments covers the pressures of 2-4 bar, and the mass fraction of air ranges from 0.1 up to 0.7.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ffects of the total pressure and the concentration of air on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are investigated. The measured data are compared with the predictions by Uchida's and Tagami's correlations, and it is revealed that these models underestimate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steam-air mixtur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ydrocarbon Refrigerants in Horizontal Tubes of 7.73 mm and 5.80 mm (7.73 mm와 5.80 mm 수평관내 탄화수소 냉매의 응축 열전달 특성)

  • Son, Chang-Hy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9 no.4
    • /
    • pp.331-339
    • /
    • 2008
  • 본 논문은 내경 7.73 mm와 5.80mm의 수평관내 프레온계 냉매 R-22와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600a의 응축 열전달 계수의 실험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구성된다. 응축 실험은 질량유속 $35.5{\sim}210.4\;kg/m^2s$이고, 응축온도 40$^{\circ}C$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R-600a의 평균 열전달 계수는 프레온계 냉매 R-22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R-600a의 평균 열전달 계수가 모든 관경에 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험결과와 종래의 상관식을 비교한 결과, 모든 관경과 냉매에 대해 Haraguchi 등의 상관식이 가장 좋은 일치를 보였다. 그 중에서 Cavallini-Zecchin의 상관식은 7.73 mm 관경의 실험데이터와, Dobson 등의 상관식은 내경 5.80 mm 관경의 데이터와 좋은 일치를 보였다.

Reexamination of the combustion instability of solid propellant with radiative heat transfer (복사 열전달을 고려한 고체 추진제의 연소 불안정 현상에 관한 재해석)

  • 이창진;변영환;이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0-11
    • /
    • 1997
  • 고체 추진제를 사용하는 추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가장 커다란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것은 추진제의 연소 특성을 이해하는 일이다. 그 중에서도 연소실의 압력 진동과 추진제 벽면으로 흡수되는 복사 열전달에 의한 연소율(burning rate)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소 불안정에 대한 이해는 아직도 완전히 규명되지 않고 있다. 고체 추진제의 연소 불안정에 대한 이론적 해석은 준-정상 1차원 해석(Quasi-Steady Homogeneous One-Dimension) 방법에 의하여 단순화된 지배방정식을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이다. 이 가정은 고체 추진제가 연수되는 영역을 두께가 매우 얇은 영역의 표면반응영역(surface reaction layer)과 화학반응이 없는 응축상태영역(condensed phase zone) 그리고 기체상태의 연료와 화염이 존재하는 기체상태영역(gas phase zone) 등의 3영역으로 구분하며, 기체상태영역에서 발생하는 교란에 대한 응축상태영역의 반응시간 크기(response time scale)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응축상태영역의 반응은 준 정상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그러나, 연소실의 온도가 $3000^{\circ}K$ 정도의 높은 온도이어서 복사 열전달에 의한 고체 추진제의 가열이 중요한 열전달 방법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이를 무시한 이론적 해석은 물리적인 중요성이 약하여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체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복사 열전달은 투명(transparent)한 표면반응영역을 통과하여 응축상태영역에서 모두 흡수되며 추진제 표면에서의 복사열방출(emission)을 고려하였다. 또한 연소불안정 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표면반응영역에서의 경계조건은 선형교란량으로 대치하는 Zn(Zeldovich-Novozhilov)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기체상태영역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없이도 연소불안정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잇다. 즉 응축상태영역에서의 연소율과 표면온도는 각각 기체영역으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구배와 연소압력, 그리고 복사 열전달의 함수관계이므로 선형교란에 의한 추진제표면에서의 교란경계조건을 얻을 수 잇으며, 응축영역의 교란지배방정식과 함께 사용하여 압력교란과 복사 열전달의 교란에 대한 연소율의 교란 증감 여부를 판단하여 연소 불안정 현상을 해석할 수 있다.

  • PDF

수직한 벽면에서 혼합증기(수증기/공기)의 막응축 열전달

  • 박수기;김무환;유건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a
    • /
    • pp.217-223
    • /
    • 1996
  • 혼합증기(수증기/공기)의 막응축 열전달 계수를 수직한 벽면에서 측정하고 상관식을 개발하였다. 열전달 상관식은 액막측과 증기측으로 구분하여 만들었고, 액막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은 액막의 Reynolds수와 Prandtl수의 함수로 나타냈으며, 증기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은 증기의 Reynolds수, Prandtl수, Schmidt수 및 공기의 질량분율, 액막 Reynolds수의 함수로 제안하였다. 응축 액막의 두께와 확산층의 순간온도 측정결과로부터 액막의 파형 계면이 확산층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증기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에 포함된 액막 Reynolds수가 파형 계면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Condensation Heat Transfer in Air Pre-heating Heat Exchanger using Hydrophilic Surface (친수성 표면 처리를 통한 공기 예열 열교환기의 응축 열전달 성능 연구)

  • Park, Jae Won;Hwang, Sueng Sik;Seok, Sung Chul;Shin, Dong Hoon;Chung, Tae Yong;Son, Sueng Gil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3
    • /
    • pp.191-197
    • /
    • 2014
  •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air pre-heating heat exchanger used for the condensing boiler, We investigated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 through plasma surface treatment. The hydrophilic surface showed about 10% increase in heat transfer rate than original plate. It shows that Shah correlation can be used to predict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on the original surface within 10% error range after the compatison between Shah correlation and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 measured on the hydrophilic surface and original surface. Therefore, we have shown that Shah correlation is available when designing the air pre-heating heat exchanger using the original surface in this study.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alternative refrigerants for CFC11, CFC12 and HCFC22 (CFC11, CFC12, HCFC22 대체냉매의 응축 열전달계수)

  • 정동수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5
    • /
    • pp.389-395
    • /
    • 1999
  • 냉동공조설비, 발전설비, 화학플랜트설비 등에 사용되는 응축기는 주로 증기가 관의 외부에서 응축을 하고 냉각수가 관 내부로 흐르는 쉘-튜브(shell and tube)형 태를 취하고 있다. 초기투자비용 및 운전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응축기의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일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코팅 표면(coated surfaces), 거친 표면(rough surfaces), 코일 튜브(coiled tubes), 선회 흐름장치(swirl flow), 전열면적을 넓힌 낮은 핀관과 3차원 형상을 갖는 열전달 촉진관의 사용이 제시되고 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a Rotating Heat pipe with Grooves in Condenser Region (응축부에 그루브를 갖는 회전 히트파이프의 열 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진성;김철주;임광빈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34-341
    • /
    • 2000
  • 회전 히트파이프의 열 전달 특성은 내부 관벽에 형성되는 응축 액막 두께와 증발부로 귀한되는 응축액의 유동율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축 방향으로 그루브(groove)를 갖는 회전 히트파이프의 열 전달 성능에 대한 실험 연구로써, 그루브에 의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2종류의 히트파이프를 제작하고 작동성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회전 히트파이프가 작동시, 원심력에 의해 그루브로 응축액의 유동을 촉진시키며, 따라서 응축부 벽면에 형성되는 액막 두께가 얇게 된다. 응축부에 그루브를 갖는 히트파이프의 열전달 계수는 풀 유동에서 2000~4000W/$m^2$$^{0}$ C, 환상 유동 영역에서 1500~2500W/$m^2$$^{0}$ C로써, 전체 원형단면을 갖는 히트파이프와 비교하여 약 1.5배 정도의 열저달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열전달 한계는 약 40%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conomic benefit of combustible waste into energy: A contingent valuation study (Fe3C12 식각을 이용한 콘덴싱 보일러 잠열 열교환기의 응축 열전달 촉진)

  • Jang, J.H.;Ahn, J.;Shin, D.H.;Chung, T.Y.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2 no.3
    • /
    • pp.307-311
    • /
    • 2013
  • Heating and hot water has accounted for 68% of Korea's household energy usage. Boiler makes up the bulk of the heating and hot water production. Hence a highly efficient boiler is needed in order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 condensing boiler that recovers latent heat is known to be highly efficient. However, it is expensive and takes more space to necessitate research for improvement.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condensation heat transfer of a surface roughened by etching treatment. The etched plate showed 9.2% increase in heat transfer compared to original 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