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력의 중첩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PSC Box Girder 정착부의 해석 및 설계 (An Analysis and Design on the Anchorage of PSC Box Girder)

  • 임정순;방윤석;이수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03-114
    • /
    • 2001
  • PSC box girder의 정착부 설계방법들을 비교해본 결과, 기존 시방서에 따른 설계방법에서는 다수의 정착구에 긴장력이 작용할 때 긴장력의 작용순서와 그 크기에 따른 응력의 중첩효과를 고려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고,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설계에서는 응력집중부와 응력흐름을 정확히 파악할 수는 있지만 부재의 단면력을 산정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까다롭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strut-tie 모델을 이용한 설계법에서는 긴장력의 긴장순서에 따른 응력중첩효과를 고려할 수 있고 부재의 단면력의 산정 또한 매우 간편하여 긴장력의 도입순서에 의해 변화하는 응력의 흐름을 잘 파악하여 strut-tie로 구성된 트러스 부재들의 기하학적 조건을 만족하도록 유의한다면 정착부의 설계에 가장 적합한 설계방법이라 할 수 있다.

  • PDF

크리프 회복 거동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장기거동해석에 관한 연구 (Time-dependent Analysis of Reinforced an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Incorporating Creep Recovery Function)

  • 김세훈;오병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9-288
    • /
    • 1999
  •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리프해석은 주로 크리프식의 중첩원리에 기초한 방법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크리프식의 중첩을 응력이 증가하거나 일정할 경우에는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지만, 응력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오차를 나타낸다. 이것은 지속하중과 응력감소 과정에서 크리프와 관련된 콘크리트의 성질이 변화되므로 크리프 회복을 크리프 식의 중첩으로 정확하게 모사할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소와 증가를 반복하는 응력 이력을 지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좀더 정확하고 합리적인 장기거동 해석을 위하여 응력의 감소를 단순히 크리프식의 중첩에 의해 해석한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크리프식과 크리프 회복식으로 표현하여, 소위 2함수 방법(two-function method)를 콘크리트구조물의 해석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2함수방법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거동 해석을 적용하기 위해, 시간단계 동안 다양한 응력 변화에 대하여 크리프 변형도 증분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해석방법에 의해서 해석된 결과를 기존의 크리프식의 중첩에 의한 결과 및 기존의 실험결과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존의 중첩법은 실험결과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의 해석방법은 실험결과와 잘 맞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크리프회복식을 이용하는 본 연구의 해석방법은 기존의 크리프식의 중첩방법이나 기존의 설계기준에 비해 변화하는 응력이력 하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리프거동을 더 정확하게 서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앞으로 설계기준 작성과 실제 구조물 해석에 효율적인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조선용 극후물재 EH36-TMCP강의 파괴인성 해석 (Analysis on Fracture Toughness of Ultra Heavy Thick EH36-TMCP Plate Welded Joint)

  • 방희선;방한서;주성민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3-9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EGW, FCAW 공정 적용에 따른 고강도 극후판 EH36-TMCP강 용접부의 역학적 거동 및 파괴인성 $K_{IC}$ 을 규명하기 위해, 먼저 열분포, 열탄소성 수치해석을 통하여 용접부의 역학적 거동(용접잔류응력, 소성변형율 등의 크기, 분포, 발생기구)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때 얻어진 잔류응력을 초기응력으로 하여, 잔류응력과 외력의 복합하중에 대한 파괴인성 $K_{Ic}$ 특성을 해석하였다. 용접공정별 균열이 존재하는 용접부의 파괴기준을 살펴보면, EGW용접부의 경우가 FCAW용접부의 경우에 비해 균열의 성장이 다소 용이하여 $K_{IC}$ 값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EGW용접부의 파괴인성 $K_{IC}$ 경우 중첩된 경우(복합하중)가 순수 외력만 작용하는 경우보다 파괴 인성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a/W가 작을 경우 중첩의 경우가 순수 외력만의 경우보다 파괴인성치 차이가 크나, a/W가 증가함에 따라 그 차이가 점차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FCAW용접부의 경우 균열길이가 작은 범위에서는 중첩된 경우가 순수 외력만 작용 할 경우보다 파괴 인성치가 다소 증가함을 보이지만, a/W가 증가함에 따라 순수 외력만의 작용의 경우와 중첩의 경우의 파괴인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장중의 두부에 WLF식을 이용한 물성 변화 예측에 관하여 (Prediction of the Rhelolgical of Soybean Curd during Storage by using WLF equation)

  • 장원영;김병용;김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3-198
    • /
    • 1995
  • 여러 저장온도($5{\sim}2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의 두부의 물성 변화는 응력완화현상을 이용하여 시간-온도 중첩 이론을 통해 계산하고 분석하였으며 WLF(Williams-Landel-Ferry)식을 이용해서 품질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적용식을 제시하였다.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저장시 두부 조직의 초기응력 및 평형응력(equilibrium stress)이 강하게 나타났고, $15^{\circ}C$ 온도를 기준으로 이동인자를 이용하여 좌우 수평으로 이동시 하나의 중첩곡선(master curve)을 구하였다. 이동인자와 중첩곡선을 이용하여 WLF식에 적용해서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하였고 임의 온도에서 저장 시간을 예측하였으며, 실제 두부 조직의 저장성을 논하였다.

  • PDF

모달 응력 회복법(Modal Stress Recovery)을 이용한 Torsion Beam Axle 내구해석 (Analysis of Durability of Torsion Beam Axle Using Modal Stress Recovery Method)

  • 고준복;임영훈;이동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0호
    • /
    • pp.1339-1344
    • /
    • 2010
  • 모달중첩법은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고려하여 내구수명을 평가할 수 있는 내구해석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달중첩법과 유사하면서도 다물체 동역학 해석시 모달좌표를 직접 계산하여 전체적인 해석시간을 줄일 수 있는 모달응력 회복법을 이용한 내구해석 기법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자동차 부품 중 대표적으로 동특성을 고려해야 하는 토션빔 액슬에 대하여 모달응력 회복법을 이용한 내구해석 및 시험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는 시험결과와 취약위치, 내구수명 등이 양호한 일치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모달응력 회복법을 이용한 내구해석 기법은 다양한 구조물의 동특성을 반영한 내구수명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약지반상 기초말뚝의 거동 연구 (Study on Behavior of Pile Foundation in Soft Soils)

  • 김대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428-43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축조된 잔교구조물 강관말뚝기초의 변위 및 응력을 시공단계별로 계측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말뚝의 응력상태는 초기 상태에서 사석투하 등에 의한 압축응력을 받으나, 배면매립이 진행됨에 따라 지반의 측방유동에 의하여 인장응력을 받는 상태로 되었다. 배면매립 및 선행하중 단계에서 급격한 응력의 변화를 보이며, 경사말뚝은 설치방향에 따라 차별화된 응력상태를 보였다. 말뚝수평변위는 매립이전까지는 해상방향으로 약간의 변위가 안정되게 유지되었으나. 매립단계에서 급격하게 변위가 증가하고, 이어 선행하중에 의한 변위가 중첩되어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중첩법에 의한 중앙 크랙 선단의 응력확대계수에 관한 검증 (An Inspection on Stress Intensity Factor of Center Crack Tip by Superposition Method)

  • 한문식;조재웅;이양섭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72-181
    • /
    • 2003
  • In this study, the stress intensity factor of center crack tip is calculated by the superposition method when it is surrounded by symmetrically distributed small cracks. The values of stress intensity factors of center crack tip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enter crack tips calculated by the superposition method. These compared errors are influenced by the locations of distributed small cracks. These errors are inspected. When small cracks overlap and approach near the center crack tip, the effect of interaction caused by these cracks becomes noticeable and these errors become larger. In case of multiple distributed small cracks except this case, the stress intensity factor of the center crack tip is easily calculated by the superposition method.

중첩법에 의한 복합응력확대계수의 결정 (Determination of Compound Stress Intensity Factor by Superposition Method)

  • 조재웅;한문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244-250
    • /
    • 1998
  • In this study,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of center crack are analyzed when it is surrounded by symmetrically distributed small cracks. The values of stress intensity factors of the center crack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locations of distributed small cracks. When small cracks overlap or approach near the tip of a center crack, the effect of interaction arisen by these cracks becomes noticeable. In case of multiple distributed small cracks, the stress intensity factor of a center crack is found to be efficiently determined by the superposition method.

  • PDF

고강도 극후판 EH36-TMCP강 EGW용접부의 역학적 거동 및 파괴인성 $K_{IC}$에 관한 해석 (Analysis of Mechanical Behavior and Fracture Toughness $K_{IC}$ on EGW Welded Joints for High Strength EH36-TMCP Ultra Thick Plate)

  • 방희선;방한서;주성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565-5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EGW공정 적용에 따른 고강도 극후판 EH36-TMCP강 용접부의 역학적 거동 및 파괴인성 $K_{IC}$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자체 개발한 열분포, 열탄소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용접부의 역학적 거동(용접잔류응력, 소성변형율 등의 크기, 분포, 발생기구)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때 얻어진 잔류응력을 초기응력으로 하여 상용프로그램 ANSYS에서 노치가공으로 인한 응력 재분포 특성 및 잔류응력과 외력의 복합하중에 대한 파괴인성 KIC를 계산하였다. 균열이 존재하는 EGW용접부의 파괴기준$K_{IC}$를 살펴보면, 중첩된 경우가 순수 외부하중(굽힘하중)만 작용하는 경우 보다 파괴 인성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W가 작을 경우 중첩의 경우가 순수 외부하중(굽힘하중)만의 경우보다 파괴인성치 차이가 크나, a/W가 증가함에 따라 그 차이가 점차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단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Multi-tier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유한규;한석준;박언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83-9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상.하단으로 구분된 2개의 동일한 보강토옹벽에 대해서 상호 이격거리에 따른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전면벽체의 수평변위, 전면벽체 배면의 수평토압, 보강토체 배면의 수평토압 그리고 보강재의 최대인장력 분포 및 크기변화 양상 등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또한, 하단 옹벽에 증가되는 응력을 산정하고자 중첩의 원리를 적용한 2:1 응력분포법을 제시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단옹벽이 하단옹벽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으며 하단 옹벽 높이의 두배 이상 이격시, 상호 거동은 독립옹벽으로 거동하였다. 하단 옹벽내 응력 산정방법에 있어서 NCMA의 방법이 가장 보수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2:1 응력분포법중 주동파괴면을 고려하지 않은 방법이 수치해석 결과와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