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답패킷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 Dynamic ACK Regeneration Scheme to Improve TCP Performance over Asymmetric Networks (비대칭 망에서 TCP 성능 향상을 위한 동적 응답 패킷 재생성 기법)

  • Ahn, Joon-Chul;Lee, Ji-Hyun;Lim, Ky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562-564
    • /
    • 2005
  • 비대칭 율이 높은 비대칭 망에서 동작하는 TCP의 성능은 상향 링크의 혼잡 발생 여부에 좌우된다. 상향 링크에 실리는 응답 패킷 트래픽이 링크의 대역폭을 넘어서게 되면 응답 패킷이 손실되거나 전송 지연이 길어져서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향 링크의 혼잡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응답 패킷 필터링/재생성 기법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기법의 문제점을 해결한, 송신측 TCP의 상태에 따라 응답 패킷 재생성 작업을 수행하는 동적 패킷 재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정확한 응답 패킷을 재생성하고, 이를 순서 뒤바뀜 없이 송신측에 전송하도록 하여 혼잡 제어 구간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 TCP가 혼잡 제어 상태에 있는 동안에만 응답 패킷 재생성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응답 패킷 트래픽과 패킷 재생성에 드는 부하를 줄인다.

  • PDF

A study on distribution comparison of response packets for major portal sites (주요 포털사이트의 응답패킷분포에 관한 연구)

  • Ryu, Gui-Yeol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3
    • /
    • pp.437-444
    • /
    • 2013
  • The object of study is to verify the distributions of response packets of 3 portal sites such as Naver, Daum, Nate. The period of experiments is from May 19th 2010 to November 7th 2012 and the number of experiments is 4,642. The distributions of Naver, Nate are biomodals. The distribution of Daum has long right tails. 3 distributions are different under 1% significance level using chi-square test and two sample Kolmogorov-Smirnov test. From proportions and percentiles, Naver has a distribution with the largest values. Nate is the second place, and Daum has a distribution with the smallest values. We must make portal pages light to increase response speed including other technologies. We expect our results to activate competition among portal sites.

A Timer-based TCP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for Enhancing Throughput and Fairness (전송률과 공평성 향상을 위한 타이머 기반 TCP혼잡 제어)

  • Lee, Jong-Min;Cha, H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54-156
    • /
    • 2005
  • 본 논문은 TCP의 무선 환경에서의 전송 성능 감소와 패킷 왕복 시간에 따른 대역폭 선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타이머 기반의 혼잡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TCP는 패킷 손실 확률이 많은 무선 환경에서 네트워크 혼잡에 의한 패킷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느린 전송률 증가로 인해 전송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 또한, TCP 송신자는 전송률을 결정하는 전송 윈도우를 수신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받을 때만 조정시키므로, 패킷의 왕복 시간의 차이에 따른 전송률 편중 현상과 다수개의 응답 메시지에 의한 과도한 트래픽 발생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타이머 기반의 TCP 혼잡 제어 방식은 패킷의 전송 시간 간격을 타이머로 조정함으로써 무선 환경에서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고 패킷의 왕복 시간 차이에 따른 전송률 편중 현상을 완화시키며 다수개의 응답 메시지에 의한 과도한 트래픽의 발생을 제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실제 환경에서 구현되었으며,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A Modified Leader-based Protocol for Reliable Multicast In Multi-access Wireless LAN (다중접속 무선 LAN 환경에서 효율적 인 멀티캐스트 서비스)

  • 김철규;최덕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313-315
    • /
    • 2001
  • 멀티캐스트 서비스는 한 단말이 수신 그를 내의 여러 단말들에게 같은 내용의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채널 다중 접속 무선 LAN(Wireless LAN)의 작은 셀 환경을 기반으로 효율적 인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들이 동시에 하나 이상의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패킷 충돌(collision)이 발생하여 수신단말은 정확하게 패킷을 수신할 수 업다. 그러므로 하나의 단말만이 전송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서 비스를 위해서는 단일 채널 다중 접속 방법을 그리고 무선 링크의 높은 에러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재전송 기법(ARQ)을 고려해야 한다. 제안하는 MLBP(modified Leader-Based Protocol)는 멀티캐스트 그룹 내에서 리더(leader)를 선정하고 이 리더가 송신단말에게 피드백 정보를 대표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에러가 있는 패킷을 리더 외의 단말들이 수신 했을 경우에 재전송을 유도하기 위해 리더는 긍정응답(ACK) 패킷을 전송하지 않고 침묵한다. 리더 외의 단말이 에러가 있는 패킷을 수신했을 경우 각 단말들은 지체 없이 부정 응답(NAK)을 전송하여 이를 수신하는 단말에서 패킷 충돌을 유발시키고 재전송을 유도한다. 기존의 지연응답(delayed feedback) 방법과 확률적 방법을 사용한 기법들을 분석하여 측정 한 성능을 비교한 결과 제안하는 mLBP이 다른 두 기 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 PDF

Dynamic timer Mechanism for Advanced TCP-DAD at High-speed Network (고속 네트워크에서 동적인 타이머 조절 기법을 통한 향상된 TCP-DAD)

  • Kang, Dong-Min;Park, Min-Woo;Park, Sun-Ho;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348-1351
    • /
    • 2009
  • 패킷 재배치(packet reodering)는 전송한 패킷의 순서가 처음과 다르게 뒤섞여 수신지에 도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패킷 재배치는 불필요한 재전송이나 불필요한 혼잡 제어를 수행하여 TCP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패킷 재배치에 의한 TCP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법이 소개되었다. TCP-DAD는 기존 TCP에서 3으로 고정된 중복 응답 임계값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잘못된 혼잡 제어를 예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한 패킷의 수가 많을 때, 패킷 재배치를 경험할 확률이 높으며, 패킷 재배치에 의해 잘못된 혼잡 제어가 일어날 가능성 많다.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혼잡 윈도우 크기 변화의 폭이 매우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복 응답 임계값을 조절하는 TCP-DAD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패킷 재배치 현상으로 인한 TCP 성능저하를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 TCP-DT를 소개한다. 이는 중복 응답 수에 의존하지 않고 타이머를 통해 혼잡 제어를 수행하는 메커니즘 이다. 본 논문은 NS-2를 사용하여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TCP-DT의 성능 향상을 증명하였다.

A Study on Planning for Leased-line Bandwidth based-on web Traffic (Web 트래픽 기반의 전용 회선 대여곡 결정에 관한 연구)

  • Seo, Sang-Hyeon;Choe, Yeong-Su;An, Seong-Jin;Jeong, Jin-U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8S
    • /
    • pp.2713-2721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Web 사이트를 설계할 때 응답시간과 관련해서 고려되어야 할 요수 중[10,15,16], 인터넷 연결 회선의 대역폭 결정에 참조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 Web 세션 도착율에 따른 응답시간과 회선 이용율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특정 대역폭의 회선에 대해 Web 서비스가 한계 응답시간 내에 보장될 수 있는 Web 세션 도착율의 임계치를 구한다. [15,16].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수집을 위해 실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자체적으로 구현한 패킷 생성기를 이용하여 세션 도착율의 변화에 따른 Web 트래픽을 시뮬레이션한다. 응답시간은 패킷 생성기가 생성한 각각의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요청 패킷이 전송되는 시점부터 HTTP응답 메시지가 도착하는 시점까지의 경과된 시간으로 구하고, 회선 이용율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해 자체 구현한 데이터 수집기로 구한다[3]. 이 실험의 결과는, Web 사이트를 설계할 때 네트워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인터넷 연결 회선의 대역폭 결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쉽고 유용하게 참조될 수 있다.

  • PDF

Smooth Dupthresh Mechanism for Advanced TCP-DAD (중복 응답 임계값의 완만한 조절 기법을 통한 향상된 TCP-DAD)

  • Park, Min-Woo;Kim, Jong-Myoung;Han, Young-Ju;Kwon, Yoon-Joo;Lee, Gil-Jae;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971-974
    • /
    • 2008
  • 오늘날 네트워크는 장비의 발달로 인해 패킷 재배치(packet reordering)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패킷 재배치는 TCP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TCPDAD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TCP-DAD는 중복 응답 임계값을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TCP의 패킷 재배치 문제를 완화하는 메커니즘이다. 하지만 TCP-DAD는 중복 응답 임계값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에 문제가 있어 패킷 손실이 일어날 경우, 패킷 손실에 대한 복구가 늦어지고 심지어 재전송 타이머가 불필요하게 종료되어 TCP의 성능저하를 야기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TCP-DAD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중복 응답 임계값 조절 기법으로 Smooth-dupthresh를 제안한다. NS-2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Smooth-dupthresh 기법을 적용한 TCP-DAD가 기존의 TCP-DAD 보다 평균적으로 약 8%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증명하였다.

Split-Acks Scheme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TCP Short Traffic Service in Wireless Environments (무선환경에서 TCP Short Traffic 서비스의 성능향상을 위한 응답패킷 분할 전송 기법)

  • 진교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307-312
    • /
    • 2000
  •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CP short traffic services in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s, the Split-ACKs(SPACK) scheme is proposed. In wireless networks, unlike wired networks, packet losses will occur more often due to high bit error rates. Therefore, each packet loss over wireless links results in congestion control procedure of TCP being invoked at the source. This causes severs end-to-end performance degradation of TCP. In this paper, to alleviate the TCP performance, the SPACK method split acknowledgement packets in the base station is proposed. Using computer simulation the performance of TCP using SPACK is analyzed and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raditional TCP protocol.

  • PDF

Split-ACK Scheme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TCP Short Traffic in Wireless Environment (무선환경에서 짧은 TCP 트래픽의 성능향상을 위한 응답패킷 분할 전송 기법)

  • 진교홍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5 no.5
    • /
    • pp.923-930
    • /
    • 2001
  •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CP short traffic services in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s, the Split-ACKs(SPACK) scheme is proposed. In wireless networks, unlike wired networks, packet losses will occur more often due to high bit error rates. Therefore, each packet loss over wireless links results in congestion control procedure of TCP being invoked at the source. This causes severe end-to-end performance degradation of TCP. In this paper, to alleviate the TCP performance, the SPACK method, split acknowledgement packets in the base station, is proposed. Using computer simulation, the performance of TCP using SPACK is analyzed and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raditional TCP protocol.

  • PDF

A study on Packet Losses for Guaranteering Response Time of Service (서비스 응답시간 보장을 위한 패킷 손실에 관한 연구)

  • Kim Tae-Kyung;Seo Hee-Seok;Kim Hee-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3
    • /
    • pp.201-208
    • /
    • 2005
  •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for user request, we should consider various kinds of things. The important thing of QoS is that response time of service is transparently suggested 'to network users. We can know the response time of service using the information of network latency, system latency, and software component latency, In this paper, we carried out the modeling of network latency and analyzed the effects of packets loss to the network latency, Also, we showed the effectiveness of modeling using the NS-2. This research can help to provide the effective methods in case of SLA(Service Level Agreement) agreement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us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