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답보상

Search Result 281,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Real-time Implementation of Natural Reverberator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자연스러운 실시간 잔향기의 구현)

  • 이동우;김영오;고대식;강성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8.05a
    • /
    • pp.115-11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TMS320C40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실시간 잔향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주파수특성의 보상 및 coloeration의 제거, 그리고 실행코드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연구분석하였다. 주파수특성이 평탄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잔향기를 구성하는 comb필터의 궤환부에 저역통과필터를 추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coloration을 제거하기 위하여 comb 필터의 지연과 allpass 필터의 이득 및 지연을 변화시켜가면서 최적의 값을 결정하였다. 임펄스응답을 이용하여 구현된 잔향기의 특성을 실험한 결과, 실제 공간에서 측정된 임펄스응답의 잔향 시간에 따른 주파수특성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CD음악을 이용하여 44.1kHz에서 실시간 동작시킨 청취실험에서도 자연스러운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Modeling and simulation of Hybrid energy system for smart green building (스마트 그린 빌딩을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An, Boguen;Lee, KyungKyu;choi, Jaeho;Song, Yu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54-15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디젤발전기와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스마트 그린 빌딩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빌딩 하이브리드 에너지시스템은 다양한 전력원을 가질 수 있는데 기존의 디젤발전기에 화석연료를 저감할 목적으로 풍력발전시스템이나 태양광발전시스템과 같은 형태의 신재생에너지원들이 연계 운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젤발전기의 느린 출력응답특성으로 인한 계통 전압 불안정화를 보상하기 위해 응답특성이 빠른 배터리와 슈퍼커패시터로 이루어진 에너지 저장장치와의 연계운전 기술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Dynamic Characteristics of Gain-Clamped L-band EDFA with Bi-directional Pumps (양방향 펌프구조 고정이득 L-band EDFA의 과도응답 특성)

  • Kim, Ik-Sa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 /
    • v.5 no.1
    • /
    • pp.119-133
    • /
    • 2004
  • The gain-clamped EDFA has been developed to eliminate the output power change of WDM surviving channels to occur with added or dropped channels, which degrades the performance of EDM optical network. It maintains the constant gain of surviving channels when WDM channels are added or dropped in a network amplifying node. In this paper, the bi-directionally pumped gain-clamped EDFA is implemented to compensate the change of the input power by a las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alsing of a short wavelength and backward propagation is the optimal condition to minimize the transient response of surviving channels in terms of the overshoot and gain saturation sue to the inhomogeneous broadening effect.

  • PDF

Development of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Compensator with a response time less than 200ms (응답 속도 200ms 이하의 편광모드분산 보상기 개발)

  • Seo Jae-Eun;Kim Sang-In;Jeoug Ki-Tae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8a
    • /
    • pp.47-48
    • /
    • 2003
  • A polarization mode dispersion(PMD) compensator with a reponse time less than 200ms has been developed. In our PMD compensator, a reset-free $LiNbO_3$ polarization controller was used in order to reduce the response time, and the compensation algorithm was based on maximization of degree of polarizaiton(DOP).

  • PDF

Time-Optimal Control of Mechanical Systems With Friction (마찰력을 갖는 기계시스템에 대한 시간최적제어)

  • Kim, Tae-Han;Kim, Yang-O;Ha, In-J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b
    • /
    • pp.770-772
    • /
    • 1999
  • 본 논문은 마찰력을 갖는 기계시스템에 대한 시간최적제어문제의 엄밀한 해를 제시한다. 특히 최적제어입력을 되먹임 형태로 구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미리 보상되거나 무시되던 Coulomb 마찰력까지 완전히 고려하여 빠른 응답을 얻는데 제어입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 PDF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을 위한 음향 신호처리

  • 김래훈;전재진;이신렬;김세웅;임준석;성광모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6
    • /
    • pp.17-3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에서 사용되어지는 음향신호처리에 대하여 저자들이 그간 제안하였던 방법들을 중심으로 다뤘다. 다룬 내용은 첫째로 각 스피커에서 청자의 위치까지의 공간응답의 영향을 배재할 수 있는 역 필터링이고, 둘째로 다채널 스피커의 위치를 파악하여 최적 위치와의 차이를 자동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방법이다. 셋째로 인간의 인지적인 측면을 고려하는 다채널 스피커로부터의 에너지 레벨 정렬 방식에 대하여 다뤘고, 마지막으로 특정공간의 반사음의 분포 패턴을 구하여 이를 일반적인 청취공간에서 재현해 내는 음장 재현 방식에 대하여 요약하였다.(중략)

  • PDF

산업용 로봇트 구동을 위한 서어브장치 설계

  • 하증남;송상섭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7 no.3
    • /
    • pp.34-44
    • /
    • 1980
  • 몸체부분에 3-자유도와 작업용핸드에 2-자유도를 갖는 원통좌표형 산업용로봇트의 구동용 서어보장치 설계에 관한 연구보고임. 몸체구동을 위한 서어보모터의 제어장치는 속도, 위치 및 전자자전류를 궤환시켜 구성한 피이드백시스템으로 싸이리스터 듀얼 콘버터(Thyristor dual converter)를 이용하여 평균직류전압에 DC 서어보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로봇트의 전체적인 동작은 릴레이를 사용하여 구동축을 선택하도록 하였는 바 속도응답특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상회로를 첨가하였음.

  • PDF

Modeling and Design of Average Current Mode Control (평균전류모드제어를 이용하는 컨버터의 모델링 및 설계)

  • Jung, Young-S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5.07a
    • /
    • pp.442-44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평균전류모드제어를 이용하는 컨버터의 연속시간 소신호 모델을 구한다. 평균전류모드제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상기를 적용한 컨버터의 해석을 위해 샘플러를 전류루프에 포함시켜 해석한다. 기존 모델에서는 정확히 해석하기 어려웠던 전류루프 이득의 고주파 영역 해석이 제안한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고주파 영역에서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제안한 모델이 우수한 성능으로 예측 가능함을 보인다.

  • PDF

Ripple Free Multirate Controller Design Using Lifting Technique (리프팅 기법을 이용한 리플 제거 멀티레이트 제어기 설계)

  • Kang, Nam-Hoon;Chung, Chung-Ch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193-2196
    • /
    • 2003
  • 기존의 멀티레이트 입력 (MRIC) 제어기는 제어 입력신호에 채터링 현상이 발생하여 추종응답에 리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리플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피드포워드 보상기를 이용하여 이런 리플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상태 공간에서 현재 추종기를 기반으로 리프팅 기법을 이용한 멀티레이트 입력제어기 설계를 소개한다. 본 제어기를 사용함으로써 제어입력 신호가 채터링이 생기지않음을 이산전달함수 관점에서 최종치 정리를 이용하여 증명한다.

  • PDF

Long Term Outcome of Endoscopically Clipping the Upper Part of R4 Sympathetic Block and R4 Sympathetic Block for the Treatment of Palmar Hyperhidrosis (수장부 다한증에서 Clipping에 의한 흉부4번 교감신경절 상부 차단술과 흉부4번 교감신경절 완전 차단술에 대한 장기성적 비교)

  • Choi, Bong-Chun;Kim, Yong-Han;Sa, Young-Jo;Park, Jae-Kil;Lee, Sun-Hee;Sim, Sung-B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40 no.11
    • /
    • pp.752-758
    • /
    • 2007
  • Background: Thoracic sympathetic block surgery is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for palmar hyperhydrosis, and this maintains sufficient moisture and prevents compensatory hyperhidrosis. To avoid compensatory hyperhidrosis, the authors performed sympathetic block surgery just above the R4 level to maintain sympathetic tone affecting the caudal area. Material and Method: A total of 71 subjects (45 males and 26 femal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Group 1 (31 patients, mean age: 25.5 years) had clips placed both on the upper and lower part of R4 sympathetic ganglion, and group 2 (40 patients, mean age: 25.9 years) underwent clipping of the upper part of R4. Telephone surveys were done to collect data on 8 categories, and the average follow up interval was 24.9 months (group 1) and 18.9 months (group 2). Result: For group 1, 41.9% experienced no sweating and 48.4% re-plied they experienced some sweating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conditions. Group 2 showed that 60% experienced no sweating and 35% replied they experienced some sweating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conditions, 58.1% in group 1 experienced sweating right after the surgery, and 40.0% in group 2 experienced the same. Group 1 (38.1%) and group 2 (37.5%) replied they experienced no hand dryness and more patients in group 2 than in group 1 had hand dryness, but without uncomfortable symptoms. 71.0% (group 1) and 62.5% (group 2) replied they had no compensatory hyperhidrosis or related symptoms. One patient in group 1 and two in group 2 reported they regretted undergoing the procedure. The regions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were the back, thigh and chest in group 1 and the group 2 reported the back, chest, and abdomen in the order of frequency. Fewer incidences of the gustatory hyperhidrosis were noted in group 2. Mos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treatment. Conclusion: Clipping the upper part of the R4 ganglion or R4 sympathetic block are both effective for treating palmar hyperhidrosis and these treatments decrease the occurrence or symptoms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The upper R4 sympathetic block procedure is easier and safer with fewer incidences of gustatory hyperhidrosis and a higher percentage of patient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