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급부

Search Result 13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Guideline of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in Triages and Entrances Area in Emergency Departments for Efficient Infection Control (응급부 진입구역과 환자분류구역의 감염관리를 위한 환자동선과 공간구성 계획에 대한 연구)

  • Kang, Jeeeun;Kwon, Soonj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25 no.1
    • /
    • pp.41-49
    • /
    • 2019
  • Purpose: After Mers breakout in 2015, major hospital in Korea have been renovated the emergency department to make a separate infection control zone for high-risk patient with potential infection and to improve a triage area and an entrance area for efficient patient evaluation.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design standards to reinforce infection control for patients and staffs safe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of initial design factors in the triage and entrance area as a guideline. Methods: 5 cases which had been recently renovated are selected to analyze patient circul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in a triage area and an entrance area. The partial floor plans of each case are represented as bubble diagrams to help understanding of different patient circulation flows. Based on this analysis, significant design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stage for infection control have been extracted. Results: 13 design factors are established. Using these design factors, patient circulation diagram is generated to provide an optimized suggestion for efficient infection control. Implications: This suggestion provides basic databases to start to establish design guideline in the triage area and the entrance area to minimize infection spread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응급구조사 해외연수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 Gwon, Chang-Hui;Kim, Jeong-In;Hwang, Hyeong-Gyu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2a
    • /
    • pp.43-5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 운송부 산하 고속도로교통안전국에서 규정한 EMT-I 의 미 국립표준교과과정을 알아본 뒤, 기존 피츠버그 의과대학 응급의료센터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에 대하여 소개하고 미 국립 응급구조사 협회의 연차보고서를 토대로 EMT-I 자격의 미국 내 시행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각 주별로 제공되는 교육과정의 내용과 EMT-I 구급대원의 활동범위에 대하여는 응급 의료시스템 잡지의 주 별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장기적인 추진과제인 Paramedic 과정 개설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 PDF

A Study on Wearable Emergency Medical Alarm System (착용형 응급의료 경보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Dong-Wan;Beack, Seung-Hwa
    • Journal of IKEEE
    • /
    • v.10 no.1 s.18
    • /
    • pp.55-61
    • /
    • 2006
  • In modern society,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as extended the human life span. However, it has also caused some side-effects. Mostly old people who live alone are not available the medical service quickly when they are in emergency situations. Moreover heart related diseases as well are rapidly increasing with aging. This study proposes the emergency medical alarm system. This system measures the physiological signals such as ECG(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and motion data, analyzes those data automatically, and sends the urgent message to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to their family. There are two main parts in the system. In the first part, physiological data acquisition part, the troublesome addition and deletion of body signals on existing proposed systems have been supplemented, which led to the modulized production by means of ECG sensor module, temperature sensor module, acceleration sensor module. The other part is mobile unit, which includes signal processing and transmission functions. And bluetooth allows two part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ata that are processed in the mobile unit are stored in the PC database through the WLAN using TCP/IP protocol.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mergency Recognition System based on Multimodal Information (멀티모달 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 인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Eoung-Un;Kang, Sun-Kyung;So, In-Mi;Kwon, Tae-Kyu;Lee, Sang-Seol;Lee, Yong-Ju;Jung, Sung-T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2
    • /
    • pp.181-190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multimodal emergency recognition system based on visual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and gravity sensor information. It consists of video processing module, audio processing module, gravity sensor processing module and multimodal integration module. The video processing module and gravity sensor processing module respectively detects actions such as moving, stopping and fainting and transfer them to the multimodal integration module. The multimodal integration module detects emergency by fusing the transferred information and verifies it by asking a question and recognizing the answer via audio channel.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rate of video processing module only is 91.5% and that of gravity sensor processing module only is 94%, but when both information are combined the recognition result becomes 100%.

Organisation des Rettungsdienstes in Deutschland (독일의 응급구조업무의 조직)

  • Kim, K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00-302
    • /
    • 2015
  • 독일의 응급구조업무의 조직은 독일 기본법(GG) 제30조, 제70조에 따라 오로지 연방부들에게 있다. 유럽 연합은 기술적 조직적 통일성과는 별도로 각각의 국민들의 건강보호의 일부분으로 응급구조의 조직과 재정에서 상당히 광범위하게 재량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럽연합의 시스템과 정책들의 입법적 조화를 사실상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독일연방주들은 자신들의 주응급구조법률(LRDG)에서 응급구조업무의 보장을 일반적으로 재차 지방자치단체(주 근교도시중심)에게 독자적인 업무로서 인정하고 있다(가령 슐레비히 홀스타인주 응급구조법(RDGSH) 제6조). 이러한 주들은 응급구조를 자신의 관할지역에 대해 준비하고 스스로 운영하거나 운영통제할 수 있는 구조목적의 단체들(RZV)과 공동협력을 할 수 있다. 각각의 업무능력과 법적인 기준에 따라 구조 목적의 단체들(RZV)은 자신의 이름으로 응급구조를 운영하거나 하나 또는 다수의 기관(공공 구조서비스 혹은 사설 구조서비스)에게 시행을 위임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경우 의사가 직접 현장 의료를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최근 입법을 통해 응급구조사의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있으며, 질적 향상을 통해 응급의사와 응급구조사의 권한범위에서 독일 응급구조사의 권한확대가 시도되고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 PDF

Design of the Secured SMTP Gateway for Spam-Mail Interception (스팸메일 차단을 위한 SMTP 보안 게이트웨이 설계)

  • Lee, Chang-Sung;Lee, Eun-Sun;Han, Young-Ju;Kim, Hee-Seung;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87-1090
    • /
    • 2004
  •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기업의 업무, 커뮤니케이션 등이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정보 전달의 통로로써 전자 메일의 사용이 나날이 늘어남과 동시에 전자 메일을 통한 스팸메일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한 심각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스팸메일을 막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대부분 메일 서버내의 정책에 따른 메일 필터링 방식으로써 완벽한 스팸메일 탐지를 제공하지 못하며, 스팸메일로 인한 메일서버 및 네트워크 자원 손실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팸메일 탐지율을 높이고 네트워크 내 자원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SMTP 보안 게이트웨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SMTP 보안 게이트웨이는 스팸메일 차단 규칙에 의한 메일 필터링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룰에 정의되지 않은 메일에 대해서는 사용자 선택에 기반한 메일 전송을 제공한다. 이는 규칙에 정의되지 않은 스팸메일에 대한 탐지 가능성을 높이며, 궁극적으로 메일서버의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wearable Patient Monitoring System (착용형 환자감시장치 구현에 관한 연구)

  • Kim, Dong-Wan;Beack, Seung-Hwa;Paek, Seung-Eun;Kim, Bo-R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d
    • /
    • pp.2956-2958
    • /
    • 2005
  • 현대 사회는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 수명의 연장과 핵가족화로 인하여 혼자 지내는 노인이 많아지면서 응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노령화로 인한 심장관련 질환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 체온, 움직임 등의 생체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응급상황 발생시 응급의료센터와 보호자에게 구조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시스템은 크게 생체신호 획득을 위한 생체신호 획득부와 생체신호 처리 및 전송,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바일 부로 나눌 수 있으며 블루투스를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또한 모바일 부에서 처리된 신호는 802.11b WLAL을 통하여 PC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 PDF

DYNAMIC MODEL DURI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LIFTING POSTURES (응급구조사들의 들어 올리는 자세의 동역학적 모델 분석)

  • Shin, Dong Min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 /
    • v.8 no.1
    • /
    • pp.169-178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구조사들이 긴 척추고정판을 이용하여 환자를 들어 올리는 3가지 다른 자세와 다른 3가지 부하 조건을 이용하여, 요추 4번과 5번의 압축력, 전단응력 그리고 합력의 변화를 동역학적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분석이다. 연구방법 : 36명의 남자가 본 연구의 실험에 자발적으로 동원되었으며, 나이는 평균 21.42세이고, 신장은 평균 174.05cm이며, 체중은 평균 78.05kg이다. 이 실험에서 부하 조건은 50, 70, 90kg이고, 들어 올리는 높이는 지상에서부터 95cm 이었으며, 들어 올리는 동안의 회전고리는 110cm이었다. 운동현상학적 자료는 2-D ProReflex Motion Capture Camera을 이용하였으며, sampling rate는 60Hz로 하였다. 결과 및 논의 : 동역학적 데이터 자료를 근거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Lunge 자세기술에서 전단응력과 합력 등이 최소의 stress로 요추 4번 5번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Lunge 기술에서 압축력은 약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Stooped 자세기술에서는 아주 큰 전단응력과 합력 등이 요추 4번, 5번 관절에 넓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상해의 원인이 된다고 사료된다. 특히 응급구조사들이 들것을 들어 올릴 때 너무 큰 전단응력이 요추 4번, 5번 관절에 작용을 하면 비정상적으로 병리학상 또는 해부학상 신체적변화가 온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래서 응급구조사들에게 들것을 들어올리는 stooped 자세는 아주 크고 많은 합력 작용하기 때문에 권고될만한 기술이 아니라고 해석 된다. Squat 자세에서 중간 정도의 압축력, 전단응력 그리고 합력이 작용된다. 만약 응급구조사가 전단응력 그리고 합력이 요추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걱정된다면, lunge 자세가 두 가지 힘을 줄여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응급구조사가 들것을 들어올리는 데는 squat 자세 기술이 가장 좋다고 사료 된다.

  • PDF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and the Optimum Scale of the Emergency Center In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응급센터의 거주후 평가와 적정 규모 결정에 관한 연구)

  • Lee, Teuk-K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 no.1
    • /
    • pp.21-32
    • /
    • 1995
  •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 criterion to determine the scale of emergency beds and emergency wards equipped in general hospitals in the suburbs of Seoul. A new, large hospital (over 1000 beds) located in the southeast area of Seoul was selected and investigated for the case of this study, and throuh the P.O.E. a few mistakes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ca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there came to light. Joining toge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scale determination method devised by us (Lee's formula) was verified, and finally the optimum sca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this general hospital was proposed.

  • PDF

Moderate Analysis of Motorcycle Injury Patients (오토바이 손상환자의 중등도 분석)

  • You, In-gyu;Lim, Chung-Hwan;Kim, Je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209-21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에서 중증 응급환자를 위한 '중증질환별 특성화 센터'로 지정된 안양의 H병원에서 오토바이 사고로 인해 응급실을 내원하여 중증외상 환자로 분류된 환자를 대상으로 보건복지부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정한 중증외상 등록체계를 바탕으로 중증도를 분석하여 손상기전과 생존의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