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향 정보

Search Result 1,30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Object-based Realistic Audio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 개발)

  • Jang, Daeyoung;Lee, T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29-43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채널기반의 오디오 기술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고, 재생환경에 독립적인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현재, 극장 사운드를 중심으로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이 적용된 사운드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 차세대 방송용 오디오에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은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 재생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현장의 음향을 신호와 3 차원 공간 정보로 구분하여 음향 공간의 정보를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재생환경에서는 3 차원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3 차원 음향 재생 기술을 활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편리한 제작 및 3 차원 공간 정보 표현 기술이 필요하며, 청취환경에서는 객체기반 실감음향 콘텐츠를 제작자의 의도대로 렌더링할 수 있는 재생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의 기술동향과 객체기반 실감음향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표현/제작 및 재생 기술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Bidirectional BLE enabled Audible Pedestrian Signal for Visual Impaired Pedestrian (양방향 통신 지원 시각장애인용 BLE 기반 음향신호기)

  • Kim, Ju-Wan;Kim, Jungsook;Na, Dong-Gil;Kim, H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
    • /
    • pp.99-106
    • /
    • 2017
  • Audible Pedestrian Signal(APS) is an additional equipmen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pedestrian signals in non-visual formats such as audible tones and verbal messages. It can provide information to pedestrians about the location and directions of a crosswalk, and the traffic signal status. In general, a pedestrian who is visually impaired uses a 358.5MHz wireless remote controller to activate the APS and crosses at the crosswalk with the help of the APS. The existing APS can only receive an activation message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refore, the APS has an issue, especially at intersections, that all APS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remote controller are activated simultaneously. It makes to confuse the visual impaired pedestria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E-enabled APS that can enable two-way communication via Bluetooth with a smartphone. The proposed system solves the problem and provides them with additional information, so that visually impaired pedestrians can cross at the crosswalk more conveniently.

Proposal of High Quality Audio DSP System using Flexible Filterbank for Pro-Audio Equipment (Pro-Audio 장비용 가변형 필터뱅크 기반 고품질 음향 DSP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제안)

  • Song, Chai-Jong;Yang, Chang-Mo;Lim, Tea-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450-145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음향 확성 환경과 음향신호의 입 출력 조건에 최적화된 음향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생성 및 적용 가능한 음향 신호처리용 시스템으로서, 가변형 필터뱅크 기술 및 상황 적응적 필터 재조합 재배열 기술을 음향 신호처리용 DSP에 적용함으로서 Pro-Audio 장비, 방송 음향장비, 산업 음향장비와 같은 다양한 음향관련 장비에서 고품질 음향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핵심 기술인 가변형 필터뱅크 기반 고품질 음향 DSP 시스템 개발을 제안한다.

Digital Video Record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Car Accident Sounds in the Parking Lot. (주차장 차량사고 음향분류 DVR시스템)

  • Yoon,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429-432
    • /
    • 2010
  • 주차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사건 사고가 발생하는데, 기존 DVR(CCTV)는 단순 영상녹화 기능만 지원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DVR의 영상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서 입력되는 영상과 사운드 신호를 대상으로, 해당 영상이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종류를 파악하여, 특정 음향이 발생한 영상구간을 저장하여 이를 검색할 수 있다면, 주차장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사건 사고를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차량관련 음향(충돌음, 과속음, 경적음, 유리파손, 비명)을 분류하기 위해 효과적인 특징벡터를 제안하고, 제안한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신경망 차량음향분류기를 설계하여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차량음향을 분류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신경망 차량음향분류기를 DVR시스템과 연동하여,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실시간 분석하고, 특정 소리가 발생한 영상구간을 기록함으로써, 음향 키워드에 의해서 해당 사고영상을 검색 및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Decision Fusion for Target Identification System (수중 음향 표적 식별 시스템에서의 Decision Fusion)

  • Yoon Gi-Bum;Kim Nam-Hoon;Ko Hanseok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31-13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각 지역의 수중 음향 센서로부터 중앙의 정보 융합 센터로 전송되어진 동일한 또는 상이한 표적의 Identity 정보들을 종합해 최종적으로 표적의 Identity를 결정하는 Decision Fusion 기법을 다룬다. 기존의 연구는 표적의 속성 정보로부터 정보 융합을 통해 표적의 Identity를 선택하는 기법을 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보다 한 단계 나아가 선택된 표적의 Identity들로부터 운용자가 가장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표적의 Identity 결정을 위한 Decision Fusion 기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수중 음향 표적 식별 시스템에서의 Identity Decision Fusion 기법으로 Voting 기법, 센서 정보의 신뢰도를 고려한 Weighted Voting 기법, 그리고 다 기준 의사 결정 기법인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기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평가한다

  • PDF

Multi-Channel Audio Coding Method with Virtual Source Location Information (멀티채널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서 가상 음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압축 재생 방법)

  • Moon Han-gil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65-168
    • /
    • 2004
  • 본 논문은 방송 및 통신 환경을 이용한 멀티채널 음향 재생 환경에서 다수 객체의 음상 정위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되는 정보의 양을 최소화 하면서도 재생되는 음향공간에서는 다수의 음향 객체들이 충실하게 재생되어 자연스러운 음향공간이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가 한다. 기존 방법의 경우, 전송 선로를 통해 음원을 압축하여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멀티채널 신호를 합한 모노신호와 채널 신호사이의 음량차이(ICLD), 시간지연 차이(ICTD), 상관도(ICC)등을 전송하는 양귀단서 신호화 기술(Binaural Cue Coding)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채널 음원을 분석하여, 음원의 가상 위치정보를 벡터적으로 표현하고, 이 위치벡터와 멀티채널 음원을 하나의 모노 음원으로 다운 믹스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극대화 한 압축 재생 방법을 제시한다.

  • PDF

Hybrid Audio Technology Trends for Immersive Sound Service (고현장감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동향)

  • Jang, D.;Lee, Y.J.;Yoo, J.;Lee, 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3
    • /
    • pp.81-90
    • /
    • 2016
  • 현재, 극장 사운드를 중심으로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포맷의 사운드 서비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한국 등에서는 차세대 방송용 오디오에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은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 재생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현장의 음향을 신호와 3차원 공간정보로 구분하여 음향공간의 정보를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재생단말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편리한 제작 및 3차원 공간정보 표현 기술이 필요하며, 청취환경에서는 객체기반 실감음향 콘텐츠를 제작자의 의도대로 렌더링할 수 있는 재생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이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게임엔진연재 / 현장감 있는 입체음향 구현을 위하여

  • Kim, Hyeon-Bin
    • Digital Contents
    • /
    • no.7 s.122
    • /
    • pp.128-131
    • /
    • 2003
  • 사람은 두 귀를 사용해 어떤 소리를 들었을 때, 그것이 3차원 공간상의 어느 지점과 방향으로부터 들려오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음이 속한 음향적 환경(예를 들면 실내, 야외, 강당, 동굴 등)을 구분할 수 있다. '3D사운드'란 음원이 발생한 공간에 위치하지 않은 청취자가 음향을 들었을 때에 방향감, 거리감 및 공간감을 지각할 수 있도록 음향에 공간 정보를 부가한 음향을 말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MSF encoder (MSF 파일형식 작성기 구성에 관한 연구)

  • 조철우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371-374
    • /
    • 1998
  • 기존에 제안되어 있는 MSF 멀티미디어 파일을 이용하여 음성화일에 동화상 얼굴정보 및 문자정보를 부가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임의의 소리화일에 동영상 얼굴정보를 부가하는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과정과 결과를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