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이온교환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2초

강 염기성 음이온 교환수지의 셀룰로우스 섬유용 반응성 염료에 대한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trong Basic Anion Exchanger to Cellulose Reactive Dye)

  • 임경은;정팔진;권지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7-32
    • /
    • 2007
  • This study focused on estimating the feasibility of a strong basic anion exchanger (PA312OH) as a sorbent for the removal of residual reactive dye and saving chemicals and water. Cellulose reactive dye C.I.RB49 was tested because reactive dye is the largest single group of dyes and that dye needs larger amount of inorganic salts as dyeing agent but nearly 50% of reactive dyes may be lost to the effluent.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A312OH for C.I.RB49 were as follows. Ion-selectivity among the dye and inorganic salts was Dye > ${SO_4}^{2-}$ > ${CO_3}^{2-}$ > $Cl^-$. C.I.RB49 was exchanged more than 3 times ${SO_4}^{2-}$ and ${CO_3}^{2-}$ and $Cl^-$ was not exchanged absolutely. The exchanging velocity was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is result is positive effect on treating the high temperature dyeing process wastewater. The exchanged dye percents to initial were 96.8% and 99% at flow rate 20.5 mL/min. and 3.7 mL/min.. The exchanging capacity of PA312OH for C.I.RB49 was 215.2 mg/g at conc.=369.2 mg/L, Temp.=$25^{\circ}C$. 74% inorganic salts were recrystallized from real dark reactive color dyeing wastewater treated with PA312OH.

원전발생 방사성폐기물 시료 중 초우란원소의 정량 (Determination of Transuranic Elements in Radwaste Samples from Nuclear Power Plant)

  • 조기수;김태현;전영신;지광용;김원호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351-357
    • /
    • 2003
  • 원전발생 방사성폐기물 시료 중 TRU를 정량하기위해 모의 사용 후 핵연료 시료 용액 중 Pu, Am 및 Cm 을 이온교환수지 및 HDEHP 추출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다음 알파분광분석법으로 각 핵종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Dowex AG1 음이온수지 에서 12M HC1-0.lMHI 용리액으로 Pu를 분리하고 이차분리관인 HDEHP 흡착 분리 관에서 DTPA-Lactic Acid 용리액으로 Am과 Cm을 군분리하였다. 분리된 Pu, Am 및 Cm은 0.1M $NaHSO_4$-0.53M $Na_2SO_4$ 매질에서 전착한 다음 알파분광분석법으로 $^{239}Pu$, $^{241}Am$$^{244}Cm$의 알파에너지의 방사능을 측정하여 회수율을 추하였다. 비방사성 금속원소 및 우라늄을 포함하는 합성용액 시료중 $^{239}Pu$, $^{241}Am$$^{244}Cm$ 을 측정한 결과 각각 83.8%, 85.2% 및 86.3% 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 PDF

가압살균한 양배추즙액의 미생물번식 저해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Autoclaved Cabbage Juice)

  • 한덕철;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4-79
    • /
    • 1995
  • $121^{\circ}C$에서 15분간 가압살균한 양배추즙액은 미생물번식 저해작용을 나타내기도 하였는데 이 가압살균한 앙배추즙액의 미생물번식 저해작용에 대한 미생물의 감수성은 미생물마다 차이가 있었다. 대체로 그람양성세균 중에서 젖산균은 내성이 컸던 반면 기타 그람양성세균은 내성이 낮았다. 효모의 번식도 대체로 크게 저해를 받았으며 그람음성세균은 비교적 저해정도가 적었다. 가압살균한 기타 다른 채소도 미생물번식 저해작용이 관찰되었다. 희석하지 않은 가압살균한 앙배추즙액에서는 번식 하지 못하였던 S. aureus와 C. utilis가 가압살균한 양배추즙액을 물로 희석한 경우 번식한 것을 보면 번식저해의 원인이 영양분 부족때문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양배추즙의 가열 조건을 달리한 경우의 미생물번식을 보면 $100^{\circ}C$에서 20분, 30분 가열시에는 번식 저해효과가 없었고, $121^{\circ}C$에서 5분, 10분, 15분 가열하였을 때는 번식저해효과가 있었다. 양배추즙을 가열시 발생하는 저해물질은 가열온도가 높고, 가열시간이 길수록 더 많이 생성되었으며, 가압살균한 앙배추즙액에 의한 미생물번식 저해작용은 cysteine과 glutathione에 의해 어느 정도 반전되었다. 가압살균한 양배추즙액을 음이온교환수지처리하면 미생물번식 저해작용이 없어졌으나 이는 양배추의 항미생물성 물질이 높은 pH에서 불안정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었다.

  • PDF

표고버섯으로부터 분리한 렉틴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ectins Isolated from Lentinula edodes)

  • 김영신;조남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79-88
    • /
    • 2001
  •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으로부터 0.15 M NaCl 용액에 의하여 crude lectin을 추출하였으며, 황산암모늄에 의한 침전 음이온교환수지 및 hydroxyapatite 컬럼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정제하였다. 버섯균산과 균병으로 나누어 추출된 crude lectin의 양에 있어서는 균산부분이 균병부분에 비하여 2배 이상 높은 lectin을 함유하였으며, 가열한 버섯에서는 lectin의 함량 및 활성은 미처리보다 감소되었다. 건조된 균산 50 g으로부터 얻은 crude lectin은 720 mg으로서 46.03%의 수율로 얻었으며, DEAE Sephadex A-50 column에 의한 분리, 정제 후 정제된 lectin 201 mg을 crude lectin의 28%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Crude lectin을 정제함으로서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및 histidine등의 아미노산이 증가되었고, glutamic acid, glycine, leucine, tyrosine 및 methionine 등이 lectin에는 검색되지 않았다. DEAE Sephadex A-50 column의 chromatograpy를 통해 분리 정제한 활성을 지니는 lectin의 주된 부분은 Agglutinating test 결과, fraction A 및 B는 적혈구응집활성을 나타냈으며, 약 23 kDa의 분자량을 가지고 있었다. 활성을 지니는 부분을 다시 hydroxyapatite column에 의해 정제하여 얻은 LA-a와 LB-b는 각각 24 kDa과 23 kDa의 분자량을 나타냈다.

  • PDF

향상된 에너지 저장 능력을 가진 이중 전이금속 황화물 계층적 중공 구조의 나노구 (Binary transition metal sulfides hierarchical multi-shelled hollow nanospheres with enhanced energy storage performance)

  • 이영훈;최형욱;김민섭;정동인;;강봉균;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2-117
    • /
    • 2018
  • 금속 알콕사이드인 CuCo-glycerate 나노구의 용매열합성 과정을 통해 단분산된 Cu-Co 이중 금속 황화물 계층적 중공 구조의 나노구($CuCo_2S_4$ HMHNSs)를 합성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반응 메커니즘에서 용매열합성 온도와 보조 계면활성제인 glycerol의 양은 CuCo-glycerate 나노구의 형태를 최적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CuCo_2S_4$ HMHNSs는 glycerate와 황 이온 간의 음이온 교환 반응을 통해 10시간의 최적화된 황화 반응 조건하에서 성공적으로 합성되었다. 최종적으로 합성된 물질의 구조적, 화학적 특성은 SEM, TEM, XRD와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에 의해 확인되었다.

유기산용액에서 우라늄과 바나듐의 화학종에 관한 연구 (Chemical Species of Uranium and Vanadium in Organic Acid Media)

  • 차기원;유공식;김종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15-622
    • /
    • 1985
  • 옥살산과 아세트산 용액의 농도변화에 따른 우라늄과 바나듐의 음이온교환수지로부터의 용리거동 및, UV및 스펙트럼 변화로부터 이들 이온의 화학종과 평형관계를 연구하였다. 0.005~0.5M 옥산살산 용액속에서 우라늄과 바나듐은 각각 $UO_2(C_2O_4)_2^{2-}$, $UO_2(C_2O-4)_3^{4-}$$VO_2(C_2O_4)_2^{3-}$의 화학종으로 존재하고, 0.01~0.1M의 아세트산 용액에서 우라늄은 $VO_2(Ac)_2^0$, $UO_2(Ac)_3^{1-}$의 화학종으로 존재하며, 바나듐은 $VO_2^++2Ac^-=VO_2(Ac)_2^-$의 평형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PWR 사용후핵연료내 플루토늄의 전기량적 정량 (Coulometric Determination of Plutonium in PWR Spent Fuels)

  • 손세철;서무열;김정석;송병철;지광용;최인규;김원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81-586
    • /
    • 2000
  • 가압경수로형 사용후핵연료에 포함된 플루토늄을 분리하여 전기량 적정방벙으로 정량하였다. 플루토늄은 음이온 교환수지(AG MP-1)를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플루토늄의 정량은 조절전위전기량 적정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루토늄 분리와 관련된 산화상태 조절, 분리 회수율 및 정량과 관련된 몇 가지 전기량 적정조건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플루토늄은 산화상태를 조절하여 분리하는 것이 정량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높였으며, 플루토늄의 전기량 적정결과에 미치는 몇 가지 금속이온들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플루토늄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측정한 전기량 정량결과에 대한 정확도는 회수율로 나타냈을 경우 0.230∼3.02 mg 범위에서 99.36%이었다. 가압경수로형 사용후핵연료 용해용액들에 포함된 0.250∼0.450 mg의 플루토늄을 적정하여 얻은 전기량 정량결과에 대한 평균 정밀도(상대표준편차, RSD)는 0.38%이었다.

  • PDF

Poly(vinylbenzyl ammonium salt)를 이용한 Pore-filled 이온교환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ore-filled Ion-exchange Membranes using Poly(vinylbenzyl ammoninum salt))

  • 변홍식
    • 멤브레인
    • /
    • 제11권3호
    • /
    • pp.109-115
    • /
    • 2001
  • Polypropylene(PP)을 지지막으로 하여 in-situ 가교결합(cross-linking)방식을 이용한 pore-filled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다공성 PP막의 기공에 poly(vinylbenzyl chloride)(PVBCI)과 piperazine(PIP), 또는 1,4-diaminobicyclo [2,2,2]octane(DABCO)을 dimethylforamid(DMF)에 녹인 용액을 채워서 겔화시킨 후, 남아있는 chloromethyl 그룹에 trimethylamine을 이용하여 양이온인 암모니움 site를 형성시키면 pore-filled 음이온교환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2단계의 제조방식으로 제조된 pore-filled 분리막은 크기의 변화가 없이 안정되며, PVBCI의 농도와 가교제의 농도로써 고분자-겔의 함량(mass gain, MG)과 가교도가 간단하게 조절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아주 낮은 압력(100 kPa)에서의 높은 수투과도(7.9kg/$m^2$hr, 지지막은 PP3, 73%의 MG, 10%의 가교도, PIP 가교제사용)는 연수용 분리막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음이온 교환막 알칼리 수전해를 위한 운전 조건 및 구성요소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perating Parameters and Components for Water Electrolysis Using Anion Exchange Membrane)

  • 장명제;원미소;이규환;최승목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9-165
    • /
    • 2016
  • The hydrogen has been recognized as a clean, nonpolluting and unlimited energy source that can solve fossil fuel deple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at the same time. Water electrolysis has been the most attractive technology in a way to produce hydrogen because it does not emit any pollutants compared to other method such as natural gas steam reforming and coal gasification etc.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the water electrolysis, comprehensive studies for highly active and stable electrocatalysts have been performed. The platinum group metal (PGM; Pt, Ru, Pd, Rh, etc.) electrocatalysts indicated a higher activity and stability compared with other transition metals in harsh condition such as acid solu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expensive non-noble metal catalysts such as transition metal oxides because the PGM catalysts is expensive materials with insufficient it's reserves. The optimization of operating parameter and the components is also important factor to develop an efficient water electrolysis cell. In this study, we optimized the operating parameter and components such as the type of AEM and density of gas diffusion layer (GDL) and the temperature/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solution for the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cell (AEMWEC) with the transition metal oxide alloy anode and cathode electrocatalysts. The maximum current density was $345.8mA/cm^2$ with parameter and component optimization.

Cesium Lead Halide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음이온 교환 반응 동역학 (Anion Exchange Reaction Dynamics in Cesium Lead Halide Perovskite Quantum Dots)

  • 이시맥;정현성;박운익;임현섭;방지원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257-262
    • /
    • 2018
  • Cesium lead halide perovskite quantum dots (QDs) have recently emerged as highly promising opto-electronic materials. Despite the relative facile anion exchange reactions in cesium lead halide perovskite QDs, in depth study of the anion exchange reactions such as reaction kinetics are required that can provide insight into the crystal transformation in the cesium lead halide perovskite QDs. Herein, we investigated the anion exchange reaction from $CsPbI_3$ QDs to $CsPbBr_3$ QDs with varying the particle size of the starting $CsPbI_3$ QDs. By characterizing the PL spectra in the anion exchange reaction process, we observed that discontinuous PL peak shifts during I-to-Br anion exchange reaction in starting $CsPbI_3$ QDs over a critical size. Origin of the discontinuous I-to-Br anion exchange kinetics are mainly due to thermodynamically unstable nature of the $CsPb(Br/I)_3$ alloy Q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