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악추천

Search Result 15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분산 모바일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추천 및 검색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Kim, Ryong;Kim, Byeong-Man;Kim, Yeong-Gu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579-584
    • /
    • 2007
  • 대용량 모바일 기기의 발전과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사진, 음악,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대량으로 휴대하며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량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는 사용자 각자에게 맡겨져 있어 콘텐츠 관리를 어렵게 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모바일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유와 추전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을 통해 제공하고, 제공된 콘텐츠는 모바일 동기화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기기로 저장하고 관리되는 '분산 모바일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추전 및 검색 서비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호 프로파일 정보로 협업 필터링을 통해 공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해 주고, 추천된 콘텐츠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모바일 동기화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기기에 저장과 관리, 검색이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추천과 검색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기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 제안된 서비스 방법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추천과 모바일 동기화 서비스로 능동적인 콘텐츠 관리를 제공하며,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콘텐츠 검색 기법과 활용 방법을 제공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Usability of Graphic User Interface by the User Behavior in a Mobile Music Streaming App (모바일 음악 스트리밍앱의 사용자 행태에 따른 GUI 사용성 연구)

  • Park, Il Kwun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4 no.2
    • /
    • pp.151-168
    • /
    • 2015
  • As the market of music download stores moved into the mobile epoch the market was growing explosively. Recently, the digital music market tends to move from the mp3 download market to streaming service and the users can use the service on their mobile devices without reference to any inconvenient download and limited storage capacity. It was found that they mainly use the recommendation music playlist, instant player, main player and sharing of the functions of the streaming service from the user behavior research. This is noticeable features that set apart from the mp3 download service. However, the interface design of the streaming app followed the previous service and it needs the optimization of its UI design. In this study, the usability of high ranked three mobile streaming apps was evaluated. The result of the test was that Naver music and Bugs had high scores overall in four sections of the streaming service features. On the other hand, the Melon had primarily high score in color application on the servi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UI design of music streaming servic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essence of streaming service and evaluation the usability test.

Analysis of Emotions in Lyrics by Combining Deep Learning BERT and Emotional Lexicon (딥러닝 모델(BERT)과 감정 어휘 사전을 결합한 음원 가사 감정 분석)

  • Yoon, Kyung Seob;Oh, Jo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71-474
    • /
    • 2022
  •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은 지속해서 성장해왔다. 그중 최근에 가장 성장세가 돋보이는 서비스는 Spotify와 Youtube music이다. 두 서비스의 추천시스템은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음악을 계속해서 추천해 줌으로써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추천시스템 성능은 추천에 활용할 수 있는 변수(Feature) 수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최대한 많은 정보를 알아야 사용자가 원하는 추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감정분류 방법론인 사전기반과 딥러닝 BERT를 사용한 머신기반 방법론을 적절하게 결합하여 장점을 유지하면서 단점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감정 분석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가사에서 느껴지는 감정 비율을 분석한다. 감정 비율을 음원 가중치 변수로 사용하면 감정 정보를 포함한 고도화된 추천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Music Listening Behavior analysis of Twitter User and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Music Ranking (트위터 이용자의 음악 청취 행태 분석 및 국내 음악 순위와의 비교 연구)

  • Yoo, Young-Seok;Sohn, Bang-Y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5
    • /
    • pp.309-316
    • /
    • 2016
  • While consumption patterns have changed online music, online music platform began to emerge. While people prefer popular music recommendation, they use the online music platform chart or use the SNS Platform to share information. Online platform Ranking is different because of different properties held by members. Meanwhile, we need music charts characteristics of SNS users. So there were a lot of attempts to chart a comprehensive variety of platforms. And continue to emerge theses link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SN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new chart using the behavior of Twitter Users who listen to music, and studies comparing the results with existing chart.

ListenPhoto: Automatic Music Annotated Photo Browsing System (ListenPhoto: 자동 슬라이드 쇼 배경음악 추천 시스템)

  • Seo, Jong-Hoon;Kim, Dong-Chul;Han, Tack-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267-271
    • /
    • 2007
  •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과 U.C.C. 개념의 등장으로 인하여 개인이 생산하는 사진의 양도 많아지고, 이를 감상하는 시간도 많아졌다. 사진이란 추억을 회상하는데 하나의 포인트 역할을 하는 매체이다. 따라서 인간의 감성적인 부분을 많이 자극되는데,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자극을 줌으로써 사용자의 감성을 더욱 자극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디지털 사진을 검색하고 관리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사진 앨범을 감상할 때에 개별 사진을 분석하여 전체 사진과 가장 잘 어울리는 배경음악을 추천/재생하는 ListenPhoto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시스템의 필요성에 대한 평가와 시스템 성능에 대한 평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자들은 이 시스템을 통하여 풍부하게 디지털 사진 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Investigation of Timbre-related Music Feature Learning using Separated Vocal Signals (분리된 보컬을 활용한 음색기반 음악 특성 탐색 연구)

  • Lee, Seungji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4 no.6
    • /
    • pp.1024-1034
    • /
    • 2019
  • Preference for music is determined by a variety of factors, and identifying characteristics that reflect specific factors is important for music recommend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xtract the singing voice related music features reflecting various musical characteristics by using a model learned for singer identification. The model can be trained using a music source containing a background accompaniment, but it may provide degraded singer identific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mitigate this problem, this study performs a preliminary work to separate the background accompaniment, and creates a data set composed of separated vocals by using the proven model structure that appeared in SiSEC, Signal Separation and Evaluation Campaign. Finally, we use the separated vocals to discover the singing voice related music features that reflect the singer's voice. We compare the effects of source separation against existing methods that use music source without source separation.

A Recommender System using Implicit Information of Users (사용자의 묵시적인 정보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 Jeong, Jun;Kim, Yong-Han;Rhee, Phill-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89-291
    • /
    • 2000
  •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사용자들은 이제는 인터넷에서 필요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활동들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중에서 많은 관심을 갖는 것은 구매 활동이다. 따라서 수많은 기업들이 사람들의 구매 활동에 대응하여 전자상거래에 투자를 하고 있고, 현재는 Amazon.com과 같은 세계적인 사이트도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사이트들은 사용자들의 구매 활동을 도와주기 위해 추천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들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학습하여 이용 가능한 상품 중에서 고객이 좋아할 만한 것은 추천해주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명백하게 사용자에게 정보를 요구하는 방법 대신에 묵시적인 정보 즉, 구매 활동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이용한 음악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ontents prediction method applying automatically extracted user groups based on users' consuming logs about contents (자동 추출된 사용자 그룹을 이용한 콘텐츠 및 사용자 히스토리 기반의 사용자 별 콘텐츠 추천 방법)

  • Shin, Saim;Yang, Chang-Mo;Jang, Se-Jin;Lee, Seok-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55-58
    • /
    • 2012
  • 본 논문은 사용자의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 소비 히스토리를 수집하여 체계화 및 패턴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추천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콘텐츠 소비와 연관된 사용자 로그와 엔진에서 자동 추출한 사용자 그룹을 통하여 콘텐츠 추천을 수행한다. 각 사용자들의 선호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선호정보 패턴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사용자 그룹으로 정의하고, 각 사용자들이 속한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 로그를 활용하여 사용자별 선호 콘텐츠를 예측한다. 본 시스템은 웹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음악, 방송, 광고, 기사 등의 방대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복합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선별하여 제공해 주며, 이들의 연관성과 사용자의 콘텐츠 선호패턴을 반영한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 엔진은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콘텐츠들을 추천하여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시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다.

  • PDF

A System for Supporting Lyrics Writing Using Lyrics Data (가사 데이터 기반의 작사 지원 시스템 연구)

  • Young-Jae Park;Heeryon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351-352
    • /
    • 2023
  • 본 논문은 과거 한국 가요(K 팝)의 가사를 수집하여 (1) 특정 키워드와 관련된 기존 가사를 검색하거나, (2) 작사가가 작성한 새로운 가사와 유사한 기존 가사를 검색하거나, (3) 특정 키워드와 관련된 가사 속 어휘를 제안하는 작사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지금까지의 음악 관련 시스템은 음악을 소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음악 추천 시스템에 집중해 왔으나, 이 연구에서는 음악을 생산하는 작사가에게 초점을 맞춰 이들을 돕는 작사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시스템은 TF-IDF 와 word2vec 을 활용하여 가사와 단어 벡터 공간에 가사와 어휘를 배치하고 코사인 유사도를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