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성 인식 오류 수정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Hybrid ASR Error Correction Using Word Sequence Patter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단어열 패턴 매칭과 Recurrent Neural Network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음성 인식 오류 수정 방법)

  • Choi, Junhwi;Ryu, Seonghan;Lee, Kyusong;Park, Seonyeong;Yu, Hwanjo;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29-13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단어열 패턴과 리커런트 신경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음성 인식 오류 수정 방법을 제안한다. 음성 인식 결과 문장에서 음성 인식 오류 단어가 발견되었을 경우에 첫째로 단어열 패턴과 그 패턴의 발음열 점수를 통해 1차적 수정을 하고 적절한 패턴을 찾지 못하였을 경우 음절단위로 구성된 Recurrent Neural Network를 통해 단어를 음절단위로 생성하여 2차적으로 오류를 수정한다. 해당 방법론을 한국어로 된 음성 인식 오류와 그 정답 문장으로 구성된 TV 가이드 영역 말뭉치를 바탕으로 성능을 평가하였고, 기존의 단순 단어열 패턴 기반의 음성 인식 오류 수정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방법론은 음성 인식 오류와 정답의 말뭉치가 필요 없이 옳은 문장으로만 구성된 일반 말뭉치만으로 훈련이 가능하여, 음성 인식 엔진에 의존적이지 않는 강점이 있다.

  • PDF

Guided Sequence Generation using Trie-based Dictionary for ASR Error Correction (음성 인식 오류 수정을 위한 Trie 기반 사전을 이용한 Guided Sequence Generation)

  • Choi, Junhwi;Ryu, Seonghan;Yu, Hwanjo;Lee, Gary Geunbae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11-216
    • /
    • 2016
  • 현재 나오는 많은 음성 인식기가 대체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더라도, 음성 인식 오류는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한다. 음성 인식 오류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있어 많은 오동작의 원인이 되므로, 음성 인식 오류는 고쳐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Trie 기반 사전을 이용한 Guided Sequence Generation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목표 단어와 그 단어의 문맥을 Encoding하고, 그로부터 단어를 Character 단위로 Decoding하며 단어를 Generation한다. 올바른 단어를 생성하기 위하여, Generation 시에 Trie 기반 사전을 통해 유도한다. 실험을 위해 모델은 영어 TV 가이드 도메인의 말뭉치의 음성 인식 오류를 단순히 Simulation하여 만들어진 말뭉치로부터 훈련되고, 같은 도메인의 음성 인식 문장과 결과로 이루어진 병렬 말뭉치에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Guided Generation은 Unguided Generation에 비해 14.9% 정도의 오류를 줄였다.

  • PDF

Guided Sequence Generation using Trie-based Dictionary for ASR Error Correction (음성 인식 오류 수정을 위한 Trie 기반 사전을 이용한 Guided Sequence Generation)

  • Choi, Junhwi;Ryu, Seonghan;Yu, Hwanjo;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11-216
    • /
    • 2016
  • 현재 나오는 많은 음성 인식기가 대체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더라도, 음성 인식 오류는 여전히 빈번하게 발생한다. 음성 인식 오류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있어 많은 오동작의 원인이 되므로, 음성 인식 오류는 고쳐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Trie 기반 사전을 이용한 Guided Sequence Generation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목표 단어와 그 단어의 문맥을 Encoding하고, 그로부터 단어를 Character 단위로 Decoding하며 단어를 Generation한다. 올바른 단어를 생성하기 위하여, Generation 시에 Trie 기반 사전을 통해 유도한다. 실험을 위해 모델은 영어 TV 가이드 도메인의 말뭉치의 음성 인식 오류를 단순히 Simulation하여 만들어진 말뭉치로부터 훈련되고, 같은 도메인의 음성 인식 문장과 결과로 이루어진 병렬 말뭉치에서 성능을 평가하였다. Guided Generation은 Unguided Generation에 비해 14.9% 정도의 오류를 줄였다.

  • PDF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in speech recognition by using lexico-semantic patterns (어휘의미패턴을 이용한 음성인식 오류 검출 및 수정)

  • Yoon, Yong-Wook;Jung, Han-Min;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2.10e
    • /
    • pp.62-68
    • /
    • 2002
  • 음성인식기를 거친 결과는 오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다른 자연어처리 응용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오류의 검출과 수정과정이 필수적이다. 음성인식 오류 후처리는 그 성격상 문자인식 후처리와는 다른 접근 방법을 필요로 하며, 본 인구에서는 잡음환경을 제외한 특정 도메인에 국한된 음성발화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후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통계적 접근과 패턴매칭에 의한 접근 방법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특정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어휘의 의미정보를 포함하는 패턴을 자동으로 생성시켜 이에 의한 오류 검출 및 수정 방안을 제안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도메인은 차량정보센터용 음성정보 제공 시나리오이며 상용 음성인식기를 후처리를 위한 개발 툴로 사용하였다.

  • PDF

Enhancing Korean Alphabet Unit Speech Recognition with Neural Network-Based Alphabet Merging Methodology (한국어 자모단위 음성인식 결과 후보정을 위한 신경망 기반 자모 병합 방법론)

  • Solee Im;Wonjun Lee;Gary Geunbae Lee;Yunsu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59-663
    • /
    • 2023
  • 이 논문은 한국어 음성인식 성능을 개선하고자 기존 음성인식 과정을 자모단위 음성인식 모델과 신경망 기반 자모 병합 모델 총 두 단계로 구성하였다. 한국어는 조합어 특성상 음성 인식에 필요한 음절 단위가 약 2900자에 이른다. 이는 학습 데이터셋에 자주 등장하지 않는 음절에 대해서 음성인식 성능을 저하시키고, 학습 비용을 높이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음절 단위의 인식이 아닌 51가지 자모 단위(ㄱ-ㅎ, ㅏ-ㅞ)의 음성인식을 수행한 후 자모 단위 인식 결과를 음절단위의 한글로 병합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1]. 자모단위 인식결과는 초성, 중성, 종성을 고려하면 규칙 기반의 병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음성인식 결과에 잘못인식된 자모가 포함되어 있다면 최종 병합 결과에 오류를 생성하고 만다. 이를 해결하고자 신경망 기반의 자모 병합 모델을 제시한다. 자모 병합 모델은 분리되어 있는 자모단위의 입력을 완성된 한글 문장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음성인식 결과로 잘못인식된 자모에 대해서도 올바른 한글 문장으로 변환하는 오류 수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음성인식 말뭉치 KsponSpeech를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음성인식 모델로 Wav2Vec2.0 모델을 활용하였다. 기존 규칙 기반의 자모 병합 방법에 비해 제시하는 자모 병합 모델이 상대적 음절단위오류율(Character Error Rate, CER) 17.2% 와 단어단위오류율(Word Error Rate, WER) 13.1%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Automatic Post-processing Method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CRFs and TBL (CRFs와 TBL을 이용한 자동화된 음성인식 후처리 방법)

  • Seon, Choong-Nyoung;Jeong, Hyoung-Il;Seo, Jung-Y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7 no.9
    • /
    • pp.706-711
    • /
    • 2010
  • In the applications of a human speech interface, reducing the error rate in recognition is the one of the main research issues. Many 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correct errors using post-processing, which is dependent on a manually constructed corpus and correction patterns. We propose an automatically learnable post-processing method that is independ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domain and the speech recognizer. We divide the entire post-processing task into two steps: error detection and error correction. We consider the error detection step as a classification problem for which we apply the conditional random fields (CRFs) classifier. Furthermore, we apply transformation-based learning (TBL) to the error correction step. Our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corrects a speech recognizer's insertion, deletion, and substitution errors by 25.85%, 3.57%, and 7.42%, respectively.

THREE PHASE VERIFICATION FOR SPOKEN DIALOG CLARIFICATION (음성기반의 확인대화를 위한 3단계 검증 방법)

  • Jung, Sang-Keun;Lee, Cheong-Jae;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5.10a
    • /
    • pp.127-133
    • /
    • 2005
  • 음성 기반의 대화 처리는 음성인식 오류, 음성언어이해 오류, 대화 처리 오류 등 많은 오류를 수반하며 진행된다. 이러한 오류들로 인해 시스템이 인지하는 사용자의 의도는 최초의 사용자 의도와는 그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대화에서도 역시 이러한 의도의 차이는 발생하게 되며, 사람은 이러한 의도의 차이를 확인대화를 통해서 좁혀가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람과 사람사이의 확인대화를 음성대화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론에 대해 논한다. 확인대화의 신뢰도와 오류수정율을 높이기 위하여 오류감지 단계를 3단계로 나누고 그 3단계의 오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대화전문가 시스템을 통한 다단계 오류수정 방법을 보인다.

  • PDF

Word Spacing Error Correction for the Postprocessing of Speech Recognition (음성 인식 후처리를 위한 띄어쓰기 오류의 교정)

  • Lim Dong-Hee;Kang Seung-Shik;Chang D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25-27
    • /
    • 2006
  • 음성인식 결과는 띄어쓰기 오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인식 결과에 대한 이후의 정보처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은 음성 인식 결과의 띄어쓰기 오류를 수정하기 위하여 품사 정보를 이용한 어절 재결합 기법을 기본 알고리즘으로 사용하고 추가로 음절 바이그램 및 4-gram 정보를 이용하는 띄어쓰기 오류 교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음성인식기의 출력으로 품사 정보가 부착된 경우와 미부착된 경우에 대한 비교 실험을 하였다. 품사 미부착된 경우에는 사전을 이용하여 품사 정보를 복원하였으며 N-gram 통계 정보를 적용했을 때 기본적인 어절 재결합 알고리즘만을 사용 경우보다 띄어쓰기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User Adaptive Post-Processing in Speech Recognition for Mobile Devices (모바일 기기를 위한 음성인식의 사용자 적응형 후처리)

  • Kim, Young-Jin;Kim, Eun-Ju;Kim, Myung-Wo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3 no.5
    • /
    • pp.338-342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user adaptive post-processing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peaker dependent, isolated word speech recognition, particularly for mobile devices. Our method considers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basic recognizer simply as a high-level speech feature and processes it further for correct recognition result. Our method learns correlation between the output of the basic recognizer and the correct final results and uses it to correct the erroneous output of the basic recognizer. A multi-layer perceptron model is built for each incorrectly recognized word with high frequency. As the result of experiments, we achiev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41% in recognition accuracy (41% error correction rate).

Utterance Verification and Substitution Error Correction In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한국어 연결숫자 인식에서의 발화검증과 대체오류수정)

  • Jung Du Kyung;Kim Hyung S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11-114
    • /
    • 2002
  • 음성인식에서 발화검증은 비인식대상어휘(OOV)를 기각시키고, 인식대상어휘라도 오인식 가능성이 높은 결과를 기각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혼동가능성 높은 숫자쌍들이 존재하는 한국어 연결 숫자 인식에서 발화검증 결과로 숫자열 기각시 오인식 가능성이 높은 숫자열을 그냥 기각시키는 대신에 대체오류를 수정하여 인식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N-best decoding 결과에 따르면 $2^{nd}\;best$$3^{rd}\;best$안에 대부분의 제대로 된 인식결과들이 포함된다. 따라서, N-best decoding을 이용해, 숫자열 기각시 $2^{nd}\;best$ 숫자열로 대체된 것이라고 가정한 후, 개별숫자 log likelihood ratio(LLR)과 N-best 기반의 숫자열 LLR[3] 등을 함께 고려한 신뢰도 측정방식에 의해 그 가정이 맞다고 판단이 되면 $2^{nd}\;best$ 의 숫자열과 대체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오류를 수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