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성자동응답시스템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시스템 (Multimedia Automatic Response System via Internet)

  • 이흥규;김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406-40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시스템은 웹을 기반으로 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갖는다.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서버는 멀티미디어 자동응답안내 및 멀티미디어 디렉토리 서비스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고, 부재 시에는 음성 및 영상 메시지녹음을 통해 상대방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남긴다. 또한 다중 사용자의 계정 관리 및 다중 접속을 지원하며,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을 위한 멀티미디어 안내 정보 제작 도구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클라이언트는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안내 상연 및 전화 걸기, 음성 및 영상 메시지 남기기 서비스, 수신된 메시지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RELP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 응답기 (A Digital Audio Respose System Based on the RELP Algorithm)

  • 김상용;은종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16
    • /
    • 1984
  • 본 논문에서는 디지탈 자동 음성 응답장치의 개발에 관하여 전반적인 사항을 기술하였다. 개발된 디지탈 음성 응답 장치는 전화국에서 가입자가 전화번호를 문의하였을 때 자동 응답할 구 있도록 특별히 구성된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의 구현 algorithm으로는 pitch predictive loop(PPL)을 가지는 RELP(residual excited linear pediction)방식을 사용하였는데 system memory는 비교적 적은 반면 음질은 아주 좋은 것이 개발된 자동 응답기의 큰 장점이라 하겠다. Hardware는 bit-slice microprocessor를 사용한 음성 합성기와 controller 및 I/O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은 실시간 신호처리와 시스템의 적응성 및 신뢰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 PDF

치매노인을 위한 자동대화시스템 (Automatic Dialog Syste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Kim, Sung-ill;Joo, Chang-bok;Shin, Wee-jae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40
    • /
    • 2003
  • 본 연구는 치매노인환자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화시스템의 개발에 목표를 둔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로 세 가지 모듈, 즉, 음성인식, 시간테이블에 의해 구분된 대화 데이터베이스의 자동검색, 그리고 간호사의 녹음음성에 의한 응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치매환자가 요양시설에서 자주 발화하는 대화의 내용을 조사하고, 그들의 발화 음성을 인식하고 적절히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와 도입되지 않았을 때를 비교, 조사하였다.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았을 때는 간호사가 자유로이 케어서비스를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디오 촬영을 통해서 대상자의 행동 및 반응을 조사한 결과, 치매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대화 시스템이 간호사들보다 더 응답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제안된 시스템은 상호 대화에 있어서 환자가 더 많이 말하도록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VM을 이용한 음성채팅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s of a Spoken Chatting System Using SVM)

  • 안혁주;이성희;송영길;김학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6호
    • /
    • pp.261-268
    • /
    • 2015
  • 음성채팅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음성 질의는 자동음성인식기를 통하여 텍스트 질의로 변환된다. 만약 자동음성인식기의 1순위 결과가 틀린다면 이 오류는 그대로 음성채팅시스템에 전파된다. 자동음성인식기의 1순위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RankSVM을 이용하여 자동음성인식기의 n개 결과를 재순위화하는 후처리 모델을 제안한다. 채팅시스템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채팅 문장들이 필요하다. 만약 새로운 채팅 문장들이 학습데이터에 자주 추가되지 않는다면 채팅시스템의 응답은 금방 진부해질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SVM을 이용하여 TV와 영화 시나리오로부터 채팅 문장들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데이터 수집 모델을 제안한다. 실험에서 제안된 후처리 모델은 후처리를 하지 않은 모델보다 정확률에서 4.4%, 재현율에서 6.4%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제안된 데이터 수집 모델은 98.95%의 높은 정확률과 57.14%의 재현율을 보였다.

빅데이터 기반 음성언어 처리 기술 (Big data for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 나승훈;정호영;양성일;김창현;김영길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1호
    • /
    • pp.52-61
    • /
    • 2013
  • 음성언어 처리 분야는 인간의 자연어 발화를 컴퓨터가 자동으로 이해하고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분야로, 자동 통번역, Siri와 같은 음성 대화 시스템, 차세대 인터페이스, 질의 응답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군을 포함한다. 특히, 음성언어 처리 기술은, 최근 빅데이터(big data) 시대를 맞이하여, 방대한 음성/텍스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필수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빅데이터는 그 자체가 거대한 말뭉치 데이터로서 음성언어 처리 기술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주된 리소스가 된다. 이에 따라, 최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언어 처리 기술의 성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들 연구의 배경 및 연구 동향들을 소개하기로 한다.

  • PDF

자동응답시스템에서 DTMF신호음 검출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DTMF Tone Detection in ARS System)

  • 김희동;김제우;홍영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10-11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자동음성응답장치(ARS)에서의 복합주파수(DTMF)톤 수신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ARS시스템의 음성안내를 송출하는 동안 이용자가 DTMF신호를 발생할 경우, ARS시스템의 망접속부에 위치한 하이브리드에 의해 수신측으로 궤환된 음성신호가 이용자가 송신한 DTMF신호와 중첩이 되어, ARS시스템에서 DTMF신호음을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ARS의 음성안내신호에서 DTMF 신호의 주파수 대역 부분을 노치필터(notch filter)로 제거함으로써 여파된 음성안내신호가 하이브리드를 통해 수신측으로 궤환되어도 DTMF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이 없게 된다. DTMF수신기의 전단에는 노치필터에서 사용된 필터의 역필터특성을 갖는 대역통과필터를 설치하면, 하이브리드를 통해 수신측으로 궤환되는 신호는 DTMF수신기에 입력되지 않게 되며, 이용자가 송신하는 DTMF신호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노치필터링된 음성신호의 음질저하는 무시할만하여 음성 안내어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다.

  • PDF

ARS 메뉴체계 사용성 저해요소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Hindrance Factors of Usability of Menu Structure in ARS)

  • 김호원;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62-470
    • /
    • 2011
  • 음성자동응답시스템(Automatic Response Systems, ARS)은 VUI(Voice User Interface)와 TTI(Touch Tone Interface)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중 하나이다. 그러나 많은 사용에도 불구하고, ARS에 대한 불편 사항들이 끊임없이 지적되고 있다. 이는 기술 개발을 넘어, 사용자와 사용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부족에서 기인한 측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ARS 메뉴체계에서의 사용성 저해 요소를 발견 분석하여, ARS 설계를 위한 개선의 지침을 제공한다. 두 개의 인터넷 서점 ARS를 선정하여 피실험자들이 "도서 반품 신청하기"라는 작업을 실행한 후 정해진 설문조사 결과와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메뉴 구조의 복잡성, 메뉴명의 대표성 부족, 사용자 위치인지의 어려움, 메뉴간 이동의 어려움 등 네 가지 문제들을 발견하였고, 이를 피할 수 있는 방법들을 논의하였다.

강인한 끝점 추출과 에너지 정규화 (Robust Endpoint Detection and Energy Normalization)

  • 고기원;정원용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6-129
    • /
    • 2003
  • 자동 음성 인식(ASR) 시스템에, 끝점 추출과 에너지 정규화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낮은 SNR이나 nonstationary 환경에서, 기존 방법은 끝점 추출과 에너지 정규화에 있어서 자주 실패하게 되며, ASR을 급격히 열화시키곤 한다. ASR을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필터에 3상태 천이도를 사용하고, 필터는 정확성과 강인함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여러 이론들을 이용하여 설계하였고 여러 가지 잡음이 있는 음성 신호환경에서 거의 일정한 응답을 주었다. 검출된 끝점은 곧바로 에너지 정규화에 적용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낮은 SNR에서 에러율을 크게 감소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음성인식을 이용한 주관평가 시스템 구현 (The Subjective Evaluation System Implement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 한화영;고한우;윤용현;조택동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6-279
    • /
    • 2001
  • 환경이나 작업부하 등이 인간에게 주는 피로나, stress 또는 쾌, 불쾌감 등의 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신물리학적인 방법의 하나으로 설문지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설문 방식을 자동화하여 PC 기반으로 설문양식을 자동 생성하고 음성을 통해 응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주관평가 자동화 시스템은 주관평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고 음성을 이용함으로써 피험자의 정신적 부담을 경감시키며 생리신호와 주관평가와의 경시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설문 형식으로는 5점 척도와 7점 척도를 선택하였으며 평가어는 “매우 아니다”∼“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었다. 평가어를 인식함에 있어 좋은 인식률을 얻기 위한 특징벡터의 치수와 기본 프레임 개수를 대상으로 인식실험을 하였다.

  • PDF

음성인식에 기초한 치매환자 노인을 위한 대화시스템 (Dialog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Kim, Sung-Il;Kim, Byoung-Chul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923-930
    • /
    • 2002
  • 본 연구는 치매노인환자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화시스템의 개발에 목표를 둔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로 세 가지 모듈, 즉, 음성인식, 시간테이블에 의해 구분된 대화 데이터베이스의 자동검색, 그리고 간호사의 녹음음성으로 이루어진 맞장구 등의 긍정적인 대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로서, 치매환자가 간호시설에서 자주 발화하는 대화의 내용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환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들의 발화 음성을 자동인식 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시스템의 응답은 전문 간호사의 녹음음성으로 설계되었다.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와 되지 않았을 때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고, 치료 전문가(occupational therapist)들이 비디오 촬영을 통해서 남성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평가 견과는 치매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대화 시스템이 전문간호사들보다 더욱 답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제안된 시스템은 상호 대화에 있어서 간호사들보다 환자가 더 많이 말하도록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