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성자동응답시스템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ultimedia Automatic Response System via Internet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시스템)

  • Lee, Heung-Kyu;Kim, J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406-40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시스템은 웹을 기반으로 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갖는다. 인터넷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서버는 멀티미디어 자동응답안내 및 멀티미디어 디렉토리 서비스에 따라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고, 부재 시에는 음성 및 영상 메시지녹음을 통해 상대방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남긴다. 또한 다중 사용자의 계정 관리 및 다중 접속을 지원하며,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을 위한 멀티미디어 안내 정보 제작 도구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클라이언트는 멀티미디어 자동 응답 안내 상연 및 전화 걸기, 음성 및 영상 메시지 남기기 서비스, 수신된 메시지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A Digital Audio Respose System Based on the RELP Algorithm (RELP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음성 응답기)

  • 김상용;은종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21 no.6
    • /
    • pp.7-16
    • /
    • 1984
  • This paper describes the overall procedure of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audio response system. It has been developed specifically as an answering system to the inquiries of telephone numbers from subscribers. The system has been realized based on the residual excited linear prediction (RELP) algorithm that incorporates a pitch predictive loop. Its major advantage over other similar systems is that it produces high quality of synthetic speech, although its memory size is relatively small. The hardware which consists of a speech synthesizer, a controller and an I/O part has been constructed using 2900 series bit-slice microprocessors and an INTEL 8085 microprocessor. The system is capable of real time processing, reliable, and adaptable to other applications.

  • PDF

Automatic Dialog Syste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치매노인을 위한 자동대화시스템)

  • Kim, Sung-ill;Joo, Chang-bok;Shin, Wee-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3.06a
    • /
    • pp.137-140
    • /
    • 2003
  • 본 연구는 치매노인환자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화시스템의 개발에 목표를 둔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로 세 가지 모듈, 즉, 음성인식, 시간테이블에 의해 구분된 대화 데이터베이스의 자동검색, 그리고 간호사의 녹음음성에 의한 응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치매환자가 요양시설에서 자주 발화하는 대화의 내용을 조사하고, 그들의 발화 음성을 인식하고 적절히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와 도입되지 않았을 때를 비교, 조사하였다. 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았을 때는 간호사가 자유로이 케어서비스를 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디오 촬영을 통해서 대상자의 행동 및 반응을 조사한 결과, 치매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대화 시스템이 간호사들보다 더 응답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제안된 시스템은 상호 대화에 있어서 환자가 더 많이 말하도록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s of a Spoken Chatting System Using SVM (SVM을 이용한 음성채팅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 Ahn, HyeokJu;Lee, SungHee;Song, YeongKil;Kim, HarkSo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4 no.6
    • /
    • pp.261-268
    • /
    • 2015
  • In spoken chatting systems, users'spoken queries are converted to text queries usin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engines. If the top-1 results of the ASR engines are incorrect, these errors are propagated to the spoken chatting systems. To improve the top-1 accuracies of ASR engines, we propose a post-processing model to rearrange the top-n outputs of ASR engines using a ranking support vector machine (RankSVM). On the other hand, a number of chatting sentences are needed to train chatting systems. If new chatting sentences are not frequently added to training data, responses of the chatting systems will be old-fashioned soon.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data collection model to automatically select chatting sentences from TV and movie scenarios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In the experiments, the post-processing model showed a higher precision of 4.4% and a higher recall rate of 6.4% compared to the baseline model (without post-processing). Then, the data collection model showed the high precision of 98.95% and the recall rate of 57.14%.

Big data for Speech and Language Processing (빅데이터 기반 음성언어 처리 기술)

  • Na, S.H.;Jung, H.Y.;Yang, S.I.;Kim, C.H.;Kim, Y.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1
    • /
    • pp.52-61
    • /
    • 2013
  • 음성언어 처리 분야는 인간의 자연어 발화를 컴퓨터가 자동으로 이해하고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분야로, 자동 통번역, Siri와 같은 음성 대화 시스템, 차세대 인터페이스, 질의 응답 시스템 등 다양한 응용군을 포함한다. 특히, 음성언어 처리 기술은, 최근 빅데이터(big data) 시대를 맞이하여, 방대한 음성/텍스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필수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빅데이터는 그 자체가 거대한 말뭉치 데이터로서 음성언어 처리 기술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주된 리소스가 된다. 이에 따라, 최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성언어 처리 기술의 성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들 연구의 배경 및 연구 동향들을 소개하기로 한다.

  • PDF

Improvement of DTMF Tone Detection in ARS System (자동응답시스템에서 DTMF신호음 검출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Hee-Dong;Kim, Je-Woo;Hong, Young-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6
    • /
    • pp.110-116
    • /
    • 1996
  • In this paper a novel method improving the accuracy of DTMF tone reception in ARS system is proposed. ARS system should allow users to generate DTMF signals while it is sending voice guidance. It is not unocmmon, in this case, that a portion of transmitting voice signals cross-talks to the receiving channel and it often results in interfering with the receiving DTMF signals. Serious degradations including DTMF tone missing, false alarm and so forth have been introduced for the above reason. To overcome this phenomena, we have proposed a way eliminating the frequency spectra representing DTMF signals bands from the transmitting voice signal by using notch filters. This method also employs bandpass filters of which the frequency responses are reciprocal to those of the notch filters incorporated with the DTMF receiver. It is shown that a drastic improvement has been achieved with respect to the DTMF tone detection with little deterioration of voice guidance quality.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Hindrance Factors of Usability of Menu Structure in ARS (ARS 메뉴체계 사용성 저해요소에 대한 실험연구)

  • Kim, Ho-Won;Kim, Hee-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2
    • /
    • pp.462-470
    • /
    • 2011
  • ARS (Automatic Response Systems) based on VUI (Voice User Interface) and TTI (Touch Tone Interface)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communication systems. Despite common usages, however, inconvenience of ARS is continually pointed out. This may stem from lack of human-centered studies aside from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ing ARS by analyzing hindrance factors of usability of ARS menu structure. We had selected two call-centers using ARS, and carried out an experimental study where subjects performed the task of "returning books." After that,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 identified four problems: the complex menu structure, lack of representativeness on the menu name, users' awareness of location, and a difficulty to move among menus. And we partially discussed the ways of avoiding the problems.

Robust Endpoint Detection and Energy Normalization (강인한 끝점 추출과 에너지 정규화)

  • 고기원;정원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3.06a
    • /
    • pp.126-129
    • /
    • 2003
  • 자동 음성 인식(ASR) 시스템에, 끝점 추출과 에너지 정규화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낮은 SNR이나 nonstationary 환경에서, 기존 방법은 끝점 추출과 에너지 정규화에 있어서 자주 실패하게 되며, ASR을 급격히 열화시키곤 한다. ASR을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필터에 3상태 천이도를 사용하고, 필터는 정확성과 강인함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여러 이론들을 이용하여 설계하였고 여러 가지 잡음이 있는 음성 신호환경에서 거의 일정한 응답을 주었다. 검출된 끝점은 곧바로 에너지 정규화에 적용된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낮은 SNR에서 에러율을 크게 감소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The Subjective Evaluation System Implementa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을 이용한 주관평가 시스템 구현)

  • 한화영;고한우;윤용현;조택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76-279
    • /
    • 2001
  • 환경이나 작업부하 등이 인간에게 주는 피로나, stress 또는 쾌, 불쾌감 등의 감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신물리학적인 방법의 하나으로 설문지에 의한 주관적인 평가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설문 방식을 자동화하여 PC 기반으로 설문양식을 자동 생성하고 음성을 통해 응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주관평가 자동화 시스템은 주관평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고 음성을 이용함으로써 피험자의 정신적 부담을 경감시키며 생리신호와 주관평가와의 경시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설문 형식으로는 5점 척도와 7점 척도를 선택하였으며 평가어는 “매우 아니다”∼“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었다. 평가어를 인식함에 있어 좋은 인식률을 얻기 위한 특징벡터의 치수와 기본 프레임 개수를 대상으로 인식실험을 하였다.

  • PDF

Dialog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음성인식에 기초한 치매환자 노인을 위한 대화시스템)

  • Kim, Sung-Il;Kim, B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6
    • /
    • pp.923-930
    • /
    • 2002
  •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dialog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a dementia. The proposed system mainly consists of three modules including speech recognition, automatic search of the time-sorted dialog database, and agreeable responses with the recorded voices of caregivers. For the first step, the dialog that dementia patients often utter at a nursing home is first investigated. Next, the system is organized to recognize the utterances in order to meet their requests or demands. The system is then responded with recorded voices of professional caregivers. For evaluation of the system, the comparison study was carried out when the system was introduced or not, respectively. The occupational therapists then evaluated a male subjects reaction to the system by photographing his behaviors.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dialog system was more responsive in catering to the needs of dementia patient than professional caregivers. Moreover, the proposed system led the patient to talk more than caregivers did in mutual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