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상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valuation method of Perception-based HRTFs and Its Usage for Spatial Sound-Image Localisation (머리전달함수의 인지량적 평가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음상 정위 기법의 연구)

  • Cheung Wan-Sup;Hwang Shin;Bhang Seungbeum;Kim Soonhyu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31-236
    • /
    • 1999
  • 금번 연구는 공간 음상 정위에 직면하는 주된 문제점인 음색왜곡과 음질저하의 영향 인자들과 개선방안을 고찰한다. 측정 머리전달함수로부터 청각기관의 공간 음상에 대만 인지양적 특성치 (양귀 음압레벨 차이 ILD와 음압 도달시간 차비 ITD)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의 제안, 총간 음상정위 특성치의 새로운 DB구축, 그러고 이를 이용한 공간 음상 정위 구현방법의 새로운 방안을 소개한다. 그리고, 제안된 공간 음상 구현 기법은 음색 왜곡 및 음질저하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구현 방법의 간결성 때문에 제품화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본 논문에서 보인다.

  • PDF

Implementation of Spatial Sound Localization System and Subjective Test (3차원 음상정위 시스템의 구현과 주관 평가)

  • 이동우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43-4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헤드폰과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하여 가상의 음상을 임의의 위치에 정위시키는 음상정위 시스템을 구현하고, 주관 평가를 통하여 음상정위 성능을 고찰하였다. 음상정위 시스템은 크게 방향감을 제어하는 컨벌루션 처리부와 공간감과 거리감을 처리하는 잔향 처리부, 그리고 스테레오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재생할 때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corsstalk)를 제거하기 위한 트랜스오럴(transaural) 필터부로 나누어진다. 구현된 시스템의 음상정위 성능은 리스링 룸에서 녹음된 음성과 메트로놈 소리를 이용하여 수평각/고도각, 정지음/이동음, 거리감 등을 헤드폰과 스피커를 통하여 각각 실험한 결과 수평각 지각은 스피커 재생보다 헤드폰 재생이 우수했으며, 정지음보다 이동음의 지각 결과가, 고도각 지각은 전.후(0$^{\circ}$~360$^{\circ}$) 방향보다 좌.우(90$^{\circ}$~270$^{\circ}$) 방향의 결과가 우수하게 나왔다.

  • PDF

Stereo Sound Irmge Extension Using Preredence Effect and Reflected Sounds (선착효과 및 반사음을 이용한 스테레오 음상확대)

  • 한찬호;이법기;정원식;고일석;최영수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 no.1
    • /
    • pp.24-31
    • /
    • 2001
  • In The AV system, to produce a realistic sound effect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stereo speakers is very narrow. Many signal processing method of widening the sound image for spatial impression have been studied. Most of the typical methods of widening the sound image are related to the phase shifting. but this method was not effective in the concrete wall structure with high reflectivity.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effective method of extending stereo sound image using Precedence Effect and reflected sound. In experiments we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he method for extending stereo sound image of a conventional AV system in wider listening area of a room.

  • PDF

A Sound Externalization Method for Realistic Audio Rendering in a Headphone Listening Environment (헤드폰 청취환경에서의 실감 오디오 재현을 위한 음상 외재화 기법)

  • Kim, Yong-Guk;Chun, Chan-Jun;Kim, Hong-Kook;Lee, Yong-Ju;Jang, Dae-Young;Kang, Kyeong-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7 no.5
    • /
    • pp.1-8
    • /
    • 2010
  • In this paper, a sound externalization method is proposed for out-of-the-head localization in a headphone listen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duce timbre distortion by the conventional methods using a measured a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 or early reflections, the proposed method integrates a model-based HRTF with reverberation. In addition, for improving frontal externalization performance, techniques such as decorrelation and spectral notch filtering are includ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externalization method, subjective listening tests are conducted by using different types of sound sources such as white noise, sound effects, speech, and music. It is shown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proposed externalization method can localize sound sources farther away from out of the head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An Audio System Based on Vertical Sound Source Elev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udio Realism in Home TV Environments (가정용 TV 환경에서의 실감효과 향상을 위한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반 오디오 시스템)

  • Kim, Jong Kun;Chun, Chan Jun;Kim, Hong 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174-17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TV 환경에서 실감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면 수직음상정위에 기반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가정용 대형 TV 환경에서 TV 하단에 배치된 오디오 시스템으로 인해 음상이 TV 의 하단에 맺히게 되어 재생되는 영상과 위치적인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에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을 적용하여 고도감이 향상된 신호를 생성해 준다. 본 논문에서의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은 청취자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머리전달함수 모델,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 주파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spectral notch 및 특정 주파수 대역 boosting 으로 구성된다. 제안된 오디오 시스템의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음과 이 원음에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한 음원을 TV 오디오 시스템으로 재생한 후의 청취 선호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정면 수직음상정위 기법을 포함하는 제안된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청취한 음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 PDF

Sound Source Externalization Algorithm Using Modified HRTFs and an Acoustic Simulation Method (변형된 머리전달 함수 및 음향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음상 외재화 알고리즘)

  • Lee, Yong-Ju;Jang, Dae-Young;Jang, In-Seon;Kang, Kyeong-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8
    • /
    • pp.714-722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new sound source externalization algorithm for increasing spaciousness and presence on earphone or headphone environments. To do this, we used modifie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M-HRTFs) and room impulse responses acquired by an acoustic simulation method. M-HRTFs developed by ETRI have less tone color distortion of original sound sources than traditional HRTFs. The acoustic simulation method is used to obtain more natural reflected sound. To verify the proposed externalization algorithm, we performed a listening test. From the test, the proposed algorithm is effective in externalizing the sound sources especially when they ar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HRTF compens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udiences head width and distance (청취자의 머리 크기와 거리에 따른 머리전달함수 보정 방법)

  • Myung, Hyun;Kim, Hyun-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6-80
    • /
    • 2000
  • 본 논문은 입체 음상 정위 시스템에 있어서 청취자의 머리 크기와 음상 정위를 원하는 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머리전달함수 (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의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먼저 표준 반경에서 표준 머리 크기의 더미 헤드를 이용해 측정된 표준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제의 왼쪽 또는 오른쪽 귀를 기준으로 한 방위각과 고도각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방위각과 고도각을 기준으로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를 보정한다. 음상 정위하고자 하는 3차원 공간상의 위치를 입력받게 되면, 입력받은 위치로부터 청취자의 왼쪽 또는 오른쪽 귀를 기준으로 한 방위각과 고도각을 산출한 후에 보정된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머리전달함수를 가져와서 입력 모노 신호를 보정된 머리전달함수와 콘볼루션하여 입체음향을 생성하게 된다.제안된 방법에 의해 청취자의 머리 크기 및 거리에 따라 보정된 머리전달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청취자에게 보다 실감나는 3차원 음상 정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Sound Externalization using Multichannel Room Impulse Response (멀티채널 룸임펄스 응답 기반 외재화 알고리즘)

  • Jang, In-Seon;Lee, Yong-Ju;Jang, Dae-Young;Kang, Kyeo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2a
    • /
    • pp.139-142
    • /
    • 2008
  • 헤드폰 또는 이어폰으로 오디오 청취 시 흔히 음상이 머리 내부에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을 음상 내재화(Inside Head Localization; IHL)라 한다. 오디오의 음상이 머리 주변 혹은 머리 내부에 맺히게 되면 공간감이나 입체감이 떨어지게 되어 음향의 현실감을 저하시키게 되며 또한 청취에 따른 피로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음상 내재화 현상을 제거하여, 헤드폰/이어폰을 통해 오디오 청취 시 음상이 머리의 외부에 맺히도록(Out of Head Localization; OHL) 하는 기술을 음상 외재화(Sound Externalization) 기술이라 한다. 룸 임펄스 응답이 방향 큐와 연계하여 생성되었을 경우 외재화가 가능하다는 실험적 사실을 바탕으로 기존의 음상 외재화 방법은 일반적인 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를 이용하여 외재화 필터를 구성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구체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녹음한 멀티채널 룸 임펄스 응답을 기반으로 모델링 된 외재화 필터를 이용한 음원 외재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 및 결과 분석을 통하여 본 알고리즘의 전방 음원 외재화 성능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외재화 알고리즘 적용 후의원 신호 음상 보존 성능을 확인한다.

  • PDF

Effect of HRTF on Sound Localization (머리전달함수가 음상정위에 미치는 영향)

  • 김진욱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261-26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MIT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와 Neumann의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하여 머리전달함수가 음성정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머리전달함수의 측정조건과 시간 및 주파수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청취실에 헤드폰 재생을 통하여 $10^{\circ}$간격으로 음상정위에 대한 주관평가들 실시하였으며, 주관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과 전체 평균에 대한 방향 지각 에러(각도)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MIT 머리전달함수에 비하여 Neumann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음상정위가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음질에 대해서도 청취자들은 Neumann 머리전달함수에 의한 재생음이 보다 자연스럽고, 명확한 품질을 갖는다고 답하였다.

  • PDF

Improvement of sound localization effect using a Neville interpolation (Neville 보간법을 이용한 음상정위 효과의 개선)

  • Seo, Bo-Kug;Han, Eui-Hwan;Cha, Hyu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58-59
    • /
    • 2013
  • 임의의 위치에 음상을 정위하는 기초적인 방법으로, 각각의 고도각과 방위각에서 측정된 머리전달함수를(HRTF :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원음에 convolution하는 기법이 사용된다. 하지만 더미헤드를 통해 측정된 HRTF는 사용자에 따라 정위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좌표로 표현되는 영상과는 달리, 소리는 들려오는 방향을 정확한 좌표로 표현하기가 힘들다. 이에 본 논문은 HRTF를 사용하여 음상을 정위하는 경우의 정위감 개선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정위감 개선을 위해 Neville 보간법을 통해 HRTF를 그룹화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생성된 HRTF를 음상 정위에 사용하고 청감 평가를 통해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