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은신처 이용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Preference and Competition for Shelters at Day and Night between Adult and Juvenile Schlegel's Japanese Gecko (Gekko japonicus) in an Indoor Vivarium (실내 사육장에서 도마뱀부치(Gekkojaponicus) 성체와 유체의 주야간 은신처 선호와 경쟁)

  • Park, Il-Kook;Kim, Dae-In;Jang, Se-Yoon;Kim, Do-Yeon;Choi, Woo-Jin;Kim, Jong-Sun;Koo, Kyo-Soung;Park, Daesi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2 no.4
    • /
    • pp.373-380
    • /
    • 2018
  • We examined activities of adult (n=9, 3 females and 6 males) and juvenile (n=4) Schlegel's Japanese gecko (Gekko japonicus) in an indoor vivarium for 47 days to study the preference and competition for shelters at day and night. The result showed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shelter and the body temperature of Schlegel's Japanese gecko and more individuals observed outside the shelters at nighttime than daytime. Both adults and juveniles showed a preference for certain shelters. The adults preferred the warmer shelters in the daytime while the juveniles preferred the same shelter in both daytime and nighttime. Both adults and juveniles observed outside the shelter at the nighttime had higher body temperature than those found inside. In the daytime, the body temperature of adults was higher than that of juvenil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ighttime. The results imply that G. japonicus, which is the nocturnal lizard, prefers the shelters with higher temperature and that there is the competition for shelters between adults and juveniles. This study provides the reference data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ody temperature and the activities of G. japonicus.

농업용 요소비료에 의한 시볼트전복, Haliotis gigantea의 마취 박리 효과

  • 한석중;원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1-182
    • /
    • 2003
  • 생물에게 물리적인 손상(physical damage)이나 stress를 주지 않기 위한 마취제로서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복은 어류와는 달리 부착기질과 은신처를 이용하여 부착생활을 하기 때문에 무게측정(weighting), 표지(tagging), 선별(selection), 밀도 조절 등을 위해서 박리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소비료(CO(NH$_2$)$_2$)를 마취제로 이용하여 요소비료의 농도와 수온 등 물리적 요인이 시볼트 전복 Haliotis gigantea의 박리율과 회복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박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of Caves and Culture (동굴과 문화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

  • 이정애;이영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6 no.47
    • /
    • pp.59-69
    • /
    • 1996
  • 동굴은 우리의 옛 조상들이 강 가까운 동굴 속에 살면서 바닷가나 냇가에서 물고기를 잡아먹으며 살아가는 등 먼 옛날 석기시대에는 혈거생활의 주거지로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그 후 인류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즉, 때로는 은신처로 이용되어 왔고 때로는 묘지로, 작전기지로, 그리고 물자의 저장고로도 이용되었고 그밖에 수양터와 신앙의 장소 등으로 사용되었었다. 이러한 증거로서 인골화석, 생활을 위해 선조들이 사용하였던 다량의 도구 등 일상용품이 아직도 보존되어 남아있는 것이 발견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독특한 문화를 갖고 있는 제주도에서도 여러 개의 동굴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성인상으로는 모두 제주도의 화산 폭발과 관련된 것이어서 용암동굴로 분류되고 있다. 그 중에서 삼성혈은 제주도의 삼성신화, 즉 부족 형성과 관련 있는 것이고, 빌레못동굴은 구석기시대에도 재주도가 주거지로 이용되었음을 인증 받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김녕사굴의 설화는 재주도 설화의 하나로서 제주도 정부와 주민들간의 일치단결에 대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산방굴은 제주도 여인들의 기개에 대한 예를 나타내 주는 곳이고, 세계에서 가장 긴 동굴군계인 만장굴은 여인의 한을 전설로 담고 있다. 이렇듯이 동굴은 인류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동굴은 그 학술적ㆍ문화적 가치로서는 물론 최근에 붐이 일고 있는 관광적 측면에서도 그 보전 및 연구ㆍ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 PDF

Development of the Mass-rearing Technique for a Predatory Mite Stratiolaelaps scimitus (Acari: Laelapidae) Using the Double Box System (이중상자 시스템을 이용한 뿌리이리응애(Stratiolaelaps scimitus)의 대량생산 방법)

  • Jung, Duck-Oung;Hwang, Hwal-Su;Kim, Jin-Won;Lee, Kyeong-Yeoll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7 no.4
    • /
    • pp.253-260
    • /
    • 2018
  • A mass-rearing method for a soil-dwelling predatory mite Stratiolaelaps scimitus (Womersley) was developed using the double box system. The rearing box consists of two, outer (22 L, $54{\times}36{\times}18cm^3$) and inner (6.5 L, $31{\times}22{\times}11cm^3$), plastic boxes. Inner box was filled with chaff (rice husks) which is used as the shelter of the predatory mites. Outer box contained 1 L of water and the inner box, then covered with a lid. This system prevents the predatory mites from escaping as well as keeping moisture of the shelter. In addition, Tyrophagus putrescentiae (Schrank), as prey mites of S. scimitus, was reared on the rice bran as a food source using the same double box system. The both mites were reared at $25{\pm}1^{\circ}C$, $60{\pm}10%$ relative humidity condition. The prey mites were provided once a week. The density of predatory mites increased three times for four weeks and the final population was approximately 120,000 individuals/box (4 L). This is a simple mass-raring technique of S. scimitus and helpful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soil pests.

Inhabitation Status and Protection Discipline of Wildbirds in Urban Area - in the case of Seoul City - (도시내 야생조류의 서식현황과 보호대책 - 서울시를 사례로 -)

  • 이우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40-248
    • /
    • 1997
  • 기존 연구 문헌의 고찰로 서울시 야생조류상의 현황 및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1. 서울시 야생조류상에 대하여 물새와 산새를 모두 연구한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현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번식기에는 약 40 여종, 겨울철에는 4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정교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도시림 뿐만 아니라 주변의 패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intergrated approach)으로 도시림을 연구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도시림의 면적은 도시림에 번식하는 야생조류의 종 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인 인자로써 도시림이 더 이상 다른 토지이용 형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인 관리 지침이다. 4. 대면적의 숲이 세분화 될 경우, 여름철새의 번식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면적 숲의 세분화를 막아야 하며, 가능한 한 생태통로(eco-corridor)로 세분화 된 숲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5. 도시림에 생육하는 임목 중 대경급 임목은 나무구멍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중요한 은신처와 둥지이므로 대경급 임목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설치는 나무구멍을 둥지로 이용하는 조류의 번식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또한, 도시림이 시민에 의해 과도하게 이용될 경우, 관목층이 제거되어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서식에 불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등산로 주변에 관목성 수목을 밀식하여 등산로의 확폭과 파괴를 막아야 할 것이다. 풍부한 먹이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목층 보호를 꾀하고 임목의 조림과 무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6. 동일한 면적에서 번식 조류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은 엽층의 피도량을 늘이는 것이다. 현재 서울의 도시림은 엽층의 분화보다는 우선, 피도량의 증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후에 엽층의 다양성을 높여 산림의 수직적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7. 들고양이와 들개에 의한 소형 조류의 피해가 늘고 있으므로, 야생조류의 천적인 들고양이와 들개를 구제해야 할 것이며, 이에 앞서 서식실태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8. 한각을 비롯한 지천의 하변에 서식, 월동하는 물새류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와 관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 산불방지와 도시림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해 온 관목층과 낙엽 및 죽은 가지를 제거하는 비과학적인 관행과, 하천유지유량을 높이고 하변 정비 및 산불 방지으 ㅣ한 방편으로 진행된 하변 식생 제거는 전문가와 충분히 제고한 후, 없어져야 할 것이다.

  • PDF

Breeding Population and Habitat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on Nando Island, Natural Monument (천연기념물 난도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 개체군 및 서식 환경)

  • Kim, Miran;Kwon, Young-Soo;Nam, Ki-baek;Lee, Ho;Myeong, Hyeon-Ho;Noh, Hyung S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5 no.2
    • /
    • pp.134-142
    • /
    • 2017
  • Nando Island is reported as one of the biggest breeding colonies of seabirds in South Korea, and is protected as a Natural Monu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uly to November 2015, to investigate the breeding population of Black-tailed gulls and their habitat on Nando Island. We estimated the breeding population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using nest density. The mean nest density of Black-tailed gulls was $0.51\;per\;1m^2$ ($0.51m^{-2}$), and the breeding population was approximately 26,760 individuals. The dominant vegetation was Echinochloa crusgalli and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which served as shelter and nest sites to Black-tailed gulls. The diet of Black-tailed gulls was mainly the fish,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s (48%). Other species which were found to breed on Nando Island were Streaked Sheawater (Calonectris leucomelas), Temminck's Cormorant (Phalacrocorax capillatus), and Swinhoe's storm petrels(Oceanodroma monorhis).

Study on Topographical Changes by Frame of Wooden Groyne at the Riparian of the Pyungchang River (유도틀 설치에 따른 평창강 수변의 지형변화 연구)

  • Kim, Byoung-Moon;Kim, Hyun-Ho;Hwang, Gil-Son;Kim, Dong-Oug;Park,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0-970
    • /
    • 2012
  • 최근 치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원래 자연하천의 모습을 보전 혹은 복원하는 "생태하천 복원 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공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시설물의 조성 시 유황에 따른 자연 하안 유도와 습지형태의 생물 서식공간 조성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창강 일원에 목재 유도틀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지형변화, 저서무척추동물을 포함한 수생생물들의 서식특성을 분석하였다. 평창강 금당계곡 일원을 대상으로 RMA-2 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통해 수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고 안산에 있는 수리모형 실험장에서 기본 수리특성 실험 후 수리적 안정성이 확보된 지점에 목재 유도틀을 2009년 9월에 설치하여 유도틀 설치 전과 설치 후 2010년 10월까지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였다. 지형의 측량은 광파측정기(니콘 DTM-520)로 하였으며 측량된 자료를 이용하여 Contour Map을 작성하여 지형변화를 분석하였고, 유도틀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2010년에 3차에 걸쳐 지형 및 생물상 변화에 대한 정량 및 정성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유도틀 설치 후 2010년 하절기에 집중호우에 의한 유도틀의 파손 및 형태변형 등 문제가 없어 수리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형 변화의 측면에서는 유도틀 조성 전 사질로 되어있던 단순한 선형의 하안이 유도틀 설치 후 다양한 하상재질 및 형태가 변화했으며 유도틀의 배치에 따라서 굼치 및 둠벙형 습지가 형성되었다. 유도틀 설치지역의 3개지점(상부, 중간배후습지, 하부)에서 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설치된 유도틀의 중간지점에서 가장 높게 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상부지점과 하부지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으나 상부지점 보다는 하부지점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개체수의 변화에서는 종수변화와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깔다구와 꼬마줄날도래등 특정종의 증식이 많았다. 또한, 굼치 및 둠벙형 습지 내에 어류의 치어 및 유어, 양서류, 파충류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는 유도틀에 의해 생성 및 유도된 지형변화가 하천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생물들에게 다양한 피난처 및 은신처 역할을 잘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Improvement on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the Streets of Seoul (서울시 가로경관 특성화 및 녹량증진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 방안)

  • Byon, Hye-Ok;Han, Bong-Ho;Ki, Kyong-Seok;Jung, Jin-M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6
    • /
    • pp.35-46
    • /
    • 2012
  • This study attempts to specifically analyze green volume and scenery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 streets in Seoul and suggest improvements accordingly. The subject streets for research were limited to those that have high occupancy ratio and are wide enough to have a big potential in improving green volume. In terms of green volume and scenery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eets, Platanus occidentalis and Ginkgo biloba were most common regardless of the street type, and the green ratio was 51.6% in residential areas, 50.4% in commercial areas, and 43.7% in business areas. Apart from the residential area, there was almost no green areas, and the ratio of green coverage was 71.0% in business areas, 64.0% in green areas, 37.3% in residential areas, and 36.2% in commercial areas, while the green volume coefficient was $1.9m^3/m^2$ on averag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was set as a goal to provide the residential areas with a green community space and flowering trees throughout the year for scenery, and commercial areas with flowering trees and maples to emphasize the stores' image while not interfering with service and walking. For business areas, the goals were to improve green ratio and create streets that suit the urban image, and to set up spaces to provide habitat for wild animals with multi-layer planting and link to surrounding forests.

Planning of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Habitat Restoration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서식처 적합성 지수 (HSI)를 활용한 맹꽁이 서식처 복원 계획)

  • Cho, Dong-Gil;Shim, Yun-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1
    • /
    • pp.62-69
    • /
    • 2016
  •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is the only amphibian species of genus Kaloula living in South Korea. They are designated and managed as endangered class II wildlif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of a habitat restoration study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narrow-mouth frog. This study is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direc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s to restore damaged narrow-mouth frog habitats or to suggest alternative habitat options.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of narrow-mouth frog was applied to the research area in Mokpo City of Jeollanam-do Province, in order to present a new narrow-mouth frog habitat. We analyzed the research area based on historical contexts, ecological environment, ecology, and habitat requirements. The research area was divided into the core, buffer, and transition zones according to UNESCO MAB (Man and Biosphere) to establish local land-use plans. As for the foundation of the plan, we divided the habitat composition of the core, where narrow-mouth frog live in, into wetland (spawning area), grassland (shelter and feeding grounds), and forestland (feeding ground). We had a comparative analysis of habitat suitability in pre and post planning of narrow-mouth frog habitat restoration. For the validation study of habitat restoration plans,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on the composition of test-bed, continuous monitoring, and scientific habitat maintenance.

Fish Community Structure of the Former Channel Isolated by Channelization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Implications for Connectivity Restoration (만경강에서 하천정비에 의하여 격리된 구하도의 어류 군집 구조: 연결성 복원을 위한 제안)

  • Kim, Seog Hyun;Cheon, Hyoung Tae;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1
    • /
    • pp.22-32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fish community structures in a main channel and an isolated former channel,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ith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at former channels were composed of a fine substrate covered by in-stream vegetation, whereas the main channel was covered by a wide range of substrates with a higher dissolved oxygen and conductivity. The result of th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ith species abundance delineated to the four main groups; three abandoned channel groups and one main channel group.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showed that fish community structures of each study site differed from environmental factors: former channel fish commun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in-stream vegetation cover, whereas main channel fish communit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ssolved oxygen and condu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annelization, where there was a separation between the former channel and the main channel, had detrimental effects on fish community structures of both the main channel and the abandoned channel in the Mangyeong River.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abandoned channel were required to enhance both habitat structural diversity and species diversity of the Mangyeong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