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융해율

Search Result 28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유리화 동결법에 의한 난자의 동결 중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tabilizer, Taxol의 처리 후 배발달율의 개선에 관한 연구

  • 정형민;박성은;임정묵;고정재;정미경;차광렬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74-74
    • /
    • 2001
  • 난자 동결방법의 선별은 보다 효과적인 난자은행의 개발에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요소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마우스의 난자를 ethylene glycol과 electron microscope grid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으로 동결 융해한 결과 기존의 slow freezing 방법에서보다 높은 생존율과 배발달율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동결융해후의 난자는 방추사와 염색체의 이상성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빈도로 나타나 융해후의 배발달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리화동결법동안 항동해제에 Cytoskeleton system을 안정화시키는 cytoskeleton stabilizer인 taxol을 첨가시킨후 동결시켰을때 생존율과 발달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ICR mouse의 성숙란을 채취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taxol을 첨가시키지 않은 대조군과 첨가시킨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결방법은 난자를 1.5 M ethylene glycol (EG)에 2분 30초간 노출시킨후 5.5 M EG와 1 M sucrose가 첨가된 동결액에 20초간 노출시킨 후 Grid에 난자를 부착시킨후 직접 액체질소에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동결후 난자는 5단계로 융해를 실시한 후 정자와 체외수정을 시킨 후 수정된 난자는 modified P1 배약액에 124 h까지 발달율을 관찰하였고, 배양 후 발달된 배반포는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4마리의 발정동기화된 recipient에 이식을 시행하였다. 배발달율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4세포기 (48 vs. 84.4%), 8세포기 (34% vs. 70.6%), 상실배 (26% vs. 58.6%) 그리고 배반포 발달율은 (24% vs. 58.6%)로 높게 관찰되었다. 배아이식후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2 마리가 임신이되어 정상적인 산자를 분만하였다. 따라서 항동해제에 taxol의 첨가는 동결 융해후의 난자의 배발달율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8%로 나타나 난할율 및 배반포 발생율에 있어서 융합조건에 따라 큰 차이는 없었으나 1.9㎸/cm, 30$\mu\textrm{s}$ 2회의 조건이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체세포와 수핵란 세포질간의 융합율과 배반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전압보다는 시간에 더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융합시 시간을 오래 주는 것보다 전압을 높이는 것이 수핵난자의 세포질에 상해를 줄이고 이후 배반포 발생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면에서도 더욱 더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란후 72시간째에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하여 난소의 난포발달을 조사한 결과 , 대조구와 bFF처리구에 비해 AI처리구에서 발달난포가 유의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Anti-inhibin serum은 한우 자체에서 분비하는 Inhibin을 특이하게 억제하여 Inhibin에 의해 억제되는 FSH분비가 촉진됨으로써 난포발달과 estrogen의 농도가 촉진되는 것으로 사료되어 anti-inhibin serum이 한우의 과배란유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e issues were high risk perception in general setting and

  • PDF

Tris-buffer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에 따른 동결융해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에 관한 연구

  • 유대중;정수룡;오인석;이정우;손병훈;서재석;서진성;조성균;배인휴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3-3
    • /
    • 2002
  •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자동결 시 straw size, 예비동결 시 액체질소표면으로부터 straw까지의 거리 및 융해온도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포유류의 경우 부생식선의 정낭선에서 분비되는 정장내에는 정자의 체외사출 후 정자의 영양물질인 fructose 가 분비되는데, 동결정액제조 시 회석액내에 첨가되는 당 성분은 fructose 및 glucose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andstone and Andesite by Freeze-Thaw Test (동결융해시험에 의한 사암 및 안산암의 풍화특성 평가)

  • Kang, Seong-Seong;Kim, Jong-In;Obara, Yuzo;Hirata, Atsu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1 no.2
    • /
    • pp.145-150
    • /
    • 2011
  • Variations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weight loss rate, wave velocity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fter performing freeze-thaw cyclic test were measured in order to define weathering characteristics of sandstone and andesite. Weight change in specimens of the two rock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petition number of freeze-thaw cyclic test. In particular, weight loss of andesite specimens was very irregular. P-wave velocity of sandstone specimens decreased more than 5%. On the other hand, P-wave velocity of andesite specimens do not vary up to 500 cycles and decreased more than 5% after 1000 cycles. This implies that the sandstone are easily weakened and loosened by weathering processes, while the andesite are relatively strong. In addition, the wave velocity changes of the andesite specimens coincident with the weight chang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sandstone specimens slightly de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the freezing-thawing cyclic test, then tended to be irregular after 64 cycles. In conclusion, the rock specimens showed smaller weight loss, less had lower strength reduction rate.

Induction of Twin Pregnancy Using Frozen-Thawed Embroy Transfer in Cattle (동결 우수정란의 융해후 쌍태유기)

  • 김정익;고과두;이상영;정희태;양부근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3 no.1
    • /
    • pp.43-47
    • /
    • 1988
  • 공란우 89두와 수라우 94두를 사용하여 호르몬 투여에 대한 난소반응, glycerol의 평형과 제거방법에 따른 융해란자의 형태적 정상성과 동결 융해란의 이식후 임신율과 쌍태유기율을 조사하였다. 1. 호르몬처리에 대한 난소반응 :1) 과배란 처리후 배란된 난자수는 A.B.C군에서 각각 8.3, 7.8, 9.5개로서 C군이 전체 평균의 8.3개보다 증가되었다. 2) 난자의 회수율은 42.1%, 두당회수된 난자수는 3.5개였으며, 회수란자중 정상발육한 상실배와 배반포기의 난자는 63.3%, 36.7%(114/311)가 형태적 이상란자로 확인되었다. 2. 수정란의 동결 융해후 형태적 정상성 :1) 동결융해후 회수된 난자중 정상 난자의 비율은 60.4%였으며, 배반포(62.3%)가 상실배(58.3) 보다 우수하였다. 2) 1단계 glycerol의 제거시에는 동결전 glycerol의 평형을 3단계로 실시한 군(C.G)이 1단계 평형군 (A.E)보다 우수하였다. 3. 동결융해란의 이식후 쌍태유기 :1) 수정란의 이식후 임신율은 단태(대조)구에서 30.0%, 쌍태유기군인 A(AI+단태), B(편각쌍태) 및 C(쌍각쌍태)구에서 각각 55.6, 44.4, 37.5%로서 대조구보다 증가되었다. 2) 쌍태유기에 공용된 26두의 수란우에 착상된 수정란수는 17(65.4%)개로서 딘태구(30.0%) 보다 배가되었다.

  • PDF

Successful Birth after Transfer of Re-frozen Blastocysts Developed from Immature Oocytes Retrieved from a Woma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미성숙 난자로부터 체외 성숙한 포배기 배아의 Re-vitrification 후 성공적 임신 1례)

  • Yoon, Hyejin;Yoon, Sanhyun;Lee, Soyoung;Kim, Haekwon;Lee, Wondon;Lim, Jinh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2 no.1
    • /
    • pp.65-70
    • /
    • 2005
  • 본 연구는 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두 번의 냉동과 융해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후 이식한 결과에 관한 보고이다. 사람 포배기 배아의 동결보존에서 높은 생존율과 성공적인 임신율이 보고되고 있으나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에 두 번의 초급속 냉동 방법을 실시한 후 이식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게서 얻은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를 artificial shrinkage 후 초급속 냉동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재냉동 이식하였을 때 임신에 성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9세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55개의 미성숙 난자들(germinal vesicle stage oocytes)을 체외배양 하여 성숙한 37개의 난자들로부터 30개의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다. 12개의 배아가 포배기 배아까지 발달하였으며 이 중 3개의 양질의 포배기 배아를 선별하여 이식하였고, 이식을 한 후에 남은 9개의 포배기 배아들은 artificial shrinkage의 과정을 마친 후에 초급속 냉동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보존 하였다. 그 중,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융해한 후 이식을 하지 않고 다시 재냉동을 하여 보관하였고 이 후 재냉동 되었던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다시 융해 하여 이식을 한 결과 임신이 되어 건강한 남아를 분만하였다. 이로써 미성숙 난자로부터 얻은 포배기 배아가 두 번의 냉동과 융해의 과정을 통해 크게 손상을 입지 않고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융해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다시 냉동 보관하여 다음 주기에 이용함으로써 축적된 임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Straw Size and Thawing Rate on Post-thaw Quality of Bog Semen (개의 동결 정액 제조시 Straw의 크기와 융해온도가 정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 Son J.M.;Kim Y.S.;Shin Y.J.;Lim Y.H.;Yoon K.Y.;Lee D.S.;Shin S.T.;Cho J.K.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1 no.1
    • /
    • pp.77-83
    • /
    • 2006
  • 본 연구는 개 동결 정액 융해 시 straw 크기 및 융해 속도가 융해 정자의 질(quality)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최적의 융해 조건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상적인 번식능을 가진 비글 수컷 5마리에서 정액을 채취하여 원심 분리하여 정장을 버리고 남은 정자에 동결보호제인 glycerol이 첨가된 tris-glucose-egg yolk extender를 첨가하여 동결하고 액체질소에 보관한 후 융해하였다. 동결 융해 조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traw는 0.25 ml과 0.5 ml크기를 사용하였고 융해 조건은 $75^{\circ}C$에 10초, $55^{\circ}C$에 12초 및 $37^{\circ}C$에서 120초로 하여 융해 후 정자의 활력도(vigor), 운동성(motility), Hypo-osmotic test(HOS test)를 이용한 생존성(viability) 및 $SperMac^{\circledR}$ 염색을 하여 정자의 membrane integrity를 비교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0.5 ml 크기의 straw를 사용한 경우 $37^{\circ}C$ 융해가 $55^{\circ}C,\;75^{\circ}C$ 융해보다, 0.25 ml 크기의 straw를 사용한 경우에는 $37^{\circ}C,\;55^{\circ}C$ 융해가 $75^{\circ}C$ 융해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 지수 및 생존성을 보였다(P<0.05). Straw크기에 따라 비교하였을 경우 0.5 ml 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도, 생존성 및 membrane integrity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개 정액이 동결 및 융해 시 0.5ml straw를 이용하여 동결한 후 $37^{\circ}C$에서 120초 동안 융해하는 것이 최적의 조건임이 사료된다.

Motility of Rooster Spermatozoa under Different Thawing Conditions (닭 동결정액 융해방법이 정자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 Woo;Choe, Seung Rye;Ko, Yeoung-Gyu;Jeon, Ik Soo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45 no.4
    • /
    • pp.237-244
    • /
    • 2018
  • In this study,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frozen/thaw rooster semen, standard protocols of semen thawing procedures were tested by computer-assisted sperm assay (CASA). We tested 4 different thawing protocols for frozen semen, $5^{\circ}C$ for 2 min, $35^{\circ}C$ for 30 s, $54^{\circ}C$ for 13 s, and $70^{\circ}C$ for 7 s. The pooled semen from 5 to 8 Ogye rooster line was diluted in the HS-1 diluent and frozen in 8% methylacetamide (MA) in liquid nitrogen vapors. To determine standard thawing method, straws were plunged in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times. The resulting motilities were recorded by the CASA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best viability of the spermatozoa was shown by exposure at $5^{\circ}C$ for 2 min. Moreover, the longevity test of thawed sperm at $5^{\circ}C$ for 2 min also supported the higher viability under low temperature preservation of $17^{\circ}C$ for 1 h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the motility of thawed rooster semen for field application. In addition, the in vivo tests for different rooster lines are also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vian genetic resource bank.

Effect of Thawing Rate on the Function of Cryopreserved Canine Sperm (융해 속도가 동결.융해된 개 정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 Kim, Su-Hee;Yu, Do-Hyeon;Kang, Tae-Woon;Kim, Yong-Jun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8 no.6
    • /
    • pp.571-575
    • /
    • 2011
  • Sperm cryopreservation methods have been improved over the last few decades. However, an optimized thawing rat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awing rate on sperm function after cryopreservation. The ejaculates collected from beagle dogs were cryopreserved and then thawed at two different thawing rates ($37^{\circ}C$ for 1 min or $70^{\circ}C$ for 15 sec). The thawed sperm were evaluated for motility, viability, morphology, plasma membrane integrity, phosphatidylserine (PS) translocation, and intracellular $H_2O_2$ level. The sperm thawed rapidly at $70^{\circ}C$ showed improved motility, viability, normal morphology, plasma-membrane integrity and non-PS translocation compared to the sperm thawed slowly at $37^{\circ}C$ (P < 0.05). However, the intracellular $H_2O_2$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apid- and slow-thawed sperm (P > 0.05). In conclusion, sperm rapid thawing at $70^{\circ}C$ could improve the function of cryopreserved canine sperm, and the appropriate thawing rate would enhance the quality of the cryopreserved sperm.

In Vitro/In Vivo Development of Vitrified Immature Mouse Oocytes (초자화 동결된 생쥐 미성숙란의 체외/체내 발달)

  • Yi, B.K.;Kim, E.Y.;Nam, H.K.;Lee, K.S.;Yoon, S.H.;Park, S.P.;Lim, J.H.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3 no.2
    • /
    • pp.133-139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 vitro/in vivo development of vitrified-thawed immature mouse oocytes. Immature mouse oocytes were vitrified with EFS40 (40% ethylene glycol, 18% ficoll and 0.5 M sucrose). Thawed oocytes were matured for 16 hr in vitro. Matured oocytes with the first polar body were fertilized with the concentration of 1~2$\times$10$^{6}$ $m\ell$ of epididymal sperm. After fertilization, cleavage ($\geq$ 2-cell) and in vitro/in vivo development rates were examined. $\pi$ I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vitro maturation rate of immature mouse oocytes in vitrified-thawed group was similar to that in exposed group (67.5%) and control (66.3%), but cleavage rate of vitrified-thawed oocytes (64.9 %) and blastocyst formation rate (59.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ose of exposed group (83.7 and 74.7%) and control (90.7 and 83.7%) (p<0.05). However, when the blastocysts derived from immature mouse oocytes vitrified-thawed were transferred to pseudopregnant mouse, total implantation (31.3%)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in control (40.8%), but live fetus formation rate (66.7%)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58.1%),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when the blastocyts produced in vitro were transferred into recipients, although the development in vitro of oocytes vitrified-thawed was decreased, live fetus formation rate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immature mouse oocytes can be frozen successfully by vitrification with EFS40.

  • PDF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atients with Old Age or Non-Pregnant in Fresh ET Cycles (고령 환자와 신선주기 배아이식에서 임신에 실패한 환자에서 동결-융해 배아이식의 효용성)

  • Choi, Su Jin;Lee, Sun Hee;Song, In Ok;Koong, Mi Kyoung;Kang, Inn Soo;Jun, Jin 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3 no.4
    • /
    • pp.237-243
    • /
    • 200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rozen-thawed ET in poor prognosis patients such as the old age (38~44 years; OA group)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achieve clinical pregnancy with the first fresh ET cycle (non-pregnant patients; NP group). Methods: Laboratory and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fresh and frozen-thawed ET cycles of OA and NP group.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COH) and conventional insemination or ICSI, in vitro culture and ET were performed by routine procedures. Supernumerary embryos were frozen by the slow freezing method, and frozen embryos were thawed by the rapid thawing method. Embryo development,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tudent t-test and chi square test Results: Mean ages were similar between fresh ET ($40.0{\pm}1.8$ years, n=206) and frozen-thawed ET ($39.9{\pm}1.9$ years, n=69) cycles in OA group. However,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 of subsequent frozen-thawed E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 ET cycles (29.0% and 11.2% vs. 16.5% and 7.0%, p<0.05). In NP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etween fresh ET ($31.2{\pm}2.3$ years, n=40) and frozen-thawed ET ($31.9{\pm}3.1$ years, n=119) in subsequent cycles. The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were similar between the subsequent fresh ET (42.5% and 22.6%) and the frozen-thawed ET (40.3% and 18.8%). Conclusion: In old age patients, higher pregnancy rate of frozen-thawed ET compared to fresh ET cycles in this study. It may be related that better uterine environments for implantation in frozen-thawed ET cycles than that of non-physiological hormonal condition in uterus of fresh COH cy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