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융합형

Search Result 3,31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f Game Development Procedure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창의 융합형 교육을 위한 게임 개발 절차)

  • Chan-Il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1a
    • /
    • pp.63-64
    • /
    • 2023
  • 4차 산업의 활성화와 더불어 창의 융합형 인력 양성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기술 창조력, 인성, 융합, 가치 등이 창의 융합형 교육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창의 융합형 교육을 위한 게임 개발 절차를 제안한다. 게임개발 절차로 사전준비, 아이디어발상, 팀구성, 기술공유, 구현 그리고 결과공유 절차를 창의 융합형 인재 개발의 주요 요소와 연결하여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Next Generation Contents Convergence Industry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Kil, Jin-Ho;Shin, Minso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4 no.1
    • /
    • pp.97-109
    • /
    • 2013
  • Recently the value and importance of contents industry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consumption on contents convergence integrating contents and new technologies is being increased as smart devices become popular. Next generation contents convergence industry is being recognized as a new engine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no concrete framework defining next generation contents convergence industry. This fact brings about serious problems in defining the scope of the industry. To develop effectively new industry, there is a strong need to define types of contents convergence based on dominant factors leading content convergence trend while shedding light on contents, technologies and industry. To define classification of next generation contents convergence indudstry, this study analyzes attributes of contents convergence and carries out conjoint analysis. Based on the attributes found from conjoint analysis, the study suggests new classification scheme of contents convergence industry.

Development of ATSC2.0 8-VSB/MH Hybrid 3DTV Service Coverage Measuring and Analyzing Equipment (ATSC2.0 8-VSB/MH 융합형 3DTV 서비스 커버리지 측정 및 분석기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ung-Hoon;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31-32
    • /
    • 2016
  • 본 논문은 ATSC2.0 기반 8-VSB/MH 융합형 3DTV (A/104 Part 5 Service Compatible 3DTV using Main and Mobile Hybrid Delivery, A/104 part 5) 방식의 서비스 커버리지 및 음영지역을 예측할 수 있는 측정 및 분석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기술 한다. ATSC2.0 기반 고정/이동 방송시스템은 8-VSB 로 전송되는 고정 TV 방송서비스(좌영상 전송)와 ATSC-MH 로 전송되는 in-band 모바일 방송서비스(우영상 전송)를 모두 수신하여 좌/우영상의 재생 및 동기화를 통해 융합형 3D 영상을 복원하게 된다. 따라서 융합형 3DTV 수신기는 고정 및 모바일 방송신호를 모두 수신하여야 융합형 3D 영상복원을 할 수 있으며, 방송사 입장에서 서비스 커버리지 측정을 하기위해서는 8-VSB 및 ATSC-MH 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두 측정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RF 수신전계강도 파라미터 및 GPS 정보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사용자에가 융합형 3DTV 서비스 커버리지 측정 및 분석을 통해 서비스를 위한 RF 방송망 셀 구성 및 음영지역을 예측할 수 있는 ATSC2.0 융합형 3DTV 서비스 커버리지 분석기 구현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 PDF

Study on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High School Fusing Science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Song, Shin-Cheol;Hong, Bora;Kim, Nam-Hui;Han, Hwa-Jung;Shim, Kew-Cheol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6 no.1
    • /
    • pp.130-13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high school fusing science. Science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that high school fusing science was related to various areas and they preferred to be taught separately from each area.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at high school fusing science improved the understanding in the area of scientific common knowledge, advanced technology, and the history of science, but neither scientific writing nor discussion were actively involved. It also didn't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cientific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 Especially, high school students believed that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science through fusing science. On the other hand, teachers believed that this high school fusing science might not impact student's learning and generate negative perception.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d that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fusing science because it was combination of many areas in science. They also perceived that contents in fusing science were more related to their daily life.

  • PDF

Performance of Conditional Replenishment Algorithm for UHD Hybrid 3DTV (UHD급 융합형 3DTV에 대한 조건부 대체 알고리듬의 성능)

  • Bang, Min-Suk;Kim, Sung-Hoon;Kim, Hui-Yong;Kim, Ki-Doo;Kang, Dong-Wook;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91-493
    • /
    • 2015
  • 조건부 대체 알고리듬은 양안식 3DTV의 기준/부가 영상을 각각 고정/이동 수신기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인 융합형 3DTV의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기존 조건부 대체 알고리듬은 HD급 해상도를 갖는 융합형 3DTV의 화질개선에 대한 성능을 보여 왔으나, UHD급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UHD급 융합형 3DTV에 대한 조건부 대체 알고리듬의 성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UHD급 해상도를 갖는 융합형 3DTV에 조건부 대체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적절한 화질 개선이 이루어지는 지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Industry-Technology Road-map in the Field of Next-generation Convergent Contents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분야의 산업-기술 연계 입체로드맵)

  • Heo, P.S.;Rim, M.H.;Park, Y.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2
    • /
    • pp.126-136
    • /
    • 2011
  • 최근 문화기술(CT)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의 콘텐츠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융합형 콘텐츠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상상력과 창의력 기반의 문화적 요소가 가미된 융합형 콘텐츠 산업은 '경쟁없는 시장'으로서 국가 비즈니스 혁신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분야의 유망 전략 산업에 대한 산업-기술 연계 로드맵 작성 및 기술기획 프레임워크(framework) 구축은 미래 기술기획 및 기술개발, 관련 산업의 활성화, R&D 투자 배분 등을 위한 사전 작업 및 방향지표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고에서는 유망 융합형 콘텐츠 분야에 대한 산업-기술 연계 로드맵을 3가지 기술발전 경로, 즉 단위 소요기술의 향상(upgrade road), 기존 소요기술의 진화(evolution road), 단위 소요기술의 혁신(innovation road)을 반영하여 작성하는 입체로드맵으로 기술기획 프레임워크 내에서 제시 적용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the Key Competency of Converged Contents : Focused on the ICT and Eco-system Viewpoints (융합형콘텐츠의 핵심요소 연구 : ICT·가치사슬 관점을 중심으로)

  • Lee, Tae-Min;Jang, Hong-Jun;Jung, Young-hee;Kim, Ja-Mee;Jung, So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281-1283
    • /
    • 2012
  • 향후 도래할 융합시대의 국가적 발전을 위하여 6T 첨단기술 간의 융합기술을 예측하고 지원하기 위한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전략 산업 발굴 및 R&D 지원을 위해서 새로이 발생할 융합기술의 분류체계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6T중 문화(Culture)와 기술이 상호적으로 융합하여 만들어지는 CT(Culture Technology)를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구체적으로 CT를 통해 생성되는 융합형 콘텐츠의 분류체계의 핵심요소 도출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ICT 관점에서 융합형콘텐츠의 핵심요소로서 시장성, 응용성, 독창성, 핵심성을 도출하였으며, 생태계적 가치사슬 관점에서 창작성, 가공성, 창출성을 핵심요소로 도출하였다. 또한 융합형콘텐츠의 융합 단계를 창의 혁신 단계로 바라보았으며, 이러한 단계에 따라 ICT 및 생태계적 가치사슬 관점에서 가지는 핵심요소가 다름을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융합형콘텐츠의 발전 단계로 구분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융합형콘텐츠의 발전방향을 바라보아야 하는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Future Robotic Terminal based IT Convergence (IT 융합형 미래형 로봇 기술)

  • Jeong, I.C.;Kim, H.S.;Kim, H.;Cho, J.M.;Son, J.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4
    • /
    • pp.12-18
    • /
    • 2010
  • 미래의 우리생활 환경에서는 기존의 PC와는 다른 형태의 컴퓨팅 기술을 요구할 것이다. IT 기반 환경이 발전됨에 따라서 지능 및 감성을 갖는 개인 서비스 로봇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즉 IT와 지능 기술을 로봇에 융합함으로써, 내가 컴퓨터에서 가서 필요한 정보를 받는 수동적 환경 보다는 로봇이 내게로 와서 내가 원하는 일을 하고,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인간 중심적 환경을 만드는 것이 IT 융합형 미래형 로봇에 대한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IT 융합형 미래형 로봇 기술의 기반이 되는 기술동향을 소개하고, 미래형 로봇의 기반이 되는 요소 기술을 소개한다.

An Analysis of Convergence Motivations and Patterns in Contents Industry (콘텐츠산업의 융합 동인 및 유형 분석)

  • Rim,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15-416
    • /
    • 2013
  • 콘텐츠산업은 과학기술 발전 및 정보통신 확산으로 디지털 수요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거대한 융합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문화기술 고도화, 실감-체험형 콘텐츠 수요 증가, 다양한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 문화예술 기반 사회생활,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 확대 등은 콘텐츠산업의 융합 동인으로 작용하여 시장을 성숙시키고 있다. 콘텐츠산업의 융합 동인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 콘텐츠 산업육성 및 기술정책의 근간으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콘텐츠산업의 융합 현상을 강화, 확장, 결합, 창조의 4가지 경로로 파악하였으며, 융합 유형으로서 장르 융합형(콘텐츠와 콘텐츠), 산업 융합형(콘텐츠와 산업), 기술 융합형(콘텐츠와 기술)의 3가지 형태로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f STEAM Education Model for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er With Regards to Developing People of Interdisciplinary Abilities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집단지성 학습 기반 STEAM 교육 방안 연구)

  • 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406-1409
    • /
    • 2012
  • 최근 학문간 융합을 통한 STEAM 융합인재교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STEAM 교육은 과학, 기술, 공학, 예술 그리고 수학의 학문 영역을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차세대 학습자들이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식이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창의적인 융합인재를 위한 미래형 과학기술 교육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과학기술 교육 패러다임에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집단지성 기반의 STEAM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학습자의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지능로봇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또한 집단 학습자들 간의 교육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학습자의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로 집단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융합형 과학기술 인재양성 교육방안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