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융합콘텐츠화

Search Result 36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Trend and Case of the Next Generation Converged Contents Industry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 동향 및 사례)

  • Koo, B.T.;Park, Y.J.;Heo, P.S.;Rim, M.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1
    • /
    • pp.109-127
    • /
    • 2011
  • 콘텐츠 산업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융 복합 형태로 진화함으로써 다양한 비즈니스모델의 등장 및 선진화된 유통구조로 진화되는 등 콘텐츠 산업의 성장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 산업의 현상은 산업간 경계약화, 신기술 확산, 수요의 다양화 등으로 인해 융 복합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콘텐츠 산업의 융 복합화로 생겨날 수 있는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이 무엇인지 먼저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주요 산업 동향 및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콘텐츠 산업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고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서언에서는 콘텐츠 산업의 융합 확산 및 융합형 콘텐츠 산업의 영향을 산업적, 기술적, 사회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둘째,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산업별로 주요 글로벌 기업 동향 및 산업 동향들을 살펴보았으며, 셋째, 산업별 주요 사례를 정리하고, 마지막 결어에서는 미래에 유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를 산업별로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 PDF

콘텐츠연재 /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디지털 미디어 융합현상 가속화

  • O, Ik-Jae
    • Digital Contents
    • /
    • no.3 s.118
    • /
    • pp.134-137
    • /
    • 2003
  • 미디어는 콘텐츠를 유통시키는 경로이면서 콘텐츠를 담는 그릇이다. 디지털 경제의 진행에 따라 기존 미디어 산업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방송, 통신, IT의 융합이 일어나고 디지털미디어의 출현으로 콘텐츠 제작에서 유통, 이용에 이르는 전 과정이 디지털화된다. 디지털화의 급진전으로 방송사업자, 통신사업자, IT사업자의 구분이 어려워지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과 정착에 의한 콘텐츠 시장의 증대는 콘텐츠 수용자의 기호 변화에 좌우된다.

  • PDF

An Analysis of Convergence Motivations and Patterns in Contents Industry (콘텐츠산업의 융합 동인 및 유형 분석)

  • Rim, M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15-416
    • /
    • 2013
  • 콘텐츠산업은 과학기술 발전 및 정보통신 확산으로 디지털 수요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거대한 융합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문화기술 고도화, 실감-체험형 콘텐츠 수요 증가, 다양한 스마트기기 보급 확대, 문화예술 기반 사회생활,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 확대 등은 콘텐츠산업의 융합 동인으로 작용하여 시장을 성숙시키고 있다. 콘텐츠산업의 융합 동인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은 국가 차원에서 콘텐츠 산업육성 및 기술정책의 근간으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콘텐츠산업의 융합 현상을 강화, 확장, 결합, 창조의 4가지 경로로 파악하였으며, 융합 유형으로서 장르 융합형(콘텐츠와 콘텐츠), 산업 융합형(콘텐츠와 산업), 기술 융합형(콘텐츠와 기술)의 3가지 형태로 분석하였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f Adoption Factors by Type in Next Generation Converged Contents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유형별 채택요인 실증분석)

  • Park, Yong-Jae;Rim, Myung-Hwan;Lim, Kwa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15-416
    • /
    • 2012
  • 산업간의 경계약화, 신기술 확산, 수요의 다양화 등으로 인해 콘텐츠 산업의 융복합화 현상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또한 기술혁신으로 네트워크 기반의 융복합, 혼합, 통합, 결합이 총체적으로 반영된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들이 새롭게 등장할 전망이다. 본 연구는 새롭게 등장되고 있는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의 유형별 채택요인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관련 실무자들에게 융합형 콘텐츠 산업 확산을 위한 유용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Harmonizing media for E-learning service in Smart Environment (스마트 환경에서 이-러닝 서비스를 위한 학습 미디어 Harmonizing 기법 연구)

  • Kim, Svetlana;Yoon, Yong-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10
    • /
    • pp.137-143
    • /
    • 2012
  • The learners using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smart devices can access to the Internet from anytime and anywhere. However, with the rapid increase of learning content on the Web, it will be time-consuming for learners to find contents they really want to and need to study. Therefore, e-learning systems should not only provide flexible content delivery, but support adaptive harmonizing fusion content. The harmonizing fusion content it is a very important in fusion e-learning service. The representative method to provide synchronization between fusion content is a provide absolute time value between of the contents. However, this method is occurs a problem transferring time delay. Also, to enter an absolute time value for the duration of the each content is several problems arise. In this paper introduces a new smart e-smart service support the harmonizing media based technology to create synchronized learning presentation.

The Convergence Trend and Case by Type in Contents Industry (콘텐츠 산업의 융합 유형별 사례 및 전망)

  • Park, Y.J.;Rim, M.H.;Heo, P.S.;Koo, B.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5
    • /
    • pp.172-186
    • /
    • 2010
  • 콘텐츠 산업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콘텐츠 속성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융복화로 변화되고 있으며, IPTV, DMB, WiBro, 3DTV 등과 같은 뉴미디어를 통해 융복합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영역은 과거 엔터테인먼트 위주에서 미래에는 제조, 서비스를 포함한 산업 전영역에 체화 및 융합되어 산업의 경계를 초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콘텐츠 산업에 있어서의 융합 현상은 산업간 경계약화, 기술의 발달 및 고객수요의 다양화 등에 의해 빠르게 확산중에 있으며, 특히 문화기술(CT)의 진보가 근본적으로 콘텐츠 산업에서의 융합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콘텐츠 산업에서의 융합 유형을 4가지(강화, 확장, 결합, 창조)로 구분하여 주요 사례들을 살펴보고, 미래 콘텐츠 산업의 트렌드를 전망해 봄으로써 융합형 콘텐츠 산업의 육성 및 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Detection of inappropriate advertising content on SNS using k-means clustering technique (k-평균 군집화 기법을 활용한 SNS의 부적절한 광고성 콘텐츠 탐지)

  • Lee, Dong-Hwa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70-573
    • /
    • 2021
  • 오늘날 SNS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도 많아지고 종류도 매우 다양해졌다. 하지만 유익한 정보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 반사회적, 사행성 등의 부적절한 콘텐츠가 공존한다.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적절한 콘텐츠를 필터링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Instagram을 대상으로 콘텐츠의 해시태그를 수집하여 데이터화 했다. 또한 k-평균 군집화 기법을 적용하여, 유사한 특성의 콘텐츠들을 군집화하고, 각 군집은 실루엣 계수(Silhouette Coefficient)와 키워드 다양성(Keyword Diversity)을 계산하여 콘텐츠의 적절성을 판단하였다.

Industry-Technology Road-map in the Field of Next-generation Convergent Contents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분야의 산업-기술 연계 입체로드맵)

  • Heo, P.S.;Rim, M.H.;Park, Y.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2
    • /
    • pp.126-136
    • /
    • 2011
  • 최근 문화기술(CT)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의 콘텐츠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융합형 콘텐츠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상상력과 창의력 기반의 문화적 요소가 가미된 융합형 콘텐츠 산업은 '경쟁없는 시장'으로서 국가 비즈니스 혁신의 돌파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분야의 유망 전략 산업에 대한 산업-기술 연계 로드맵 작성 및 기술기획 프레임워크(framework) 구축은 미래 기술기획 및 기술개발, 관련 산업의 활성화, R&D 투자 배분 등을 위한 사전 작업 및 방향지표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고에서는 유망 융합형 콘텐츠 분야에 대한 산업-기술 연계 로드맵을 3가지 기술발전 경로, 즉 단위 소요기술의 향상(upgrade road), 기존 소요기술의 진화(evolution road), 단위 소요기술의 혁신(innovation road)을 반영하여 작성하는 입체로드맵으로 기술기획 프레임워크 내에서 제시 적용하도록 한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Service Framework for Public Culture Contents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of Spatial Information and Culture Contents (공간정보 및 문화콘텐츠 융합 환경에서 공공 문화콘텐츠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현)

  • Hong, Dae-Ki;Song, Byeong-Sun;Lee, Nam-You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2
    • /
    • pp.195-201
    • /
    • 2010
  • Globalization, conversions, and OSMU (One Source Multi Use) in modern cultural industry is expanding fast, and global competition is soaring with a changing environment today. In fact, the development of one nation depends on its cultural creativity. Ye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connection between space and culture since globalization homogenizes a nation's unique cultural identity and provides low level of utilization in digital cultural contents in terms of saving, conserving and maintaining data. In order to invigorate the cultural industry, there must be some information that provides public culture contents, which they can be freely searched, displayed, and re-produced. Ultimately, these public culture contents should be able to provide Culture Space. This text discusses how individuals produce the Culture Space, which provides digital information of time and space, from a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space. It also introduces the public Culture Contents service framework in order to provide culture information and combined Culture Contents.

A Study on Effective Collaborative Production Processes for Multimedia Convergence Performances (다매체 융합공연을 위한 효율적인 협업제작과정 연구)

  • Kim, Ga-Eun;Park, Jin-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4
    • /
    • pp.49-61
    • /
    • 2020
  • Recently, the convergence of genre-mixed collaboration and technology-mixed collaboration in performance art strategically fuses different goals and different properties, satisfying anticipated demand, and developing into experimental forms that bring out convergence contents of new value. To supplement problems of convergence attempts and heighten levels of completion, the effective collaborative processes of media experts must be studied and improved. This thesis attempts to study effective collaborative production plans of convergence performance that cor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times through multimedia convergence performance prototypes(Live performance play + Pre-made digital animation). It categorizes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es into pre-production and production and researches the effective collaborative production processes of convergence performances that utilize these two forms of media through work selection, production direction establishment, human resource constituents, production schedule plan establishment, visualization processes, and performance practices and rehearsals. Continuous research must be conducted based on convergence performance contents planning, changes in production methods, and an understanding of distinct characteristics among convergence contents for the industrial development systemization and vitalization of convergence contents to be made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