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융설 깊이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velopment of a Daily Snowmelt Depth Model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다중회귀모형을 활용한 일 단위 융설 깊이 예측 모형 개발)

  • Oh, Yeoung Rok;Lee, Gyumin;Shin, Hyungjin;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4-374
    • /
    • 2021
  • 최근 우리나라에도 대설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의 대부분은 강설 발생 이후 남아 있는 적설량이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적설량에 대한 예측은 대설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설량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되는 적설량, 기온, 습도, 일사량을 반영하여 일일 융설량을 모의하는 다중회귀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강설 사상을 대상으로 구축하였으며, 2021년에 발생한 광주, 대관령, 목포, 서산, 전주 지역의 강설 사상에 적용하였다. 분석 대상 지역의 평균 적설량은 7.41 cm로 나타났으며, 평균 RMSE는 1.64 cm가 발생하였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적설량이 1 cm 미만 감소했을 경우, 바람이나 승화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 이용된 함수는 바람과 증발산 등이 고려되지 않았다. 또한, 회귀계수 결정에서 급격한 온도 변화를 능동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워 급상승한 온도나 매우 낮은 온도에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함수를 통하여 융설 깊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온도나, 매우 낮은 온도에서의 영향을 통제할 수 있는 변수 또는 상수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초기 강설 당시의 기온과 습도 등에 따라, 눈의 결정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융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 초기 적설에 대한 변수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PDF

Measurement of snow depth using UAV : Case Studies for Daegwalleong (UAV(드론)를 이용한 적설깊이 측정 : 대관령 지역을 대상으로)

  • Lee, Sang Ku;Park, Jeong Ha;Kim, Dong 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9-129
    • /
    • 2019
  • UAV는 시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경제적 효율적으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토목, 방재, 농업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관측 장비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수자원 분야에서는 하천측량, 수심측량, 지하수 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적설에 대하여 UAV를 활용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UAV 측량을 통하여 임의지역의 수치 표고 모형(DEM)을 추출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적설깊이를 측정하는데 활용하였다. 먼저 강설 사상 이전 UAV를 통하여 연구지역의 고도를 측정하였으며, 강설 이후 재촬영 및 두 자료의 고도 차이를 계산하여 적설깊이를 계산하였다. UAV 적설깊이 자료의 검증을 위해 지상 관측지점을 설정하여 목측으로 적설을 관측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건축물에 가해지는 하중을 계산하기 위해 적설밀도 및 SWE(Snow Water Equivalent)를 관측하였다. 연구지역은 평창군 대관령면 $1.3km^2$크기 내외 지역이며, 2019년 2, 3월 3개의 강설 사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적설깊이는 토지피복 및 온도와 크게 상관되었으며, 적설하중은 융설의 영향으로 적설깊이와는 크게 상관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적설 피해 예측 및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UAV를 통한 적설 측정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지중 열교환을 통한 에너지 절약방안

  • 조정식
    • 월간 기계설비
    • /
    • s.93
    • /
    • pp.60-75
    • /
    • 1998
  • 지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 이하의 토양이 보유하고 있는 지열에너지는 에너지자원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매우 유용한 에너지원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중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지중온도분포에 대한 해석과 그 활용면에서 도로 융설시스템 및 건물의 냉난방의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절약 방안에 대한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 PDF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GOI considering Snowmelt Effect and Critical Infiltration in Ssangchun Watershed (융설효과와 한계침투량을 고려한 쌍천유역의 지하수위와 GOI의 상관관계)

  • Yang, Jeong-Seok;Park, Jae-Hyeon;Choi, Yong-Sun;Park, Chang-Kun;Jeong, Gyo-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4-199
    • /
    • 2006
  • 쌍천유역의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융설효과를 확인하였고 갈수기에 지하수위가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쌍천유역의 지하수위와 GOI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70일 이동평균값을 이용한 GOI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융설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 먼저 유역의 DEM 자료를 이용하여 100m 간격으로 고도별 면적분포를 구하고 기온이 100m당 $0.5^{\circ}C$씩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강수사상이 발생하면 $0^{\circ}C$ 이하가 되는 고도에서는 강설사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 때 고도별 면적분포에서 구해지는 면적비를 고려하여 강수사상을 강우와 강설로 나누었다. 이후에 고도를 고려한 기온이 $0^{\circ}C$ 이상인 날에 그 고도의 설적이 모두 녹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강우가 발생한 것으로 처리하였다. 유역평균 일최대침투량을 알아내기 위하여 강수량자료를 일정값 이상은 고정하여 수정된 강수량자료로 70일 이동평균값을 구하고 이 값들과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40mm가 일최대침투량으로 가정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쌍천유역의 경우 40mm가 한계침투량이다. 이렇게 수정된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이동평균을 구하여 지하수위와의 상관관계를 구해본 결과 쌍천유역의 2003년부터 2005년까지 2개년 자료에 대해서 융설을 고려했을 때 상관관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고 한계침투량을 고려했을 때도 상관관계가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으며 융설효과와 한계침투량을 동시에 고려했을 경우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2.8g/cm^3$로 가정했을 때, 경상분지의 화강암류의 압력평균값이 약 $0.73{\sim}3.16kbar$의 범위를 가졌고,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의 정치 깊이는 $2.6{\sim}11.4km$범위를 가졌다. 이는 경상분지 화강암류에 대해 유추된 기존의 정성적인 생각과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각섬석의 $Al^T$함량을 이용한 여러 경험적, 실험적인 압력계가 많은 제한점이 있지만 경상분지의 백악기 불국사화강암류에는 정성적으로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최종적으로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는 천부관입 암체이고 노출된 화강암류가 천부지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것이 아니라 낙관적 예측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원밭, 화산회밭으로 6개 유형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은 41.9%, 23.3%, 17.5%, 13.9%, 1.1. 2.2% 이었다. 도시화 및 도로확대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및 지형개변으로 과거의 토양정보가 많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공위성자료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조사 방법개발과 기 구축된 토양도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브로 출시에 따른 마케팅 및 고객관리와 관련된 시사점을 논의한다.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 PDF

Probabilistic Medium- and Long-Term Reservoir Inflow Forecasts (I) Long-Term Runoff Analysis (확률론적 중장기 댐 유입량 예측 (I) 장기유출 해석)

  • Bae, Deg-Hyo;Kim, Jin-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3 s.164
    • /
    • pp.261-274
    • /
    • 2006
  • This study performs a daily long-term runoff analysis for 30 years to forecast medium- and long-term probabilistic reservoir inflows on the Soyang River basin. Snowmelt is computed by Anderson's temperature index snowmelt model and potenetial evaporation is estimated by Penman-combination method to produce input data for a rainfall-runoff model. A semi-distributed TOPMODEL which is composed of hydrologic rainfall-runoff process on the headwater-catchment scale based on the original TOPMODEL and a hydraulic flow routing model to route the catchment outflows using by kinematic wave scheme is used in this study It can be observed that the time variations of the computed snowmelt and potential evaporation are well agreed with indirect observed data such as maximum snow depth and small pan evaporation. Model parameters are calibrated with low-flow(1979), medium-flow(1999), and high-flow(1990) rainfall-runoff events. In the model evaluation, relative volumetric error an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observed and computed flows are computed to 5.64% and 0.91, respectively. Also, the relative volumetric errors decrease to 17% and 4% during March and April with or without the snowmelt model. It is concluded that the semi-distributed TOPMODEL has well performance and the snowmelt effects for the long-term runoff computation are important on the study area.

A Study on Snow Melting System for the Anti-freezing Testing Road (시험선로 결빙방지를 위한 융설시스템에 관한 연구)

  • Han, K.I.;Lee, A.H.;Cho, D.H.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0 no.1
    • /
    • pp.34-40
    • /
    • 2006
  • The snow melting system by electric heating wires which is adopted in this study is a part of road facilities to keep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ad higher than freezing point of water for melting the snow accumulated on it. The system is designed to increase traffic safety and capacity. The electric heating wires are buried under paved road at a certain depth and operated automatically and manually. Design theory, amount of heating, and installation standard vary according to economic situation, weather condition, and installation place where the system applies. It is tried to figure out that the appropriate range of required heat capacity and installation depth and intervals for solving snowdrifts and freezing problems with the minimum electric power consump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sign the system are calculation of heating capacity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 and depth and interval of the electric heating wires depending on air condition respectively. The study were performed under the range of the air temperatures($-2^{\circ}C,\;-5^{\circ}C,\;-8^{\circ}C$), the intervals of the electric heating wires(70mm, 100mm, 125mm), and the installation depths(50mm, 70mm, 100mm). The ready made commercial program package was used to verify the experimental results.

  • PDF

Simulation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Winter Soil Temperature Taking Account of Snow-melting and Soil Freezing-Thawing Processes (융설과 토양의 동결-융해 과정을 고려한 겨울철 토양온도의 시공간 분포 모의)

  • Kwon, Yonghwan;Koo, Bhon 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945-958
    • /
    • 2014
  • Soil tempera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that govern hydrological and biogeochemical processes related to diffuse pollution.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snowmelting and the soil freezing-thawing processes, a set of computer codes to estimate winter soil temperature has been developed for CAMEL (Chemicals, Agricultural Management and Erosion Losses), a distributed watershed model.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against the field measurements for three months at 4 sites across the study catchment in a rural area of Yeoju, Korea.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simulated and the observed soil temperature is good for the soil surface ($R^2$ 0.71~0.95, RMSE $0.89{\sim}1.49^{\circ}C$). As for the subsurface soils, however, the simulation results are not as good as for the soil surface ($R^2$ 0.51~0.97, RMSE $0.51{\sim}5.08^{\circ}C$) which is considered resulting from vertically-homogeneous soil textures assumed in the model. The model well simulates the blanket effect of snowpack and the latent heat flux in the soil freezing-thawing processes. Although there is some discrepancy between the simulated and the observed soil temperature due to limitations of the model structure and the lack of data, the model reasonably well simulates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soil temperature and the snow water equivalent in accordance with the land uses and the topography of the study catc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