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육용계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9초

오골계, 오골계교잡종 및 육용계육의 이 $\cdot$ 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Ogol Chicken, the Cross-Bred Ogol Chicken and Broiler Meat)

  • 채현석;안종남;박범영;유영모;조수현;이종문;최양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5-194
    • /
    • 2002
  • 본 연구는 오골계, 오골계교잡종(3원교잡) 및 육용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 품종별 3점(점당 3수)을 공시하여 화학적인 특성으로써 일반성분, 무기물, 아미노산, 지방산조성을 조사하였으며 물리적인 특성으로써 전단력, 보수력, 가열감량, 육색 등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3원교잡으로 생산된 오골계교잡종과 순종오골계 및 육용계육의 육질특성에서 오골계교잡종육의 조단백질 함량은 수컷과 암컷에서 각각 23.67%와 23.575으로 순종 오골계육의 22.84%와22.205%보다 오히려 약간 높았고 특히 육용계육의 21.735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조지방 함량에 있어서도 순종오골계육에 비해 약간 많았지만 육용계육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아 좋은 성분조성을 나타내었다(P<0.05). 특히 오골계교잡종육이 무기물 중에서 Ca이 순종 오골계육과는 비슷하였으나 육용계육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아(P<0.05), Ca 공급의 좋은 소재로 여겨진다. 아미노산 함량은 serine, leucine, phenylalanine에서 오골계교잡종육이 육용계육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5), 맛과 관련이 많은 glutamic acid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오골계교잡종육이 오골계 및 육용계육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오골계교잡종육의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arachidonic acid(C2O:4, n6)의 함량에서 육용계육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순종오골계육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DHA 함량에서 오골계교잡종육은 수컷과 암컷이 각각 5.475%와 2.895%로, 순종 오골계육의 2.92%, 1.00% 보다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육용계육에서는 DHA의 함량이 전혀 나타나지 않아 오골계교잡종육의 지방산 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골계교잡종육의 CIE L* 값은 순종 오골계육보다는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오골계의 특징인 검은색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