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육량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7초

무기물 사료(Power-Mix(R))첨가 급여 기간과 수준이 거세한우의 육량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Period and Levels of Fermented Mineral Feed(Power-Mix(R)) on the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

  • 김성환;변성효;이상무;황주환;전병태;문상호;성시흥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0-456
    • /
    • 2007
  • 본 연구는 발효무기물 사료 급여기간 및 급여수준이 한우거세우의 일당증체량, 육량, 육질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급여기간을 두구(T1: 비육후기 7개월 동안 급여, T2: 육성기에서 비육후기까지 18개월 급여)로 하고, 급여수준(농후사료 기준으로 0%, 1%, 2%, 3% 첨가)을 세구 로 하여 총 7처리로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주요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T1에 있어서 일당증체량은 1%구(1.08 kg) > 2%구(0.90 kg) > 3%구(0.75 kg) > 0%구(0.64 kg) 첨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T2에서는 1%구(0.98 kg) > 0%구(0.91 kg) > 3%구(0.89 kg) 순으로 나타났다. 등지방 두께는 T1 및 T2 모두 발효 무기물 사료 첨가량이 높을수록 등지방 두께는 얇아져 육량등급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장근 단면적은 무처리구(0%)에 비하여 처리구(1%, 2% 및 3%)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육질등급에 가장 중요한 근내지방도는 T1에 있어서는 3% 첨가구(4.2)가 T2에 있어서는 1% 첨가구(5.6)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색 및 성숙도에 있어서는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에 뚜렷한 경향치를 보이지 않았다. 육량과 육질에 있어서 T1은 3% 처리구가 가장 좋았던 반면 T2에 있어서는 1% 처리구가 가장 좋게 나타났다. 경제성에 있어서는 1% 첨가구가 T1 및 T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발효 무기물 사료 1%첨가 급여는 한우 성장 및 육량, 육질을 개선을 함으로써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한 발효사료의 급여가 한우 비거세우의 육성성적 및 도체 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Feedstuff Added Saccharomyces cerevisiae on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Grade in Hanwoo Bulls)

  • 박병기;홍병주;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3호
    • /
    • pp.409-420
    • /
    • 2003
  • 본 연구는 발효사료(Fermented feedstuff add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SC)의 급여가 한우 육성 비육우의 육성성적과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평균체중이 230$\pm$24kg인 한우 비거세우 26두를 공시하여 발효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FFSC)와 발효사료를 급여하지 않는 대조구(Control)로 나누어 14개월간 실시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동안 일당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동안 사료효율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시험기간동안 처리구 및 대조구의 일당 증체량은 각각 1.06 및 0.98kg으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19%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 0.05). 전 시험기간 동안의 사료섭취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사료효율 역시 처리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7%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체중, 도체율,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및 육량지수를 포함한 육량형질의 경우 처리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내지방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처리구 및 대조구의 ‘A’ 등급 출현율은 각각 44.4 및 25.0%로 나타났다. 육질 ‘1’ 등급은 처리구에서만 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우 비거세우에 대한 발효사료의 처리는 육성기, 비육전기 및 비육후기 동안에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도체형질 중에서 배최장근단면적과 근내지방도를 개선시켜 최종적으로 비육우의 육량 및 육질 등급을 향상시켜 한우 비육우의 경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에서 혈중 호르몬 및 대사물질 농도와 성장 및 도체 형질에 대한 표현형 상관에 관한 연구 (Phenotypic Correlation for Concentrations of Hormones and Metabolic Materials and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Hawoo)

  • 전기준;최재관;이명식;정영훈;정호영;이종경;임석기;이창우;박정준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3-213
    • /
    • 2003
  • 혈액성분과 경제형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한우의 능력을 예측하고 예견되는 능력에 맞추어 사양관리와 판매처를 결정할 수 있고, 기존의 종축선발 체계와 결합시킴으로서 선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하고 있는 한우 866두의 혈액 중 호르몬과 대사물질을 분석하여 혈액성분과 경제형질과의 표현형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혈액 내 유용한 생리적인 형질을 발굴하여 능력이 우수한 개체의 조기선발 가능성 구명과 선발 기술을 개발하여 한우개량에 또 다른 방법을 제시 하고자 실시하였다. 혈청성분들과 경제형질들 간의 표현형 상관계수를 거세우와 비거세우로 구분하여 추정한 결과 혈청성분들과 도체형질들 간의 주요 상관은 다음과 같다. 24개월 출하체중과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BUN이었고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과 IGF-1이었으며, 비육말기 21∼24개월령의 일당증체량과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이었고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으로 증체와 관련 있는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 비거세우에서는 albumin으로 나타났다. 육질과 관련 있는 등지방 두께 및 지방교잡도와 상관도가 가장 높은 혈청은 거세우와 비거세우 모두 BUN이었고, 육량등급의 근간이 되는 육량지수와 상관도가 높은 혈청은 거세우에서는 calcium이었으며 비거세우에서는 testosterone이었으나 육질과 상관이 높은 BUN은 거세우와 비거세우 모두가 육량지수와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비육우의 암적색 쇠고기(DARK MEAT) 출현요인

  • 이문연
    • 한우개량
    • /
    • 7호통권22호
    • /
    • pp.8-14
    • /
    • 2000
  • 쇠고기 등급판정은 육량등급 A, B, C의 3단계와 육질등급 1+, 1, 2, 3의 4등급으로 매겨진다. 육질등급은 근내지방도에 의하여 대부분 결정되나 육색, 육의 조직감 및 지방색이 결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주로 육색에 관하여 다뤄보기로 한다. 육색은 육색기준을 7단계로 분류하여 놓고 있는데 3-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하지만 육색이 나쁜 것은 다른 항목이 아무리 우수하다 하여도 육색에 의해 육질판정의 불이익을 받기 때문에 그냥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등급판정에 불리한 암적 색육을 방지하고 육색을 좋게하는 각종 실험방법을 소개하여 보기로 한다.

  • PDF

고능력 한우의 체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수정란 생산 및 이식

  • 양병철;임기순;성환후;임석기;이상기;이명식;장원경;정일정;김경남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5-35
    • /
    • 2002
  • 본 연구는 핵이식 기법을 이용하여 고능력 한우의 대량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Donor cell 은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에서 사육, 검정하고 있는 축군에서 육량 육질 국내 100위 이내의 암소에서 귀세포를 채취하여 동결 및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도축장에서 채취한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하여 22시간 성숙 배양한 후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극체가 존재하는 난자를 선별하여 recipient cytoplasm으로 사용하였다. (중략)

  • PDF

한우거세우 경영의 수익성 검토(2)

  • 정경남
    • 한우마당
    • /
    • 제1권3호통권3호
    • /
    • pp.17-20
    • /
    • 2000
  • 5월호에서는 농후사료 급여량이 비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익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결국 소를 키우는데 있어서 그 소의 체질능력에 맞는 사료를 얼마만큼 적정량을 급여하느냐가 농장경영의 수익성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을 것이다. 이어서 이번호에서는 출하월령이 비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수익성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소를 잘키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의 능력을 감안 어느 시기에 출하를 하여 수익을 내는가 하는것도 중요하다. 특히 거세우로 고급육을 지향하는 농가에서는 그 중요성은 말할나위없이 크다 할것이다. 조기에 출하하여 등심에 지방이 미처 참작되지 않아 육질과 육량등급에 나쁜 영향을 줄수도 있지만 너무 오래 키워서 지방이 많이 침착이 되어도 등급에서는 나쁜등급을 받을수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결국은 얼마나 적기에 출하 시기를 맞추느냐 하는 것이 농가 경영의 수익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 PDF

집약방목초지의 목초 및 가축생산성에 관한 연구

  • 윤세형;이종문;이종경;박근제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99년도 제24회 정기총회 및 프로그램, 제37회 학술발표회 및 특별강연 초록
    • /
    • pp.96.2-97
    • /
    • 1999
  • 본 시험의 목적은 방목초지의 이용방법을 개선하여 효율성이 높은 집약 이용체계를, 확립하고 방목이 육질과 육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이다. 체목일수를 단기체목(2-3일), 장기체목(5-6일)로 두어 목초의 생산성과 이용성을 조사하였으며 추후 방목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예정이다. 본 시험의 결과 1. 방목초지의 이용형태에 따른 식생변화는 차이가 적었으나, 집약방목구에서 두과 목초비율이 약간 증가하였다.(중략)

  • PDF

육용계(肉用鷄)에서 가식육량(可食肉量)의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Estimation of Edible Meat Weight in Live Broiler Chickens)

  • 한성욱;김재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21-234
    • /
    • 1983
  • 육용계(肉用鷄)에서 가식육량(可食肉量)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을 구명(究明)코자 W. Cornish(CC) 종(種)과 S. C. W. Leghorn종(種) (LL) 그리고 이 두 순종(純種)의 상반교잡종(相反交雜種)(CL. LC)을 각각(各各) 60수(首)씩 계(計) 240수(首)를 공시(共試)하여 체중(體重) 및 체형(體型)의 구성요소(構成要素)들의 크기와 요소(要素)들 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 그리고 가식육량(可食肉量) 추정결과(推定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8주령시(週齡時) 체중(體重)과 사료효율(飼料效率)은 W. Cornish 종(種)에서 각각(各各) 1,819g과 2.2%였고, S. C. W. Leghorn종(種)에 각각(各各) 668g과 3.3%로 정상발육치(正常發育直)였다. 2) 체중(體重)에 대(對)한 가식육량(可食肉量)의 비율(比率)은 W. Cornish 종(種)에서 6, 8 및 10주령(週齡)에 각각(各各) 34.7%, 36.8%, 37.5%였고 S. C. W. Leghorn 종(種)은 각각(各各) 30.7%, 30.5% 및 32.3%였으며, 잡종(雜種)들은 중간(中間) 값을 보이는데 각(各) 계종간(鷄種間) 차이(差異)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 되었다. 3) 체중(體重)에 대(對)한 방혈량(放血量)의 비율(比率)은 계종간(鷄種間) 차이(差異)가 뚜렸하지 않으나 두부중량(頭部重量), 우모중량(羽毛重量) 그리고 불가식(不可食) 내장중량(內臟重量)의 비율(比率)은 각주령(各週齡) 공(共)히 W. Cornish 종(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적고 각중(脚重)과 복강지방량(腹腔脂肪量)은 S. C. W. Leghorn 종(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적어서 계종간차(鷄種間差)가 뚜렷하다. 한편 가식부위(可食部位)에서 흉부(胸部)와 퇴경부(腿脛部)는 각주령(各週齡) 공(共)히 C Cornish종(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크며, 가식내장(可食內臟)은 S. C. W. Leghorn종(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크고, 경부(頸部)와 익부(翼部) 및 배부(背部)는 주령(週齡)에 따라 계종간차이(鷄種間差異)가 일관성이 없다. 4) 조사(調査)된 체형구성요소(體型構成要素)들의 크기는 W. Cornish종(種)에서 각주령(各週齡) 공(共)히 유의적(有意的)으로 크고, 특(特)히 10주령(週齡)에서 잡종(雜種)들 간(間)에도 대부분(大部分) 유의차(有意差)가 인정되었다. 5) 흉각(胸角)을 제외(除外)하고 대부분(大部分)의 체형구성요소(體型構成要素)들이 가식육량(可食肉量)과 높은 상관도(相關度)를 보이고 있어 체위측정치(體位測定値)들로 가식육량(可食肉量)을 비교적(比較的) 정확히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6) 가식육량(可食肉量)을 체중(體重)에 의(依)해 추정(推定)할 때의 정확도(正確度)로서 체위측정치(體位測定値)들로 추정(推定)할 경우 10주령(週齡)에서 W. Cornish종(種) $Y=-1,475.581 +5.054X_{26}+3.080X_{24}+3.772X_{25}+14.321X_{35}+1.922X_{27}$였고 S. C. W. Leghorn종(種)은 $Y=-347.407+4.549X_{33}+3.003X_{31}$였으며 W. Cornish 종(種)을 부(父)로한 잡종(雜種)(CL)은 $Y=-1,616.793+4.430X_{24}+8.566X_{32}$, S. C. W. Leghorn종(種)을 부(父)로한 잡종(雜種)(LC)은 $Y=-603.938+2.142X_{24}+3.039X_{27}+3.289X_{33}$이었다. 위에서 설명변수(說明變數)들은 $X_{24}$=흉위(胸圍), $X_{25}$=흉폭(胸幅), $X_{26}$=흉장(胸長), $X_{27}$=흉골장(胸骨長), $X_{31}$=퇴경부(腿脛部) 둘레, $X_{32}$=경골장(頸骨長), $X_{33}$=각장(脚長), $X_{35}$=각경(脚徑)이다. 7) 이상(以上)의 결과를 종합(綜合)하여 볼때 가식육(可食肉)의 비율(比率)은 계종(鷄種)과 주령(週齡)에 따라 현저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고, 이들의 추정(推定)은 좀 복잡(複雜)하지만 체형측정치(體型測定値)들로서도 비교적(比較的) 정확(正確)히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