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육경(六經)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상한론(傷寒論)" 육경지면설(六經地面說)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ix-surface theory in Shang-Han-Lun - Focussed on the Ke-qin's Shang-Han-Lun-Yi -)

  • 이상협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52
    • /
    • 2013
  • Objective : Zhang Zhong-jing's Shang-Han-Lun is based on Six-channels system(六經) to classified a disease, but the notion of this seems to be a very various angles. Among them, Ke-qin(柯琴)'s Six-surface theory(六經地面說) is very clearly explained the notion of Six-channels system(六經) and it provide crucial clue to understanding a Shang-Han-Lun Method : I will try to describe the Six-surface theory(六經地面說) through the Ke-qin's Shang-Han-Lun-Yi(傷寒論翼). At the core of this paper, The diaphragm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to understand a Six-channels system(六經), and it is based on the human body to divided into Yin-Yang(陰陽). Result : Ke-qin's Six-surface theory(六經地面說) is connected with Meridian system(經絡), Viscera and Bowels(臟腑), and their functions. It is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to including those related were grouped into the surface. Conclusion : Six-surface(六經地面) is far beyond the simple concept of Meridian, and it include organization of pathology concepts carrying up to what happens on the human body caused by disease. We can see that Zhong-jing's(仲景) medical treatment from syndrome differentiation(辨證) is associated with a holism(整體觀).

"의학입문(醫學入門).상한편(傷寒篇)"중 "육경(六經)"조(條)의 인용서(引用書)와 내용 비교 (Comparison reference books and details on text of Yukgyeong(六輕) in Uihakyimmun.Sanghanpyeon(醫學入門.傷寒篇))

  • 김경석;조학준;김정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9-85
    • /
    • 2008
  • On the text of Yukgyeong(六經) in "Sanghanpyeon(傷寒篇) in Uihakyimmun(醫學入門)", we got some conclusion like below, and the study was mainly referred to "Hwangjenaegyoungju(黃帝內經注)" written by Wangbing(王氷), "Juhaesanghanron(注解傷寒論)", "Sanghanrye(傷寒例)" by Seongmugi(成無己), "Namyanghwalinseo(南陽活人書)", "Sanghanbaekmun(傷寒百問)" by Jugoeng(朱肱), "Sanghanbaekjeungga(傷寒百證歌)" by Heosukmi(許叔微), and "Injejikji(仁齊直指)" by Yangsayeong(楊士瀛). 'Gyeong(經)' quoted in "Sanghanpyeon(傷寒篇) in Uihakyimmun(醫學入門)" meant not only quoted from "Naegyoung(內經)", but "Sanghanron(傷寒論)" by Jangjunggyeong(張仲景). All the symptoms of Yukgyeong(六經) was sorted on the basis of "Juhaesanghanron(注解傷寒論)", and we can find the symptoms of Soyang(少陽) in the editing of Taeyangbyoung(太陽病), also symptoms of Taeeum(太陰) in Yangmyeongbyoung(陽明病). On the changing order of Yukgyeong(六經), "Jeungjuryujeunghwalinseo(增注類證活人書)" explained it through conflict of five stage, but "Uihakimmun(醫學入門)" interpreted it with proper and inverse condition of main stream of Yukgi(六氣).

  • PDF

박세당의 주희 이해 (Park, Se-dang's understanding of Zhuxi)

  • 허종은
    • 한국철학논집
    • /
    • 제43호
    • /
    • pp.55-80
    • /
    • 2014
  • 박세당의 경학사상에 대한 평가는 '반주자학' 혹은 '탈성리학'적인 요소라는 경우와 그렇지 않다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그렇지 않다는 경우에는 박세당이 주자의 성리학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다는 주장, 박세당의 경학사상은 경학사적인 의미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이 글에서는 박세당의 학문을 주자학 혹은 성리학이라는 틀을 통한 이해보다는 박세당 자신의 관점이 무엇이었으며, 그 관점에서 주자가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박세당은 경문의 새로운 이해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만 주희의 주석을 비판 또는 수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박세당이 "사변록"을 저술하게 된 동기와 그 속에 나타나 있는 그의 경전 해석의 기본 관점을 통하여 그의 주희 이해 방식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박세당은 학문에서 멀고 깊은 것은 가깝고 얕은 것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인간이 도달하기 쉽고, 헤아리거나 얻거나 알기 쉬운 것으로부터 공부를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을 버려두고 멀고 깊은 것을 탐구하게 되면 본령에서 어긋난 공부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것이 박세당의 경전 해석의 기본 관점인 '하학상달'의 방법이다. 박세당은 한당대(漢唐代)의 잘못된 학문 경향을 바로잡은 공로는 바로 정주학(程朱學)이며, 정자(程子) 주자(朱子) 두 선생에 의해 육경(六經)의 뜻이 다시 세상에 밝혀지게 되었다고 극찬하였다. 그리고 박세당은 육경의 이치는 하나지만 그것을 이해하는 길은 여러 가지이므로 주자학(朱子學)도 그 중에 하나라고 인정하였다. 물론 자신의 방법도 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변록"을 짓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견해와 하학상달의 방법론이 박세당 경학의 기본 입장이며, 이 관점에서 박세당은 주희의 경전 주석을 이해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박세당은 경전에 대한 기본 입장과 하학이라는 방법론을 통하여 유교 경전을 새롭게 해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주희의 주석을 비판 혹은 수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상한론(傷寒論)』 육경(六經)과 조문(條文)에 근거한 진단체계(診斷體系)' 명명(命名)에 대한 고찰(考察) 및 제안(提案) (A study on the naming of 'A diagnostic system based on Shanghanlu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s' and suggestion)

  • 김대담
    •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9
    • /
    • 2013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ming of 'A diagnostic system based on Shanghanlun six meridian patterns and provisions'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naming. Methods : 1. The meaning of 'Six meridian(六經)' was reviewed on existing theories and Shanghanlun provisions. 2. Comparing the name of diangostic system with the term in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6(KCD-6)' and term in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was done. Results : 'Six meridian' is customary used in the Shagnhanlun study but its meaning is not match with original Shanghanlun system and could possibly make misunderstanding. So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is suitable than 'Six meridian' for this diagnostic system.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using 'A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based on Shanghanlun provisions.'is more appropriate instead of using the name of the six meridian diagnostic system.

상한(傷寒) 육경(六經)의 성립과 전변에 대한 이설 (Different Theories on Coming into Being and Transmutation of Six-meridian, Cold Damage)

  • 조원준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
    • /
    • 2010
  • They have brought many inconsistencies by making much of Wang Sukhwa's six-meridian-transmutation-theory based on Yeollon, Somun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On this many medical men such like Hwa Ta have raised objections to that or insisted on its repeal. Wang Geungdang and Yang Soi posed the problem of editing tables of contents, Bang Yujip and Ga Geum etc. gave explanations of fields of six-meridian, Un Cheolcho and Jang Gyeongak etc. presented cause and direction of transmutation. And Gilik Dongdong insisted on its repeal. Sanghannon was the theory that was arranged various experiences of acute epidemic diseases. But they didn't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analogous epidemic diseases, regarded as the same things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and this made many inconsistencies. This is the reason why many medical men raised objections to Wang Sukhwa's six-meridian-transmutation-theory.

『동의보감(東醫寶鑑)』의 '형증(形證)' 개념(槪念)에 대한 고찰 - ≪한(寒)≫ <육경형증용약(六經形證用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of 'Physical symptom(形證)' in Dong-uibogam - Focused on Physical symptom & Medication of Six Meridians in the Han(寒) Chapter -)

  • 신상원;정창현;백유상;장우창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01-119
    • /
    • 2014
  • Objectives : In Dong-uibogam, Heo Jun used the concept of 'Physical symptom(形證)' that had not used frequently in practical description of pathological condition. Especially, He used the terminology, 'Physical symptom(形證)' as a title in the Han(寒) Chapter that described Sanghan(傷寒). Methods : It has been done to analyse verses that include the concept of 'Physical symptom(形證)' in Dong-uibogam. And, to find the context including the terminology diachronically. Results : Diachronically, 'physical symptom' and 'pulse sign' had been considered as bilateral factors of disease, and Heo jun cognized the concept of 'Physical symptom' in these means in Dong-uibogam. Conclusions : Introducing the concept of 'Physical symptom' is an important decision of Heo Jun, it can express the purpose of an observation to objective symptoms.

황원어(黃元御)의 육경(六經) 기화학설(氣化學說)에 관한 연구(硏究) (Research on the Six Channel Qi Metabolism Theory of Huangyuanyu)

  • 이상협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9-79
    • /
    • 2022
  • Objectives : Huangyuanyu's interpretation of the six channel diseases of the Shanghanlun were examined based on contents on the six channel qi metabolism theory in his works, Shanghanxuanjie, Shanghanshuoyi, and Sishengxinyuan. Methods : Contents related to the six channel qi metabolism theory in the Shanghanxuanjie, Shanghanshuoyi, and Sishengxinyuan were extracted and examined to identify a fundamental princip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x channel qi metabolism theory.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six channel diseases were organized. Results : Huang's understanding of the six channel diseases in the Shanghanlun could be summarized by the six channel. Its features could be explained as following. First, in examining the principles of the controlling qi[司氣] and constitutionally influenced transformation[從化], the rise and fall of the body's yang qi was emphasized. Second, center qi[中氣] was considered important, the taiyin Spleen being the key to life and death. Third, the pathology of 'earth dampness/water cold/wood stagnation' due to weakness of the center qi was suggested. Fourth, the principle of boosting-yang-suppressing-yin was emphasized in treatment, with criticism of the nurturing-yin-extinguishing-fire method. Conclusions : In understanding the six channel diseases in the Shanghanlun, Huangyuanyu focused on the body's yang qi and center qi based on key theories such as the 'five circuits and six qi' and 'six channel qi metabolism' theories. His perspective c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Zhangzhongjing's work more comprehensively.

원말명초(元末明初) 문학 동향 및 송렴(宋濂) 문학관의 변화 (The change of Song lian's viewpoint of Literature and The Literary trend in the Late Yuan and the Early Ming dynasty)

  • 박경남
    • 동양고전연구
    • /
    • 제62호
    • /
    • pp.67-85
    • /
    • 2016
  • 본고는 원말명초(元末明初) 문학의 전개과정을 검토하면서 명대(明代) 초기 관각문학의 기틀을 다졌던 송렴(宋濂) 문학의 위치를 점검해 보았다. 그는 명대 문학사에서 도학자적 문학관을 견지했던 것으로 단순 요약되고 있지만, 그 과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본고는 문학론과 관련된 송렴의 글을 연대기적으로 분석함을 통해 그가 청 장년기까지도 진한고문(秦漢古文) 등의 고문사(古文辭)에 빠져 오랫동안 헤어 나오지 못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송렴은 삼십 세에 스승 황진(黃?)과의 만남을 계기로 육경에 침잠하며 도학적 문예관을 가지게 되었지만 고문사의 유혹을 완전히 떨쳐버리지는 못했다. 오십 이후 주원장(朱元璋)을 도와 명 건국의 주역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비로소 자신의 경세적 문학관을 실천적으로 확립하였고, 이후 자신의 도학적-경세적 문학관을 이론적으로 정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은 또한 청 장년기 그 자신의 문학 수련의 주요한 대상이자 명초의 가장 중요한 문학적 전범이기도 하였던, "사기" 등의 진한고문을 부정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요약하면, 원말명초의 격동의 시기에 송렴은 개인적, 시대적으로 문학관의 변화를 겪으며, 그 생애 말년에 육경 및 송대의 도학자와 한유(韓愈) 구양수(歐陽脩) 등의 당송고문을 성인(聖人)의 문(文)으로 통하는 치세의 문학으로 재정립함으로써 명대 문학의 이념적 좌표와 새로운 문학적 전범을 제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사변록(思辨錄) 중용(中庸)』 이해(理解)와 학문적(學問的) 특징(特徵) (Academic Characteristic and Understanding of Seo Kye Bak Se-Dang's Sa Byeon Rok The Doctrine of the Mean)

  • 신창호
    • 동양고전연구
    • /
    • 제55호
    • /
    • pp.59-84
    • /
    • 2014
  • 본 연구는 서계 박세당의 "사변록"에 나타난 "중용"을 이해하고 그의 학문 평가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해보려는 시도이다. 기존의 학계에서는 서계의 학문 성격을 반주자학, 탈정주학, 탈성리학, 실학 등으로 구명하였다. 서계의 "중용" 이해는 분명히 주자의 "중용장구"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이다. 하지만 그것은 반주자학, 탈정주학, 탈성리학, 실학이라기보다는 경(經)을 이해하고 독해하는 서계의 학문적 독특성 때문이다. 특히, 육경(六經)을 중심으로 실천적 학문을 펼치려는 철학적 방법의 창의적 돌출로 볼 수 있다. 서계는 중용이 지닌 뜻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정자와 주자가 중용의 해석하면서 드러내는 사유의 불일치를 지적하며, 나름대로 유학의 본래 사유에 부합하는 근원적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그것은 사물과 행위에서 그명칭과 본분, 역할과 기능을 일치하려는 노력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서계에게서 중용은 본성을 따르는데 힘쓰는 것으로 인식되고, 내 마음의 밝은 것을 따라 실천하는 사람의 길로 정돈된다. 이는 객관적으로 사람과 사물의 원리를 설명하는 주자의 사유와는 다른 측면으로, 인간 주체로서의 삶에 역동성을 부여하면서 실천의 기초로서 강력한 실제성과 현실성을 지닌다. 따라서 중용의 실천양식은 실제적인 효를 무게중심에 두고 전개되고, 사람이 그것을 어떻게 실천하느냐에 따라 천도(天道)에도 이룰 수 있다는 인간 주체의 발현으로 나타난다. 요약하면 서계는 중용을 관념적이고 이론적이며 형이상학적 차원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실제적이고 실천적이며 형이하학적 차원에서 규명하였다. 이는 인간을 중심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사람의 길을 고심한 사유의 실천으로 유학의 본질을 탐구한 학문 정신의 전개이다.

당종해(唐宗海)의 육경(六經) 기화학설(氣化學說)에 대한 연구(硏究) - 『상한론천주보정(傷寒論淺注補正)』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ang Zong-hai's Theory of Qi Transformation within the Six Meridians - focussed on 『Shanghanlun Qianzhubuzheng』 -)

  • 이상협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7-90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ang Zong-hai's Qi transformation theory of the Six meridians through his book "Shanghanlun Qianzhubuzheng傷寒論淺注補正" where he integrated Western anatomy with the Qi transformation theory of East Asian Medicine to interpret Zhang Zhong Jing's "Shanghanlun(傷寒論)". The objective is to assist clinical application. Methods : Focusing on the contents of disease of the six meridians in the "傷寒論淺注補正", Tang's theories on the function of Zangfu(臟腑), Opening-Closing-Pivot(關闔樞), Inter-communication of Zangfu(臟腑相通), the Twelve Meridians(十二經脈) from his other publication "中西匯通醫經精義" were examined and related to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Qi transformation theory in detail. Results : 1. The Qi transformation function of the Taiyang meridian is related to "膀胱者, 氣化則能出" where the Small Intestine and Bladder inter-communicate. 2. The Qi transformation function of the Yangming meridian is related to the control of dryness and dampness through the Qi transformation of "陽明不從標本, 從乎中." 3. The Qi transformation function of the Shaoyang meridian is related to the Life-Fire function of the Triple Energizer-Gallbladder-Pericardium coalition through "少陽屬腎." 4. The Qi transformation function of the Taiyang meridian refers to the Heart Fire nurturing the Spleen Earth by creating 膏油 through veins. 5. The Qi transformation function of the Shaoyin meridian is related to the controlling of the Nutrient Qi(營氣) and Defense Qi(衛氣) through '心主血脈, 腎主元氣.' 6. The Qi transformation function of the Jueyin meridian is related to the ability of 和風 which results from '陰盡陽生' to harmonize and control the balance of Water Coldness(水冷) and Fire Heat(火熱). Conclusions : Tang's Qi Transformation Theory of the Six Meridians is his key theory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Qi transformation of disease in the six meridians of "Shanghanlun", closely related to basic theories such as theory of Zang form(臟象學說), Opening-Closing-Pivot(關闔樞), Inter-communication of Zangfu(臟腑相通), the Twelve Meridians(十二經脈) of East Asian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