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효폭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4초

피난계단 출입구 유효너비가 수용인원의 피난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ffective width of the Exit of the Evacuation Stairs on the Evacuation Time of the Occupants)

  • 양성훈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73-79
    • /
    • 2022
  • 연구목적: 건축법에 따라 설치되는 피난계단 출입구의 최소 유효 폭(90cm) 기준이 해당 층을 사용하는 전체 재실자의 피난 시간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피난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출입구 폭의 변화에 따라 재실자의 피난 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피난 시뮬레이션(Pathfinder)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출입구의 유효 폭이 최소기준 90cm보다 커지면 커질수록 피난계단으로의 피난 시간이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더불어 출입구의 너비가 일정 크기 이상 되면 피난 시간은 더는 단축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이는 해당 층 전체 재실자의 수에 따라 피난계단 출입구의 유효 너비를 적정하게 달리 적용할 수 있다는 방증(傍證)이기도 한 것이다. 결론: 앞으로는 재실자의 피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용도별 전체 수용인원을 고려한 피난 계단 출입구 유효 폭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연구 및 실험을 통해 용도별 수용인원에 따른 다양한 출입구 유효 폭 기준이 만들어진다면 재실자의 피난 효율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형상비가 다른 T형벽체의 유효폭 산정을 위한 비선형 FEM 해석 (A Study on Nonlinear FEM Analysis for the Effective Widths of T-shaped Structural Wall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 조남선;하상수;오영훈;이리형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7-74
    • /
    • 2001
  • In domestic, irregular walls such as T, L, H and Box shapes are considered as rectangular wall in the design of bearing wall apartment building. The strengths of walls, therefore, can be underestimated in case of using the current design process. Irregular wa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rigid joint so that part of the load can be resisted by the wall perpendicular to the load direction. This resistance can be caused by the effective width of perpendicular wall. This additional resistance by the perpendicular wall increases the strength of structural wal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 widths of flanged walls with different aspect ratios by using FEM analyses. the results from finite element method are compared with effective flange widths of some code provisions.

  • PDF

벽체의 유효폭을 고려한 이형벽체의 경제성 분석 (An Economic Analysis of Irregular Wall Design Considering Effective Width)

  • 한경수;방중석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3-84
    • /
    • 2014
  • The whole wall system behaves as one section because single walls composing irregular wal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though stress of a single wall is affected to the connected wall under lateral load, the stress is not transferred to whole sections and is concentrated on particular part of the wall as well. Therefore these walls can be divided into the effective and ineffective s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design result of irregular wall using codes and previous studies on an effective width of the wall and to analyze reduction of the longitudinal bar of irregular wall.

  • PDF

철골-콘크리트 합성기둥의 후좌굴 거동에 관한 해석 연구 (Finite Element Post-buckling Analysis of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

  • 오명호;김명한;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25-735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두께가 얇은 강판을 가진 철골-콘크리트 합성기둥에서 강판의 국부 좌굴 강도 및 국부 좌굴 후 강도에 대한 해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콘크리트 충전에 의하여 합성기둥에서 판의 국부 좌굴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경계 조건을 조정하여 해석에 반영하였고, 탄성 좌굴 해석을 통해 한계 폭-두께비를 제안하였다. 또한 초기 처짐 및 잔류 응력을 해석에 반영하여, 다양한 폭-두께비에 해당하는 평판의 비선형 유한 요소 해석을 통해 초기 국부 좌굴 강도 및 좌굴 후 강도를 산정하였다. 이러한 비선형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판의 유효 폭을 산정하였고, 유효 폭을 이용한 철골-콘크리트 합성기둥의 최대 압축 내력식을 제안하였다. 제안식에 의한 계산된 값과 기존의 실험결과를 비교함으로서 제안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스틸스터드의 압축내력 평가 (An Evaluation of Axial Compressive Strength in Steel Stud)

  • 신태송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통권37호
    • /
    • pp.677-689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중심압축력을 받는 스털스터드의 설계강도에 대하여 다루었으며 비교 평가하였다. 미국규준인 냉간성형 LRFD 설계규준 (AISI). 유럽의 냉간박벽부재설계규준 (EC3 part 1.3) 및 독일의 관련규정 (DASt-Richtlinie 016)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소개하고 분석하며 체계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유효폭과 전체 안정성문제 (휨좌굴과 비틀림좌굴)가 이 논문에서 내포되어 있다. 또한 예제를 통하여 두 규준인 AISI와 EC3에 의한 설계압축강도를 산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복합적층 박스거더의 유효폭 산정을 위한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Effective Width Evaluation of Laminated Composite Box Girder)

  • 천경식;지효선;박원태
    •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26-31
    • /
    • 2015
  • The domestic and foreign specifications presented the effective width based on flange length to width ratio only. The existing paper on the effective width grasped of the effect of span, load type and cross-section properties, but localized steel bridges. Recently, The studies are going on in progress for the application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in construction fiel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optimum design that have a good grasp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 of the displacements and stresses distribution and predict variation of the effective width for serviceability loading. This research addresses the effective width of all composite material box girder bridges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 width of composite structures may vary according to several causes, e.g., change of fibers, aspect, etc. Parametric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 width on the stress elastic analysis of all composite materials box bridges, with interesting observations. The various results through numerical analysis will present an important document for construct all composite material bridges.

InGaAsP/InP RWG MQW-LD의 최적 설계 (The optimum design of InGaAsP/InP RWG MQW-LD)

  • 하홍춘;오수환;이석정;박윤호;오종환;홍창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75-385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InGaAsP/InP RWG MQW-LD를 제작하기 앞서 이론해석으로부터 RWG MQW-LD의 도파로규격에 따른 측방향 유효굴절율차와 index-guided LD로 동작하는 임계 유효굴절율차의 값, 그리고 이러한 굴절율차에 따른 측방향에서의 단일모드 발진조건과 임계전류를 최소로 하기 위한 ridge 폭을 구하여 도파로를 설계하였다. 이론해석으로 부터는 순수한 index-guided LD로 동작하기 위한 측방향 임계 유효굴절율차 값은 일반적인 bulk층 보다는 약 2배 정도 큰 값인 약 0.015이었으며 도파로 설계에 있어서는 유효굴절율차가 0.015이며 측방향단일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ridge 폭은 약 4.mu.m이하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때 임계전류값이 최소가 됨을 지적하였다.

  • PDF

기둥으로 지지된 슬래브교(橋)의 모멘트 산정(算定)에 관한 연구(硏究) (Simplified Bending Moment Analysis in Slab Bridges supported by Column Type Piers)

  • 김영인;이채규;김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7-24
    • /
    • 1992
  • 철근(鐵筋)콘크리트 슬래브교(橋) 설계시(設計時) 교각(橋脚)을 T형 및 ${\Pi}$형식으로 취하는 것보다 기둥만으로 슬래브를 직접 지지(支持)하도록 함으로써 유효공간(有效空間) 확보 뿐만 아니라 슬래브 자체(自體)의 내하력(耐荷力)을 이용함으로써 구조적(構造的)인 효율측면(效率側面)에도 유리하다. 그러나 기둥으로 지지된 슬래브교의 설계를 위한 휨모멘트계산은 아직 체계화(體系化)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중간지지점(中間支持點)의 종방향(縱方向) 최대휨모멘트를 유효폭개념(有效幅槪念)을 적용하여 가상지간(假像支間)을 이용한 단순보해석으로 간단히 구할 수 있는 방법(方法)에 대하여 연구하고 유효폭을 수식화(數式化)하였다. 주요변수(主要變數)는 지간(支間), 교폭(橋幅), 슬래브 두께 및 기둥단면(斷面)으로 하고 유한요소법(有限要素法)을 이용하여 단면력(斷面力)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 PDF

해수침입 저감을 위한 반투수성 지하 차단벽 효과의 수치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n Effect of Semi-permeable Subsurface Barrier to Mitigate Seawater Intrusion)

  • 정우창;윤희재;배재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509-509
    • /
    • 2023
  • 해수침입은 해안지역에서 각종 용수공급 특히 생활용수의 원활하고 지속적인 공급을 저해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 침입의 정도를 저감하기 위해 수리학적 및 물리학적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불투성의 지하 차단벽이 가장 효과적으로 해수침입을 저감시키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경우 해수위 변동에 따른 해수와 담수의 원활한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차단벽 좌우 양측 하단부에 장시간에 걸쳐 오염물질 퇴적 및 염분의 축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된 해안대수층 양끝단에 설치된 담수 저류조와 염수 저류조 사이의 수심차 변화에 따른 염수침입의 거동에 대해 모의 및 분석을 수행한 후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높이를 변화시키면서 염수침입의 차단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불투수성 지하 차단벽에 대한 모의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반투수성 지하 차단벽의 유효폭 및 투수계수 변화에 따른 염수침입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