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효열전도율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8초

수평 실린더에서의 서리 생성에 대한 환경 변수들의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Frost Formation on a Horizontal Cylinder)

  • 이윤빈;류인상;노승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6권2호
    • /
    • pp.253-260
    • /
    • 2002
  • It is known that frost formation on surfaces of the heat exchanger serious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ion system. Accordingly, defrosting should follow, and effective defrosting is possible only when both analytic tools and comprehensive experimental data on frost formation are assailabl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characteriz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frost formation on a horizontal cylinder in cross uniform flow. Sever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various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inlet air temperature, inlet air humidity, air velocity and cooling surface temperature. Frost thickness, mass, surface temperature and cylinder inner and outer temperature were measured at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cylinder. Thickness, mass, density,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rost layer were obtained from measured data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on the frost formation were analyzed. Data from experiments were correlated using dimensionless variables.

폼 구조의 유효 기계적 물성 및 열전도율 예측을 위한 균질화 데이터 기반 전이학습 프레임워크의 개발 (Development of Homogenization Data-based Transfer Learning Framework to Predict Effectiv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Conductivity of Foam Structures)

  • 이원주;김수한;심현종;이주호;안병혁;김유정;정상융;신현성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205-21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폼 구조의 효율적인 유효 기계적 물성 및 열전도율 예측을 위한 균질화 데이터 기반 전이학습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Eshelby 텐서 기반의 평균장 균질화(Mean-field homogenization, MFH)는 타원체 형태의 공동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조의 물성을 효율적으로 예측할 수 있지만, 셀룰러(cellular) 폼 구조의 물성은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 한편, 유한요소 균질화(Finite element homogenization, FEH)는 정확성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해석 시간을 동반한다. 본 논문에서는 평균장 균질화와 유한요소 균질화의 장점을 결합한 데이터 기반 전이학습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대량의 평균장 균질화 데이터를 도출하여 사전학습 모델(Pre-trained model)을 구축하고, 상대적으로 소량의 유한요소 균질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세 조정(Fine-tuning) 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검증하기 위한 수치 예제를 수행하였으며, 해석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폼 구조를 가진 재료의 해석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직교유동 내에 놓인 수평 실린더에서 서리 생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frost forming on the horizontal cylinder under cross flow)

  • 이윤빈;노승탁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448-456
    • /
    • 1999
  • Variations of thickness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frost forming on the horizontal] cylinder with respect to time were measured under cross flow. The local heat flux around the cylinder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adi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cylinder having small holes drilled axially in which T-type thermocouples were inserted, then by using one dimensional cylindrical heat conduction equation. The thickness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rost layer around the cylinder were measured periodically while developing the frost. Each experiment was peformed by varying the Reynolds number,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condition. Specially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most cases was below the freezing point. Experimental data showed that the frost layers on the front and the rear surface were thicker than those on the top and the bottom one which was near the separation point. The thickness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frost layer were affected by inlet air velocity, temperature, and humidity. Moreover,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effective thermal resistance increase with respect to time.

  • PDF

저회 되메움재의 열저항 특성 (Thermal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the Backfill Material with Bottom Ash)

  • 정혁상;조삼덕;김주형;박종식;공진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5-12
    • /
    • 2016
  • 본 논문은 화력발전소 부산물인 저회를 뒤채움재로 활용하고자 열저항 특성에 대한 연구내용을 다루었다. 석탄회의 일종인 저회는 공학적 특성이 모래와 유사하여 모래 대체재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열적 특성을 무시한 무분별한 적용은 오히려 기존 구조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회의 열전도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내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뒤채움재로 활용될 수 있는 현장유용토, 성토재료, 모래 등과 열저항 특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재료들의 열저항 특성이 함수비에 따라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고 저회가 뒤채움재로 유효 활용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금속박판 접합용 고분자화합물시트를 이용한 박형 히트파이프 내압성 및 유효열전도율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ressure Resistance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Thin Heat Pipes Using Polymer Compound Sheets for Bonding Metal Thin Plates)

  • 유병석;김정훈;김동규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4_2호
    • /
    • pp.509-515
    • /
    • 2021
  • In this study, a pressure vessel for a heat pipe was fabricated by bonding a metal thin film using a polymer compound sheet. In order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experimentally manufactured copper material thin heat pipe of 0.6 mm or less, the pressure resistance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for pressu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orking fluid of the heat pipe were evaluated to suggest the commercialization potential of the thin heat pip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ressure resistance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performance of the thin heat pip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Using a PEEK-based polymer compound sheet, it was possible to fabricate a pressure vessel for a thin heat pipe with a pressure resistance of up to 1.0 MPa by bonding a copper thin film, an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was confirmed at a temperature below 120 ℃. 2) In the case of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performance evaluation test,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ethanol was higher than that of FC72 and Novec7000, and in the case of ethanol, the maximum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was 2,851 W/mK at 3.0 W of heating.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PMMA 복합필름의 방열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PMMA Composite Films with Phase Change Material)

  • 권준혁;윤범용;조승현;;김형익;김동현;박경의;서종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5호
    • /
    • pp.288-29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기 사용에 이슈가 되고 있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변화물질(PCM)의 잠열 특성을 이용하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복합필름을 제조하고 방열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용융온도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상변화물질을 사용하여 제작한 PCM/PMMA 복합필름의 열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다양한 사용조건에 따른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Compression Molding 방법과 PCM Paste Sealing 방법에 따른 PCM/PMMA 복합필름의 방열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최대의 방열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PCM/PMMA 복합필름의 방열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높은 흑연과 그래핀을 추가로 적층하여 제조한 Hybrid 복합필름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들을 통해 향상된 방열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방열 성능이 우수한 복합필름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활용되어 발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량골재와 기포제 종류에 따른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A Phys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Lightweight Aggregate Types and Foaming agent Types)

  • 김하석;이세현;선정수;김진만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35-444
    • /
    • 2016
  • 층간소음의 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되고 있는 현재 층간소음 저감 방법으로 뜬바닥 구조에 적용되는 차음재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경량충격음에는 효과적이나 중량 충격음을 저감하기에는 재료 및 기술적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해서는 슬래브의 중량을 증가시켜 충격에 대해 바닥은 진동하기 어렵게 하여 충격에 의한 발생음을 저감시키거나, 슬래브의 강성을 높여 충격점의 유효 질량을 높여 중량충격음을 저감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량 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고중량, 고강성 기포콘크리트 제조함으로서 바닥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기포제 종류 및 혼입량과 경량골재 종류 및 투입량과 관계없이 유동성은 190 mm이상으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밀도 및 압축강도 측정 결과 기포콘크리트의 경우 기포 혼입율 50%에서만, 경량골재 기포콘크리트의 경우 모든 배합에서 목표 밀도 및 압축강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전도율 측정 결과 기포콘크리트의 경우 VS50을 제외하고는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량골재 기포콘크리트의 경우 Type A 골재의 경우 대체율 25%, Type B의 경우 모든 배합에서 목표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