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화제

검색결과 617건 처리시간 0.029초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Blue Light Blocking in Sunscreen)

  • 박수진;곽병문;이미기;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83-390
    • /
    • 2020
  • 블루라이트는 380 ~ 450 nm 사이의 파장에 존재하는 파란색 계열의 빛으로 활성산소를 유발하여 노화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에 따라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제품에서 오일의 극성도, 제형의 점도, 유화제의 종류, 유화입자, 무기자외선 차단제 등이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유기자외선차단제의 극성과 유사해질수록 블루라이트 차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제형의 점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나타냈다. 유화제의 종류 및 유화 입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였고, 무기자외선 차단제 함유 여부가 블루라이트 차단율에 큰 영향을 주는 인자 중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블루라이트 차단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앞으로 블루라이트 차단 제품 개발 및 제형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CD-RSM을 이용한 알팔파 추출물인 천연계면활성제가 포함된 O/W 유화액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W Emulsion with Natural Surfactant Extracted from Medicago sativa L. using CCD-RSM)

  • 홍세흠;호우지아천;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4권2호
    • /
    • pp.137-14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로부터 추출한 천연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중심합성설계모델(CCD-RSM)을 이용한 O/W 유화제조 공정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95% 신뢰구간에서 최적화 결과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CCD-RSM을 통하여 독립변수인 알팔파 추출물:Sugar ester S-370의 혼합비율(P), 계면활성제의 첨가량(W) 및 유화속도(R)가 반응치인 유화안정도지수(ESI), 평균입자크기(MDS) 및 점도(V)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O/W 유화제조공정의 최적조건을 산출하였다. 유화안정도지수, 평균입자크기 및 점도에 관한 회귀방정식으로부터 다중반응을 수행하여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유화조건으로 알팔파 추출물:Sugar ester S-370의 혼합비율은 49.5 wt%, 계면활성제의 첨가량 9.1 wt%, 유화속도 6559.5 rpm으로 나타났으며 산출된 반응치의 응답값은 ESI는 89.9%, MDS는 1058.4 nm, V는 1522.5 cP로 산출되었다. 이를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ESI는 88.7%, MDS는 1026.4 nm, V는 1486.5 cP이었으며 평균 오차율은 2.3 (± 0.4)%이었다. 따라서 CCD-RSM을 실제 유화 제조에 적용하여 만족스러운 O/W 유화제조 공정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마요네즈 제조시에 난황 사용량에 따른 유화 안정성의 비교 (A Comparison of Emulsion Stability as Affected by Egg Yolk Ratio in Mayonnaise Preparation)

  • 차가성;김재욱;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5-230
    • /
    • 1988
  • 난황의 사용량을 각각 2%, 3.5%, 5%, 6.5%, 8%, 9.5%로 변화시켜 시험 제조한 마요네즈에 대하여 동결법 및 진동 원심법에 의해 유화 안정성을 비교하였고, 점도 및 입경을 측정하였다. 난황 함량이 많을수록 기름 입자의 크기가 작고, 점도가 높았으며, 유화 안정성이 좋았다. 동결에 대한 안정성은 난황 6.5% 이하에서 급격히 떨어졌으며. 진동에 대한 안정성은 난황 2%, 3.5%의 경우 매우 나빴으나, 난황 5% 이상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정하였다. 마요네즈의 점도는 $-10^{\circ}C$ 보존의 초기 24시간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10^{\circ}C$ 보존 중의 입경은 난황 6.5% 이하의 경우 계속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난황 8%, 9.5%의 경우에는 분리에 이르기 전까지 비교적 변화가 적었다. 마요네즈의 유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조의 기본 배합에 있어서 유화제인 난황을 6.5% 이상 사용하는 것 이 적절 하다고 판단되 었다.

  • PDF

간암세포주 Huh7에서 Hepatitis B virus X protein에 의한 간섬유화 (The hepatitis B virus X protein induced fibrosis in Huh7 cells)

  • 손모아;박상규;조문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1호
    • /
    • pp.25-29
    • /
    • 2016
  • B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의 원인이 되는 간섬유화를 유발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그와 관련한 자세한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기에 본 연구에서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B형 간염 바이러스에서 발현되는 HBx 단백질에 의해 vimentin, fibronectin, slug, snail, NOX4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NOX4에 의한 활성산소가 snail, slug 발현을 유도하고 섬유화 과정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NOX4의 발현을 유도하는 HBx가 간섬유화를 조절,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막유화법을 이용한 대구경 폴리쿠타디엔 라텍스의 제조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of the Large Size Polybutadiene Latexes by Membrane Emulsification Process)

  • 이해준;김중현
    • 멤브레인
    • /
    • 제6권3호
    • /
    • pp.166-172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원하는 입자크기가 폴리부타디엔 라텍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공정조절이 쉽고 균일한 입자를 얻을 수 있는 막유화법을 이용하였으며, 유화제의 종류와 양, 첨가제의 양, 압력 등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제조된 라텍스의 입자크기와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homogenizer를 이용한 직접유화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막투과 모델을 고찰하기 위하여 Harkins-Brown 식에 의해 이론적인 drop의 크기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물대비 0.2 wt% 이상의 유화제 함량에서 안정한 라텍스를 얻을 수 있었고, 입자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인자는 막표면의 기공 크기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화장품에서 무기분말에 의한 방부제의 효능저하 (Inactivation of the Preservative in Cosmetic by the Addition of Inorganic Powder)

  • 정광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0
    • /
    • 1985
  • Polyoxyethylene계 유화제를 이용한 유화계에 있어서 talc 및 $TiO_2$에 의한 methyl p-hydroxy benzoate의 흡착과 그에 따른 방부력 감소를 여러 가지 분석방법과 미생물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 유화계에 있어서 methyl p-hydroxy benzoate는 talc 및 $TiO_2$에 흡착되어 방부력이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방부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은 $TiO_2$보다 talc가 더 크고, talc에 의한 methyl p-hydroxy benzoate의 흡착량은 $20^{\circ}C$에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즉 $a=11.511C^{0.747}$

  • PDF

인지질-비이온계면활성제 혼합물로 형성된 나노에멀젼과 이의 안정성 (Nano-emulsion Formed with Phospholipid-Nonionic Surfactant Mixtures and its Stability)

  • 조완구;김은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21-2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인지질-비이온계면활성제의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를 조성상전이 유화법으로 O/W 타입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혼합 계면활성제와 오일의 농도 비가 1 : 1 정도의 매우 좁은 영역에서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다. 비이온계면활성제로만 제조된 나노에멀젼과는 달리 전상점 이후에 수용액상을 첨가함에 따라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감소하였다. 제조된 나노에멀젼은 실온에서 한 달 이상 안정하였다. 인지질을 함유하고 저에너지 유화법으로 제조된 나노에멀젼 제형은 화장품의 기재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수용성 단백질의 계면상 등온곡선의 모델과 실험적 규명 (Model and Experimental Isotherms of Soluble Proteins at Water Surfaces)

  • Sung Hyun Kwon;Daechul Cho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30-235
    • /
    • 2003
  • 수용성, 구형의 단백질 분자는 기능성(효소, 유화제, 중화제 등)에 따라 센서나 유사생체기관에 응용성이 크다. 본 연구는 물-공기 계면에서 형성되는 단백질의 표면상태방정식(일명 표면등온선)을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그 결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단백질 분자의 기능적 이용에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아미노산 부분사슬간, 분자와 물과의 인력, 정전기적 인력을 고려하여 종합적 상태방정식을 도출하였으며 탄소 14로 tagging한 albumin실험과 비교하여 상당히 일치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유탕 과자 모델에서 결합형 3-monochloropropane-1,2-diol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bound 3-monochloropropane-1,2-diol in a fried snack model)

  • 강준혁;정우영;노회진;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565-57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탕 과자 모델에서 4가지 요인(유화제 종류, 유탕 온도, 소금 함량, 유지 함량)이 결합형 3-MCPD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3-MCPD 분석법 검증을 위해 검출한계, 정량한계, 직선성, 정밀성 및 정확성을 구하였고, 분석 시 흡착 컬럼으로 사용한 aluminum oxide와 Extrelut® NT-3 컬럼을 비교하였다. Aluminum oxide에 비해 Extrelut® NT-3 컬럼으로 추출하였을 때 피크 면적이 약 5배 더 높아, 흡착 컬럼으로 Extrelut® NT-3를 사용하는 방법이 3-MCPD 분석에 더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직선성은 3-MCPD 표준용액 검량선의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의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다. 기기의 검출한계는 0.86 ng/mL, 정량 한계는 2.61 ng/mL이었다. 분석법의 정밀성 및 정확성은 과자 반죽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3-MCPD 분석법의 일내 정확성은 81.3-94.0%, 일간 정확성은 82.1-89.0% 수준이었으며, 결합형 3-MCPD 분석법의 일내 정확성은 84.1-99.3%, 일간 정확성은 87.7-91.1% 수준이었다. 3-MCPD 분석법의 일내 정밀성은 1.5-7.8% RSD, 일간 정밀성은 1.1-5.6% RSD 수준이었으며, 결합형 3-MCPD 분석법의 일내 정밀성은 2.8-8.9% RSD, 일간 정밀성은 5.0-6.8% RSD 수준이었다. 유탕 과자 모델에서 유화제 종류는 결합형 3-MCPD 생성에 영향을 주어 유화제 6종 중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첨가한 시료에서 가장 많은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다. 유탕 온도에 따른 결합형 3-MCPD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형 3-MCPD의 함량도 증가하였다. 190℃로 가열하였을때 145℃에 비해 결합형 3-MCPD 함량은 약 24배 높았다. 소금 함량 또한 결합형 3-MCPD 생성에 영향을 주어 소금 함량에 비례하여 결합형 3-MCPD의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지 함량에 따른 결합형 3-MCPD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유지 함량이 증가하여도 결합형 3-MCPD의 생성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탕 과자에서 유화제 종류, 유탕 온도와 소금 함량이 결합형 3-MCPD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WPI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y Protein Isolate)

  • 안명수;김찬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0-54
    • /
    • 2007
  • 단백질을 식품의 원료로서 여러 가지 식품에 응용하려고 할때 제일 먼저 문제되는 것이 영양가이지만 동시에 물리화학적 특성도 식품 원료로서의 적합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런 면에서 유청(cheese whey)의 성분에서 단백질 함량을 90% 이상으로 농축 분리시킨 whey protein isolate(WPI)는 단백질 보충제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가공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WPI의 아미노산 함량, 용해성, 유화성, 기포성을 조사하여 식품의 기능성 원료 및 대체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WPI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89.5%였고 그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44.6%를 차지하였다. 필수 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 isoleucine, valine 등의 BCAA(branched chain amino acid) 함량이 높았다. pH에 따른 WPI의 용해성은 82-88%의 범위로 pH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유화용량은 302.7mL/g으로 난황의 187.0mL/g보다 높았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화액의 이장량으로 측정한 유화안정성도 65-97%로 나타나 난황의 60-89%보다 안정함을 보였다. 기포형성력은 323.3%로 난백의 186.6%보다 약 2배 정도 높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남은 기포의 부피로 측정한 기포안정성은 85.9-97.7%로 난백의 84.8-95.3%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WPI는 우수한 단백질 보충제로서 뿐만 아니라 용해성, 기포성, 유화성도 우수하게 나타났으므로 각종 가공식품의 품질향상에 영향을 주는 기능성 원료 및 대체물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