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형별 평면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8초

원룸 평면 구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사례조사 기반의 10개 평면 유형을 중심으로 (Autonomic Responses Related to the Floor Plan Configurations of One-room Units: Focus on 10 Types of Floor Plan Configurations)

  • 명지연;김규범;전한종
    • 감성과학
    • /
    • 제22권2호
    • /
    • pp.101-10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심전도를 활용하여 원룸형 평면 계획 구성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생리 신호는 대부분 제한된 건축요소에 대해 개별적으로 측정되었고, 이 결과들은 실제의 전체 원룸공간에서 측정된 데이터와는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보다 동적인 환경에서 인간의 감성을 추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무작위로 수집 된 43 개의 원룸은 욕실과 주방의 위치에 따라 10 가지 유형의 평면 구성으로 분류되었다. 그 다음 건강한 10명의 피험자로부터 평면 구성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측정하였고, 쾌적성 및 선호도에 대한 주관 평가가 시행되었다. 결과적으로 평면 구성 따른 유형별 LF/HF의 평균 비율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본 연구 결과는 평면의 구성이 원룸의 공간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며, 이 접근법이 일인가구의 정신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효과적임을 제시한다. 앞으로 피험자수를 늘려 보다 정확한 통계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서울지역 집합주거단지의 변모에 따른 평면형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ransition of plan-type by Transfiguration of Housing Complexes in Seoul Area)

  • 전병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6-57
    • /
    • 2007
  • 본 연구는 현대 집합주택의 개발의 실험적 토대가 되었던 1960년대 이후 1990년대 초반까지의 서울지역 아파트단지들을 중심으로 단지의 측면과 단위평면의 측면에서 시대적 변천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집합주거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인식하고, 국내 집합주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의 한 준거를 제시토록 한다. 이를 위하여 집합주거의 생성과 현황에 대하여 일반적인 고찰을 진행하여, 국내 주거양식이 점차로 고층, 고밀화되어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주거양식의 집합화가 점차로 정책적인 차원에서 더욱 고려되어지고 있음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틀 속에서 고찰해 본다. 이와 함께 집합화되는 주거양식이 단위평면속에서는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규모와 제실구성, 설비 및 구조방식, 내부공간 구성방식등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현존하는 간이역의 평면 및 입면 유형별 특징에 관한 연구 -중앙선, 동해남부선 및 경전선을 중심으로- (A Characteristics of Plan and Elevation Types of Existing Way Stations 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 권순오;손한울;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11
  • This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lan and elevation types of existing way stations 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focused on Choong-ang, Donghae-nambu, and Kyung-jeon line of the railroad tracklines. The plans and elevations are drawn up and analyzed based on literature data and aerial photographs through the survey. These way station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by room layout and front elevation. The basic plan types are composed of waiting room, station service room, and administration. The station service room has a train operation room in the projecting part of corner. This room has windows on every side to see in and out of train. There are the enlarged, extended waiting room types, and linear types in the other plan types. The waiting room is lied on the right side, and has a gable roof in elevation. The elevation types are classified with side and centralized, and so on by the placement and shape of gable roofs. The basic elevation types have gable roofs in sides lied on the waiting room, and these types are transformed into centralized types by extension of waiting room The others are the linear types without gable roofs and the unusual roof types in appearance.

실내조경 도입을 위한 거주자의 평면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s Preference of the plan introducing Interior Landscape)

  • 조성우;이찬희;오세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114
    • /
    • 2005
  • This study begins to make inquires about user's opinion of introducing Interior Landscape into Apartment Housing to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Interior Landscape and suggest th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it. The city-ward drifting of population drawn from industrial development and aggravation of living condition bring about exclusion of nature and lack of green space. Furthermore, it increases the length of stay of urban liver in indoor space. Thus, dweller's desire to Interior Landscape increase but housing can't follow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Landscape, derive essential factors, study plans, establish radical data, and suggest better plans including Interior Landscape through making inquires about user's opinion.

  • PDF

엘리트 골프 선수의 드라이버 스윙 시 스윙 평면 분석 (The Analysis of Swing Plane of Elite Golfers During Drive Swing)

  • 임영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9-6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엘리트 골프선수들을 대상으로 3차원 스윙 평면 분석(swing plane analysis)을 통해 스윙 평면의 편평도를 확인하여 이들 스윙이 어떤 유형의 스윙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또한 편평도를 이용한 스윙평면 분석 이외에 또 다른 운동학적 변인을 이용한 스윙 평면 분류가 가능한지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편평도와 핸디캡간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단일 및 다중 평면 스윙 그룹간의 편평도 비교를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두 스윙 그룹을 구분하는 대표적인 특징인 백스윙 및 팔로우드로우에서의 스윙 궤도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두 스윙 그룹 간 event 별 편평도 비교에서 그 유의한 차이를 확인함으로서 본 연구에서 정의한 오차범위 10cm는 두 스윙 스타일을 구분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편평도를 이용한 스윙평면 분석 이외에 운동학적 변인인 두 스윙 그룹 간 샤프트 단위벡터 비교와 샤프트 원위점 변위 비교를 event 별로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전체적인 변인들의 이동패턴을 살펴 볼 때 각각의 스윙 그룹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스윙 스타일을 판단하는 간접적인 지표가 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제주도 읍·면지역 고등학교의 평면구성에 따른 영역별 특성 및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ea Characteristics and Layout Types of the Floor Plan of High School Facilities in Eup and Myeon Districts of Jeju Island)

  • 변정현;박철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7-44
    • /
    • 2019
  •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students in Eup and Myeon districts is very severe. This issue leads to the problem with educational programs of school and an academic achievement ga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reas and layout types of the floor plan of high school facilities in Eup and Myeon districts of Jeju Island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reduces and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for establishing school environments. The floor plan of school facilities was categorized into learning, support, common, and other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necessary to make spatial and facility improvements in common area and support area. The layout type of each area was classified into centralized type, distributed type, and mixed type, and then each 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main building had low points of the floor plan for learning area and common area. In order to respond to the number of student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reasonable spatial plan criteria and guidelines under the supervision of Office of Education and furthermore to make an effort to create futuristic educational facilities.

지체와 사고를 고려한 평면교차로 적용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Standard of At-grade Intersection Considering Both Delay and Accident)

  • 박제진;정형모;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D호
    • /
    • pp.295-306
    • /
    • 2008
  • 교차로란 2개 이상의 도로가 교차 접속되는 공간 및 그 내부의 교통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교차로의 기하구조 운영방법 등에 따라 운전자가 경로를 선정하는 의사결정 지점이다. 운전자에게 의사결정을 요구하는 것은 그들에게 부담을 주어 사고 발생확률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의사결정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상충수를 현저하게 줄여주는 교차로의 형태로 회전형교차로(Roundabout)가 유럽 등에서는 성공적으로 많은 지점에서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도입기에 있으며 도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Roundabout을 적용하는데 있어 정량적인 기준이 없이 무차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 평면교차로 유형적용의 우선순위를 위해 교통소통(지체)과 교통안전(사고)을 동시에 고려하여 교차로의 유형을 평가 결정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통사고는 기존의 신호교차로, 비신호교차로, Roundabout의 사고예측모형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회전교통량에 따라 사고건수를 예측하여 각 교차로별로 그 건수를 제시하였다. 둘째, 지체는 TSIS-NETSI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교차로별, 회전교통량별로 구분하여 이를 계산 분석하였다. 셋째, 앞서 예측된 교통사고와 지체도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비용, 지체비용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호교차로, 비신호교차로, Roundabout의 회전교통량별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가장 적정한 교차로 유형을 결정하였다.

4지 회전교차로와 5지 회전교차로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Four-Legged Roundabout and Five-Legged Roundabout)

  • 김동녕;최대규;박순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209-215
    • /
    • 2011
  • 회전교차로는 교차로 중앙에 원형 교통섬을 두고, 교차로를 통과하는 자동차가 이 원형 교통섬을 우회하도록 하는 평면교차로의 일종이다. 국내에서는 국토해양부에서 회전교차로 설계지침을 2004년 잠정발표 하였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교통여건이 검토되지 않은 외국의 사례를 검토 소개한 것이다. 또한, 최근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해 녹색성장의 일환으로 회전교차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기존 회전교차로 잠정지침에서는 회전교차로의 용량 및 설치 여건, 그리고 계획절차 등에 관해 기술하고 있으나, 유형별 설계요소가 개략적이고 명확하지 않아 회전교차로 설계 적용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설치된 많은 유형중 접근로의 모든각이 90도인 4지 회전교차로와 72도, 45도, 30도로 한군데에서 교차하는 5지 회전교차로에 대해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로 회전교차로에서 내접원 직경이 커질수록 평균통행 시간이 감소하며, 5지 회전교차로의 모든 교차각에서는 시간당 교통량이 2,000대까지는 90도로 교차하는 4지 회전교차로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물 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공법 수요창출 방안 수립 (A Study on the Strategy for Creating Demand of Modular Construction through Case Analysis by Building Type)

  • 김동수;김경래;차희성;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64-174
    • /
    • 2013
  • 우리나라의 모듈러 공법은 컨테이너하우스나 경량스틸 하우스로만 인식되고 있어, 수요창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실제로 모듈러빌딩 활성화에 가장 큰 장애요인은 안정된 수요에 근거한 지속적인 공장 생산이 거의 어렵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모듈러 공법의 대표적인 미국과 영국의 모듈러 기업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건물 유형별로 모듈러 공법의 성공요인을 우선적으로 도출하였다. 10개의 건물유형과 9개의 성공요인으로 정리하여 조사한 결과, 주거시설은 공기단축, 설계성능, 경제성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교육시설의 경우에는 공기단축, 친환경성, 경제성, 융통성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시설은 공기단축, 융통성, 경제성, 친환경성이 주요 성공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성공요인들이 확보될 경우 우리나라에서도 모듈러 공법의 성공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된다. 주거시설의 겨우 표준화된 모듈 설계안의 반복적인 활용을 통하여, 성공요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교육시설의 경우, 단모듈-장모듈의 타입화된 모듈의 설계안을, 병원시설의 경우 증축기술의 개발을 통한 성공요인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듈러공법의 수요창출 방안을 적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시장의 규모는 주거시설의 경우, 연간 약 12,000호 규모의 시장이 형성 가능하며 기숙사의 경우, 2012년 1,515억 원 정도의 시장규모를 볼 때, 모듈러 공법의 시장 확보가 충분히 가능하다. 교육시설의 경우, 주거시설보다 평면의 반복정도가 더 높기 때문에 충분한 시장형성이 가능하다. 병원시설의 증축시장은 2012년 1,045억 원 정도의 규모로 모듈러 공법이 적용된 사례가 전무하지만 앞으로의 진출 가능성은 충분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건물 유형별 수요창출 방안은 발주자가 공법을 선정할 때, 건물 유형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조언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잠재적 시장을 파악한 결과 충분한 시장 규모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설계 및 제조업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안을 사업전략으로 활용함으로써 전략적으로 건물 유형에 맞는 사업 방향을 설정하여 지속적인 수요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동주택 평형별 단위 평면 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1999년 이후 분양되어 2001년 이후 입주하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nit Plan Composition according to Sizes in Public Housing - Focusing on the Residential Apartments built after 1999 and occupied from 2001 -)

  • 최은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8호
    • /
    • pp.134-142
    • /
    • 2003
  • The residential apartments have become a choice of a popular housing space since the first establishment of Mapo apartment in 1962. Therefore, the residential market experienced a bloom where residential apartments were sold as they were built simultaneously. However, this phenomenon was turned around and unsold lots appeared after the period of IMF and as the construction companies put out more various apartments by differing the characters and the strategies in building apartments. As a result, the leadership of residential market moved from the suppliers to consumers, in consequence, the wants of the consumers became more demanding. The consumer can freely control the number of rooms with a variable wall system or a bigger sized apartment with two entrances to the living room as well as having a bathroom with a master bedroom in a small-sized apartment. Many conceptual trials like this were taken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give a change to the unit plan of the public housing. From these changes, one can observe a general trend that is taking place in current residential housing. Consequently, this study is on the type classification of unit plans in public housing built after 1999 and dwelled from 200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 plans applied in recent public housing and provide basic materials that can be incorporated to residential space plan from now and hereaf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