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형별 성격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utomatic Generation of Custom Advertisement Messages based on Literacy Styles of Classified Personality Types (성격유형별 문체 특성 기반 맞춤형 광고 메시지 자동생성 연구)

  • Jimin Seong;Yunjong Choi;Doyeon Kwak;Hansaem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31-436
    • /
    • 2022
  • 이 연구는 MBTI의 심리 기능지표 조합인 ST, SF, NT, NF의 유형별 특징을 반영한 마케팅 문체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모델 학습을 통해 성격유형별 맞춤화 된 광고 메시지로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활용되는 광고 메시지 자동 생성 기술은 BART 모델에 성격유형을 Prefix로 포함한 광고문을 학습시켜 성격유형에 따라 맞춤형 광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학습된 모델은 Prefix 조작만으로 MBTI 성격유형별 문체 특징을 갖춘 광고 메시지로 변환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성격유형의 특징을 문체 프레임워크로써 정의하고 이에 기반한 모델 학습을 통해 성격유형별 특징을 반영한 광고 메시지를 재현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성격유형과 연관 feature를 함께 학습하여 유형별 문체 특징과 소구점을 포함한 광고 메시지를 생성했다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차후 타겟 고객층의 성격유형과 광고 도메인을 고려한 효과적인 광고 콘텐츠를 생성해 내는 모델을 개발하여 타겟 마케팅 분야는 물론이고 지역별 또는 언어별 문체 간 차이를 구조화하거나 재현해야 하는 문제에서 기반이 되는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djusting Personality Types to Character with Affective Features in Artificial Emotion (캐릭터의 성격 유형별로 정서적 특징을 반영한 인공감정)

  • Yeo, Ji-Hye;Ham, Jun-Seok;Jo, Yu-Young;Lee, Kyoung-Mi;Ko, Il-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33-136
    • /
    • 2011
  • 본 논문은 선행 연구된 인공감정 모델에 성격 유형별로 정서적 특징을 반영한 캐릭터의 인공감정을 설계하여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캐릭터의 인공감정은 성격 유형별로 정서적 특징을 생성에서 소멸까지의 시간과 크기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서의 유지시간, 정서적 경험을 한번 했을 때 느낄 수 있는 최대 크기와 정서를 표현하는 시점을 두 단계로 나누어 정서적 특성을 MBTI 성격 유형에 따라 적용한다. 이렇게 설계된 인공감정은 실제 캐릭터의 적용해보고 성격 유형에 따라 감정 표현과 변화를 분석한다.

  • PDF

A Study of Personality type & Evoked Potentials (성격유형과 유발전위 연구)

  • Jang, Seok-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4 no.1
    • /
    • pp.137-146
    • /
    • 201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ersonality type with evoked potentials. Teenage students(121 males, 69 females) tested Myers Briggs Type Indicator and raven like discrimination task by evoked potential. Raven like discrimination tasks were made of low, medium and high levels. Conclusively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while accomplishing the raven like discrimination task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power of concentration. M-Beta(middle beta), Gamma and H-Beta(high beta) were also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sensing and intuition type partially appeared the different tendency of two groups while accomplishing easy and medium of difficulty tasks. Thinking and Feeling type while accomplishing raven like discrimination tasks, showed difference of the concentration power and H-Beta at Fp1. But judgment and perception type did not appear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hile accomplishing raven like discrimination tasks of low, medium, and high.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personality type can be affected brain wave by evoked potentials.

  • PDF

A Study on the of Pilot'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Type were classified by Enneagram (Enneagram에 의한 조종사 성격 특성과 선호 성격 유형에 관한 연구)

  • Kim, Chil-Young;Chung, J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4 no.1
    • /
    • pp.39-61
    • /
    • 1996
  • 현재 항공기 운항 승무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CRM과 LOFT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는 Blake & Mouton에 의한 리더십의 유형을 과업과 사람에 대한 관심 정도로 구분하여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훈련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성격 유형은 보다 복잡하고, 이에 대한 깊은 연구가 요구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 Enneagram에 의한 성격 유형을 고찰하고 민항공사 조종사들의 성격 유형과 성격별 선호 성격 그리고 과업 성과를 높이기 위한 성격간 상호 작용을 규명하여 항공기 운항 승무원 관리에 적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proposal of visualization method of MBTI personality types using celebrity images (유명인 이미지를 활용한 MBTI 성격 유형 시각화 방식 제안)

  • Shin, Ho-Sun;Lee, Ka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8
    • /
    • pp.491-498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visualization method that expresses users' MBTI personality type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method calle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representative celebrities' facial images. This system has significance for visualizing traits from texts to images effectively. The entire system is composed of making backgrounds to represent traits of each MBTI category using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showing facial images of celebrities with corresponding MBTI personality types. First, 'Big Five Personality Traits' classifies 16 MBTI types into four categories and each of category traits lays the foundation to make background using visual elements such as colors and lines. Second, celebrities' facial images are substituted for the corresponding literal explanation of each MBTI type. By adjusting the color saturation, users can distinguish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intuitively. As a result, this system enables users to take information for their own / opposite / similar MBTI types simultaneously.

The Effects of Small Group's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n Young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성격유형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활동에 미치는 효과)

  • Kang, Sang;Shin, Ji-Hye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9 no.1
    • /
    • pp.201-220
    • /
    • 2013
  • This study focused on science activities that need collaborative inquiry proces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s science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n young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The subjects are 30 five-year-old kindergarteners. They have been divided equally into three groups, extroversion(E), interversion(I), and heterogeneous group of EI mixed group depending on EI indicators through K-ABC cognitive ability tests and MMTIC personality types targeting. Both of groups have 10 members each. For data analysis, scientific attitude was analyzed with ANCOVA, scientific knowledge development was done with frequency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scientific knowledge development between the homogeneous group and heterogeneity group in small group's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the results of a Scheffe post-hoc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 and I homogeneous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 homogeneous group and the heterogeneity group, and between E homogeneous group and the heterogeneity group, I homogeneous group had the most effective group composition in scientific attitude improvement.

Gifted Students' Personality and Types of Ego-gram Based on Eric Borne's Transactional Analysis (영재아의 성격유형과 자아상태 분석)

  • Lee, Soon-Joo;Park, Chan-Ou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9 no.1
    • /
    • pp.25-4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ifted students' gender difference in ego state and personal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 types and the temperable types in personality traits and relations between gifted students' ego state and their personality traits by Ego-gram test based on Borne's personality theory and MMTIC test based on Jung's psychological theo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 of gifted students of K Gifted Center, The data analyzed by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in accordance with each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material data for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and for guidance in students' human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ego state and personality traits in two dimensions. Second,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Korean standardization in the functional types and the temperable types of personalit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olid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ego-gram and personality of gifted students.

The psychophysiological types in virtual reality user (가상현실 사용자의 심리생리학적 유형)

  • 김영윤;김현주;장현호;박병관;고희동;김현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56-1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45명의 가상현실 사용자들의 가상현실 전, 중, 후의 생리신호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성격, 능력 특성 설문지, 가상현실 평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심리적 영향을 알아보았다. 체온의 변화 양상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현실 사용자의 심리생리학적 유형을 나누고 유형별 심리적인 반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1) A 유형: 가상현실 유행동안 체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유형. 2) B 유형: 가상현실 윤행초기에 체온이 급격히 증가해서 운행동안 서서히 체온이 상승하는 유형. A 유형에 속하는 사용자들의 성격적 특성은 Holland의 성격 유형이론에 근거하여 실제형의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 유형은 탐구형, 사회형의 사람들이 많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멀미민감도는 A 유형이 B 유형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A, B 유형의 뇌파분석 결과 정중 전두부 (Fz), 정중 중심부 (Cz)에서 베타파, 감마파 상대파워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온의 변화 양상에 따라 나눈 A, B 유형은 성격 및 능력 특성, 멀미민감도에 있어서 유형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에 에니어그램 9가지 성격 유형별 방어기제가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자긍심, 대인관계능력

  • 정해란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43-47
    • /
    • 2023
  • 인간은 만물의 영장류이다. 그러나 피할 수 없이, 부모의 불완전성과 사회적·환경적 이유들로 인해 아이는 의존적 욕구와 본능적 욕구의 좌절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 두려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부분적으로라도 욕구의 충족을 얻을 방법을 습득한다. 이 방법이 방어기제이며, 이것이 개인의 성격 특성으로 나타난다. 특히 사회적·도덕적으로 용납되지 못하는 성적 충동, 공격적 욕구, 미움, 원한 등은 하나의 위험으로 인식되고 불안을 일으킨다. 1번 유형 개혁가, 이들은 높은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활동가이다. 이들의 교류방식은 자신의 견해가 옳다고 여기기 때문에 이런 신념이 강할수록 상대방을 가르치고, 고쳐주려고 한다. 2번 유형 조력가는 쉽게 다른 사람과 친해지는 장점이 있다. 3번 유형 성격 성취가는 사회 속에서 성공을 바란다. 4번 유형 성격 예술가, 깊은 직관력으로 창조적인 영감과 기쁨을 찾는다. 5번 유형 관찰가, 이들의 본질은 깨달음이다. 6번 유형 충성가, 이들의 본질은 두려움과 의심을 극복함으로써 드러난다. 7번 유형 열정가, 침체된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8번 유형 도전가, 돌려서 이야기하는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 9번 유형 중재자. 다른 사람과 갈등이 있으면 다른 사람의 입장을 먼저 생각한다.

  • PDF

A Study on the Customized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According to MBTI Personality Types of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대학도서관 맞춤형 서비스에 관한 연구)

  • Kwak, Woojung;Noh, Younghee;Ahn, Inja;Zhang, Jingji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0 no.4
    • /
    • pp.91-114
    • /
    • 2019
  • This study intends to classify the users by the MBTI personality type and investigate and analyze information resources and services of library preferred by personality type. Towards this end, we have surveyed the K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personality types and preferred resources and services, and also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s of university libraries according to the MBTI personality type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digital contents type in the analysis of the data type preference and the quadrant type through the analysis of attitude index type from validating the difference between data / information source and servic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MBTI type. The analysis of 16 types of personality also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gital contents. 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for data and digital contents suitable for personality types in university libraries, it should be preceded by collecting MBTI personality type data for users in the library. After that, when a user requests a reference information service from a library, or requests a book or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form-specific service or provide a content-specific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