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헬스케어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의사들의 유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사용의도 (Doctors' Perception and Intention of the U-healthcare Service)

  • 이윤경;박지윤;노미정;왕보람;최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49-357
    • /
    • 2012
  • 유헬스케어 서비스는 오랫동안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헬스케어 서비스 도입에 있어 중요 의사결정자인 의사들의 유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자인 의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의도에 따른 집단별 특성을 비교하고,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찰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들의 유헬스케어 서비스 사용경험은 16.0%로 낮으나 사용의도는 70.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헬스케어 서비스 적용은 만성질환과 예방분야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적용이 적합한 질환은 당뇨병과 고혈압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 특성에 따른 사용의도의 차이에 관한 로지스틱 분석 결과 유헬스케어 서비스 사용의도는 대학병원에 비해 비대학병원 의사들의 사용의도가 3.7배 높았다. 본 연구는 유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 그리고 사용의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유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와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유헬스케어 표준화 기술 동향 (Technical Trend of U-Healthcare Standardization)

  • 박찬용;임준호;박수준;김승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5권4호
    • /
    • pp.48-59
    • /
    • 2010
  • 한국 사회의 인구 고령화 속도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향후 보건, 의료, 복지 등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를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고령화 사회로 인한 질병 발생률의 증가는 국민 의료비 부담의 증가로 이어져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과 생활을 관리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인 유헬스케어(u-Healthcare)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인, 고령자,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유헬스케어용 건강 개인 기기의 개발이 확산되고 있으나, 표준이 없이 업체별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비스간 호환성 등의 문제가 생기고, 이로 인해 유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에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헬스케어 분야의 표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표준화를 통해 생체정보 데이터의 취합 및 전송, 분석 및 피드백이 표준적인 방법으로 운용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개인 건강 기기들과 유헬스케어 서비스간의 상호 운용성이 보장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 헬스케어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표준화가 진행중인 IEEE 11073 PHD 표준화 동향과 HL7 CDA의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고, 본 연구원에서 개발한 국제 표준기반 유헬스케어 플랫폼에 대한 소개를 한다.

IT융합 헬스케어기술

  • 박정훈;황보택근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5호
    • /
    • pp.21-27
    • /
    • 2011
  • 본고에서는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에 힘입어 최근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미래의 의료형태인 유헬스케어에 필요한 IT융합 헬스케어기술을 소개하였다. IT융합 헬스케어기술이 성공적으로 실시되면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와 웰빙을 필요로 하는 많은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서 헬스케어는 환자 중심의 질병 및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하는 개념에서 점차 일반인의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개념으로 변화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IT 기술과 의료서비스를 융합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료, 치료 그리고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는 유헬스케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유헬스케어에서 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연구 (A Study of Patient's Privacy Protection in U-Healthcare)

  • 정윤수;이상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13-921
    • /
    • 2012
  • 유헬스케어 서비스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에 힘입어 유헬스케어 서비스 기술은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유헬스케어 서비스는 보안상의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의 민감한 의료정보가 제3자에게 유출되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사용자의 동의없이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헬스케어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환자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안전하게 접근하기 위해서 병원관계자의 권한 및 접근 레벨에 따라 환자의 생체정보를 분산 접근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환자의 생체정보의 접근을 제어하는 동시에 타임스탬프를 통해 DoS 공격 예방과 최신성을 유지한다. 또한, 제안 모델은 병원관계자를 중앙에서 서버가 통합 관리하는 동시에 병원마다 병원관계자의 권한 및 레벨에 따라 접근을 제어하기 때문에 환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및 의료정보 유출을 예방한다.

유헬스케어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식단 처방 시스템 (A Diet Prescription System for U-Healthcare Personalized Services)

  • 김종훈;박지송;정은영;박동균;이영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11-119
    • /
    • 2010
  • 유헬스케어는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궁극적인 목표는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유헬스케어 서비스는 사용자 개개인의 상황에 맞는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헬스케어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헬스케어 개인화 서비스를 정의하고 건강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식단 처방 시스템은 맞춤형 열량 및 영양소 비율을 도출하고 개인의 식품류별 선호도를 통하여 개인화된 식단 처방이 가능하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식단 선택 행위를 모니터링 하여 개인의 선호도를 변경하고 자바 기반의 OSGi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센서 및 디바이스와 상호 운용되도록 설계되었다.

휴대형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평가방법 (Evaluation Method of Portable Handheld U-healthcare Medical Devices)

  • 남명현;김수찬;김장수;이갑노;김산;차지훈;허찬회;박기정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9권2호
    • /
    • pp.55-62
    • /
    • 2012
  • 정보기술과 의료기기의 융합에 의해 혈당을 집에서 측정하거나 운동 시에 심박수를 측정하는 것과 같이 건강관련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측정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의료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 유헬스케어 의료기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가이드라인이 아직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를 위해 식약청, ISO/IEEE, CE 등 국내외의 유헬스케어 관련 규정을 조사하고, 이 중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에 관련된 안정성 및 성능 평가에 대한 시험 방법과 항목을 제안하였다.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의 가장 큰 특성인 무선 데이터 통신에 있어 데이터 무결성과 기기 사용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환경 요인이 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휴대형 유헬스케어 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지침을 기반으로 휴대형 유헬스케어 기기를 개발한다면 사용자들에게 보다 안전성과 신뢰도 높은 기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수용 및 이용에 관한 통합 이론을 활용한 유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Usage Intention of u-Healthcare Service Using Unified Theory of Technology Adoption and Usage)

  • 김수민;이창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379-388
    • /
    • 2013
  • 유헬스케어 서비스는 미래의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도입이 기대보다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헬스케어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이용의도를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그리고 인지된 위험과 조절변수인 자발성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국내 의료기관의 종사자 98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했는데, 촉진조건을 제외한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인지된 위험이 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발성은 성과기대와 노력기대, 인지된 위험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환자 정보를 빅 데이터화 하기 위한 유헬스케어 서비스 관리기법 (U-healthcare Service Management Scheme for Big Data of Patient Infomation)

  • 정윤수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2015
  • 최근 현대인의 식습관에 의해서 질병의 예방, 관리, 건강증진 등을 제공하는 유헬스케어 서비스의 트랜드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유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질병정보가 관리서버에 저장되지 않거나 저장되더라도 분석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의료서비스에 불편을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질병 정보를 빅 데이터화하여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지의 빅 데이터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의료 서비스를 원활하게 하는 유헬스케어 서비스 관리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사용자의 생체신호 및 건강정보를 측정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의료기관에 전송하며 의료기관에서는 사용자의 의료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분석한 후 다시 사용자에게 피드백 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원격 관리한다.

  • PDF

유헬스케어 서비스 환경 내 개인정보 보호 모델 설계 (Design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Model in U-Healthcare Service Environment)

  • 이봉근;정윤수;이상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89-200
    • /
    • 2011
  •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에 힘입어 미래의 의료형태인 IT 융합 헬스케어 서비스 기술은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IT 기술이 헬스케어와 융합되면서 사용자의 민감한 의료정보가 유출되고 사용자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되면서 그에 따른 대비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헬스케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서 환자의 ID 정보를 사용자 상태 및 접근 레벨에 따라 통합/분할 관리할 수 있는 유헬스케어 서비스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실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신분확인, 병원 권한확인, 진료기록 접근제어, 환자진단 등의 기능으로 구분한다. 또한, 사용자의 ID가 중앙의 서버에서 통합 관리되는 동시에 병원간 공유되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보안 레벨 및 권한에 따라 사용자의 ID를 병원에 분할 적용하여 제 3자에 의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 및 의료정보 유출을 예방한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를 위한 무선 생체신호 감시 시스템 설계 (The Implementation of Wireless Bio-signal Monitoring System for U - healthcare)

  • 이석희;류근택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9권2호
    • /
    • pp.82-8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을 이용한 통합형 유헬스케어 시스템 설계하여 개인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통합형 생체 계측 시스템은 심전도, 산소포화도, 혈압, 호흡, 체온 등 모듈을 통하여 생체 신호를 계측하고 신호처리된 생체 정보를 무선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전송된 생체 데이터는 모바일 시스템에서 건강상태를 감시하거나 유헬스케어 서버로 전송하도로 설계하였다. 생체신호 감시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서 측정되어진 생체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현재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호자의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보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개인 건강관리 및 응급환자 감시 시스템을 위한 유헬스케어 시스템 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