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행복식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현대패션에 응용된 후프(Hoop)에 관한 연구

  • 정경희;배수정
    • Proceedings of the SOH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7-7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후프(hoop)의 기원 및 변천과정을 고찰해보고 시대별로 후프의 유형을 분류한 후,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더욱 다양해진 후프가 현대패션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후프의 역사적ㆍ미적 가치를 재인식하여 오늘날 복식디자인에 창조의 영감을 줄 수 있는 하나의 모티브를 제시하는데 있다. 후프가 발생하였던 르네상스시대에는 신 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사고가 변화하면서, 복식에 있어서도 인간의 신체미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인체의 실루엣을 과장ㆍ확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속옷의 중요성과 역할에 따른 심미적인 기능이 복식에 절대적으로 필요하였고, 뿐만 아니라 기교적인 면에서 속옷에 요구되는 장식성은 어느 시대보다 절실하였다. 그 결과 겉옷이 확대되고, 이에 따라 속옷도 인체를 크게 보일 수 있는 후프가 고안되었다. 후프는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철사나 고래뼈 등을 세공하여 만든 테를 넣은 속치마를 말한다. 16세기 중엽 스페인에서 유행한 종형의 파딩게일(farthingale)을 시초로,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드럼형의 휠 파딩게일(wheel farthingale)과 오쓰뀌(hausse col)가 유행하였다. 17세기 초기에는 후프를 착용한 16세기 복식이 유행하였으나, 1625년 이후 슬림한 스타일의 17세기 복식이 유행하자 후프의 착용은 점차 쇠퇴하였다. 18세기에는 파니에(panier)가 유행하여 옆을 부풀린 스커트의 실루엣을 형성하였고, 19세기에는 크리놀린(crinoline), 벗슬(bustle)이 유행하였다.

  • PDF

영화 의상에 관한 연구 -195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 정현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84-86
    • /
    • 2004
  • 21세기를 대표하는 종합예술 중의 하나인 영화는 독자적인 문화권을 형성하여 거대한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영화는 패션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영화의상은 영화의 극적인 효과를 위하여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복식을 뜻하며 배우가 착용하는 의상과 헤어스타일, 머리장식, 액세서리, 신발, 분장 등은 영화의 내용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화 속 주인공들의 스타일이 여성 패션의 흐름을 주도하기 시작한 1950년대에 유행하였던 영화들을 중심으로 영화의상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과 한국인의 일상복이 전통적인 의상에서 현대적이고 서구화된 의상으로 변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1950년대에 유행한 미국영화의 분석과 1950년대에 우리나라에서 유행한 복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최윤영;이선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1-41
    • /
    • 2003
  • 하루가 다르게 점차 빨라지고 있는 유행주기와 동조성의 거부 즉 개성화추구현상이 두드러짐에 따라서 패션상품 및 화장품 구매행동도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시각각 변화고 있는 소비자들의 소비태도와 유행추세에 따라 화장품 회사들의 다양한 판매촉진 전략 중에서 화장품 기획세트를 중심으로 심미적 가치관이 높고, 외모에 관심이 많은 20대 유행선도자들의 화장품 기획세트 구매동기와 구매태도, 구매반응, 구매실태를 알아본 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장품 기획세트 판매촉진의 효율적인 개발과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Femininity and the Ideal Beauty of Body Implied in the fashion and the Anti-fashion Movement in the Victorian Period (I) (빅토리아시대 유행복식과 반(反)유행복식 운동에 나타난 여성성자 인체미에 관한 연구 (I))

  • 김정선;김민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2
    • /
    • pp.169-180
    • /
    • 2001
  •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femininity, the ideal beauty of body and the features in fashion pursued in the fashion system and the Anti-Fashion Movement in the Victorian period, on which the modern fashion is based. For the informative facts needed in this paper, books on history, fashion history, feminism, art history of aestheticism and tole ideal beauty of body are referred to. On the part I of this paper, the femininity and the ideal beauty of body implied in the fashion system in the Victorian period will be reviewed. following are the conclusion : First, in the Victorian period, the value of femininity is put on the body of female by the discrimination of sex divided in two.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ity mainly include dependence, passiveness, emotion, beauty, maternity, innocence, and purity. To emphasize the function of reproduction as primary duty and nature of female, the ideal beauty of body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Venus Naturalis, which symbolizes the fertility. And the external form of this body is expressed in slum waist line, ample busom and hip in fashion. Second, the features of this fashion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y their internal value : images of subordinate female, sensual female and maternal female 1) The image of subordinate female is expressed by concealment of legs, tighten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in corset and restriction on action by the crinoline 2) The image of sensual female is revealed in brazing colors and decoration, excessive exposur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hip by means of bustle. 3) The image of maternity is expressed in swollen skirt of crinoline, oval bustle silhouette metaphoring the extended womb resulted from pregnancy.

  • PDF

의복관여와 유행관여

  • 이규혜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27-129
    • /
    • 2004
  • 일찍이 제품흥미나 중요성 대신 관여(involvement)의 개념이 소개된 이래로 마케팅과 소비자 행동 분야뿐 아니라 의류학분야의 여러 연구에서 관여는 구매자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관여의 개념은 의류제품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변인이 조작적으로 정의되는 과정에서 의복관여, 유행관여, 패션관여 등의 용어가 혼용되어 왔다. 이러한 경향은 선행연구와 후행 연구의 연계성이라는 측면에서 “의복관여”라는 변수를 도입한 연구들의 해석에 많은 어려움을 주어 왔다. (중략)

  • PDF

A Study on Fashion leadership, use of fashion information and apparel shopping behavior of middle-and high-school male students (Part II) (남자 중.고등학생의 유행선도력과 정보원 활용 및 의류구매행동과의 관계연구(제2보))

  • 전경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0 no.7
    • /
    • pp.5-14
    • /
    • 2000
  • Fashion leadership of middle- and high-school male student was measur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ive subgroups including, fashion dual leaders(13.3%), innovators(10.3%), opinion leaders(7.6%), followers(52.3%), and laggards(16.3%), according to their innovativeness and opinion leadership.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fashion dual leaders were very confident and fashion-conscious while other subgroups were very price-conscious and quality-aware. Among the fashion information sources included in the study' my own experience and opinion' was the most Important to all 5 subgroups. Generally the higher the fashion leadership was, the more actively utilize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The fashion magazine and commercials as information sources was not as important to the subjects as it was to college women. Apparel shopping behavior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ubgroups. As a whol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 of fashion information and the apparel shopping behavior, of opinion leaders and innovators were similar, but those of followers and laggards were very dissimil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