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해 정보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3초

유해어의 공기정보를 활용한 유해 웹문서 필터링 (Harmful Web-document Filtering using Harmful word Co-occurrence)

  • 안형근;이원휘;안동언;정성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B)
    • /
    • pp.7-10
    • /
    • 2006
  • 웹 환경이 일반화되고 웹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정보가 다양하고 풍부하다. 이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는 유익한 정보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을 비롯한 사회적으로 보호를 받아야 할 웹 이용자들의 정신건강을 해치는 정보들도 다수 포함되고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문서를 필터링하는 수단으로 공기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유해어 사전을 활용한다. 유해어 사전 구축은 단순히 유해어 리스트만으로 사전을 구축하지 않고, 유해어 주위의 공기 단어의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유해어의 중의성에 의한 오분류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즉, 유해어 후보가 1개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각 의미가 유해 정도가 다를 때, 유해어 후보의 등급을 결정하기 위하여 해당 유해어와 같은 문장 혹은 같은 문서에 출현하는 다른 단어 정보를 활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문서의 유해 등급을 결정하게 된다.

  • PDF

유해정보의 경향과 유해정보 차단 소프트웨어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nd of Hurtfulness Information and a Problems of Intercepting Software on Hurtfulness Information)

  • 심재권;김귀복;박기홍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638-640
    • /
    • 2000
  • 본 논문은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유해정보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개발된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들의 동향과 문제점들을 제시해 새로운 유해사이트 차단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구현해야 할 부문에 대해 제시했다. 각 소프트웨어들은 독창적인 기능들을 보유하고 있으나 기능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유해 정보 차단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유해 차단 소프트웨어들은 사용된 기술에 따라 차단 목록 기반의 선별 기술을 사용한 소프트웨어는 차단 목록의 주기적인 갱신이 어려움이 있고 불건전 사이트에 노출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며, 용 목록 기반의 선별 기술에서는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것이며, 내용 등급기반의 선별 기술은 해당 사이트의 모든 정보를 차단하므로 유익한 정보까지 차단한다. 차단 목록 기반의 선별 기술과 허용 목록 기반의 선별 기술은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이 필요하다. 내용 등급 기반의 선별 기술은 아직까지는 웹사이트의 99%이상이 등급 표시가 없으나 앞으로는 등급 시스템과 등급 표시제를 강화해 등급에 따른 유해사이트 차단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로는 부모의 역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웹 문서에 등급정보가 반드시 삽입되도록 하는 강제적인 방법이 동원되어야 하며 브라우저 상에서 등급 정보가 없는 사이트에 대해서는 볼 수 없도록 차단하는 방법이 유해사이트를 차단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 PDF

유해정보 차단 S/W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of Internet Content Filtering Software)

  • 전웅렬;이현승;허순행;김경신;원동호;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5호
    • /
    • pp.543-554
    • /
    • 2009
  • 초고속 인터넷망의 활발한 보급과 컴퓨터의 대중화로 인해 인터넷은 이제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요소가 되었다. 인터넷을 사용하면 전 세계에 걸쳐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유해한 정보 역시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가치관이 아직 명확히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무분별한 유해정보의 유출은 그릇된 가치관의 형성과 더불어 범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시중에는 무분별한 유해정보의 확산을 막기 위해 다양한 유해정보 차단 S/W가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현 유해정보 차단 S/W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유해정보의 완벽한 차단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차단기능에 대한 다양한 우회방법 또한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유해정보 차단 S/W의 차단효과를 분석하고 한계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나아가 기존 유해정보 차단 S/W의 한계점을 극복한 새로운 유해정보 차단 S/W의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SNS기반 유해사이트 판단 및 수집 시스템 (The system of collecting and judgement of harmful site in SNS)

  • 장정현;나스리디노프 아지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12-815
    • /
    • 2017
  •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되고 있는 유해 정보(불법, 음란)의 심각성의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단어 DB기반의 유해 사이트 판별 방법은 단어 DB의 갱신 문제점과 유해 정보와 낮은 연관성을 가진 단어가 DB에 저장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링크 주소를 짧게 해주는 Short URL 서비스를 고려하지 않아 잘못된 웹 문서를 판별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해 사이트 판별 방법은 기 구축한 유해 단어 DB에서 유해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상의 유해 게시물을 조회한다. 유해 단어 DB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유해 게시물 조회시 내용에 포함되는 해시태그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게시물 수집과 동시에 유해 단어 DB를 갱신시킨다. 또한 유해 게시물 내용에 있는 URL 링크의 웹 문서를 문자열로 치환하여, 해당 문자열내의 유해 단어 DB에 있는 유해 단어의 등장 빈도 수를 계산하고 이를 기준치와 비교하여 유해도를 판단한다. Short URL을 사용한 URL 링크인 경우 HTTP 응답 메시지의 헤더 부에 존재하는 실제 목적지 URL 주소를 가져와 유해도 검사를 실시한다.

불법유해정보 법.제도 동향 분석

  • 윤여생;유진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36
    • /
    • 2012
  • 기존 불법유해정보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재정립하고, 국내외 불법유해정보 법 제도 현황을 살펴 보았다. 이와 함께 불법유해정보 접근 차단 방안에 대한 이용자 설문 결과를 기초로 불법유해정보 차단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 유해정보차단 프로그램의 문제점인 메모리 사용량 증가에 따른 컴퓨터 성능 저하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청소년 이용자의 보호자 또는 학부모가 사이트별로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다중 필터링 시스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불법유해정보 신고 프로그램은 신고주소, 신고제목, 증거자료 입력 등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신고를 원하는 사이트를 이미지화 하여 바로 저장 및 전송이 가능한 형태로 신고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신고완료까지의 시간을 단축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주민등록번호 입력 방식에서 개인식별번호를 이용한 i-PIN 도입을 의무화하고, 기존 i-PIN 사용자의 전환사용을 통해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개인정보유출 방지를 위한 i-PIN 사용을 의무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율 등급 서비스' 이외에도 제3의 기관을 통한 '제3자 등급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여 정보제공자의 부정확한 등급 표시의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해야 한다.

페이지 그룹 검색 그룹 모델 : 음란성 유해 정보 색출 시스템을 위한 인터넷 정보 검색 모델 (Page Group Search Model : A New Internet Search Model for Illegal and Harmful Content)

  • 육현규;유병전;박명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12호
    • /
    • pp.1516-1528
    • /
    • 1999
  •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에 존재하는 음란성 유해 정보는 많은 국가에서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음란성 유해 정보로부터 미성년자를 보호하는 실효성 있는 방법은 유해 정보 접근 차단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뿐이다. 유해 정보 접근 차단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음란성 유해 정보를 포함한 유해 정보 주소 목록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유해 정보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그런데 대규모 유해 정보 주소 목록의 확보를 위해서는 월드 와이드 웹으로부터 음란성 유해 정보를 자동 색출하는 인터넷 정보 검색 시스템의 일종인 음란성 유해 정보 색출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런데 음란성 유해 정보 색출 시스템은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닌 유해 정보 접근 차단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일반 인터넷 정보 검색 시스템과는 달리, 대단히 높은 검색 정확성을 유지해야 하고, 유해 정보 접근 차단 프로그램에서 관리가 용이한 검색 목록을 생성해야 하는 요구 사항을 가진다.본 논문에서는 기존 인터넷 정보 검색 모델이 "문헌"에 대한 잘못된 가정 때문에 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월드 와이드 웹 상의 문헌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이를 기반으로 위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검색 모델인 페이지 그룹 검색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실험과 분석을 통해 제안하는 모델이 기존 인터넷 정보 검색 모델보다 높은 정확성과 빠른 검색 속도, 그리고 유해 정보 접근 차단 프로그램에서의 관리가 용이한 검색 목록을 생성함을 보인다.Abstract Illegal and Harmful Content on the Internet, especially content for adults causes a social problem in many countries. To protect children from harmful content, A filtering software, which blocks user's access to harmful content based on a blocking list, and harmful content search system, which is a special purpose internet search system to generate the blocking list, are necessary. We found that current internet search models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harmful content search system: high accuracy in document analysis, fast search time, and low overhead in the filtering software.In this paper we point out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a mistake in a document definition of the current internet models and propose a new internet search model, Page Group Search Model. This model considers a document as a set of pages that are made for one subject. We suggest a Group Construction algorithm and a Group Evaluation algorithm. And we perform experiments to prove that Page Group Search Model satisfies the requirements.uirements.

유해 사이트 필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iltering System on Hurtfulness Site)

  • 장혜숙;강일고;박기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36-639
    • /
    • 2002
  • 본 논문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유해 정보들이 인터넷을 통해 무분별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우리의 청소년들이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유해 정보를 차단하기 위해 여러 차단 소프트웨어들이 개발되어서 기존의 차단 소프트웨어들은 차단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목록에 있는 경우 차단을 하거나 등급 표시에 따르도록 한다. 차단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지속적인 업 데이트, 등급 표시에 따른 오류나 사전 검열 둥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 문제점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이트 상에서 제공되어지는 내용을 AC 머신을 이용하여 유해 단어를 추출하고 유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유해 단어에 가중치를 부여했다. 그 결과로 유해 정보를 포함한 사이트는 90%의 차단 율을 보여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판명되었다.

  • PDF

하이퍼링크 연관성을 이용한 유해사이트의 자동분류 (Automatic Harmful Website Rating System Based on Hyperlink Relationship)

  • 장영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573-1576
    • /
    • 2005
  •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유해사이트의 급속한 증가로 유해사이트 분류의 신뢰도를 높일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유해사이트 분류방식에는 텍스트 기반의 분류방식과 Skin-Color Detec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 이미지 기반 방식이 있으며, 현재 텍스트 기반의 사이트 분류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유해사이트 분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해사이트에 포함된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유해사이트 분류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PDF

AC 머신을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interception on Hurtfulness Site using Aho-Corasik machine)

  • 정현수;정규철;김후남;박기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41-544
    • /
    • 2004
  • 지식정보사회로의 변천은 우리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윤택하게 해주고 있지만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부작용 또한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실정이다. 아직 인성이 발달되지 못한 청소년들이 정보통신망을 통해서 유통되고 있는 수많은 음란물과 폭력물과 같은 유해정보에 무방비상태로 노출되고 있는 것도 정보화사회의 대표적인 역기능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문제점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이트 상에서 제공되어지는 내용을 AC 머신을 이용하여 유해 단어를 추출하고 유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서 유해 단어에 가중치를 부여했다. 그 결과로 유해 정보를 포함한 사이트는 90%의 차단률을 보여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판명되었다.

  • PDF

인터넷 환경의 유해 정보 차단 기술 동향 (Technical Trends of Filtering the Objectionable Information in the Internet)

  • 한승완;김무섭;정치윤;최수길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3호
    • /
    • pp.76-85
    • /
    • 2013
  • 정보 통신 기술은 무수히 많은 사회적 공헌을 이루어냈지만 유해 정보 범람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 주체이기도 하다. 유해 정보 범람이라는 부작용을 해결하고 깨끗한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터넷 환경의 유해 정보의 특성과 유해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현재 기술 수준을 분석하고 향후 기술 개발 발전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