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탄성해석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부유식 평판구조물의 유탄성해석 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n Hydroelastic Analysis of Floating Plate Structures)

  • 김진균;김기태;이필승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09-21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평판(plate) 형태를 갖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유탄성해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체력 산정을 위해 포텐셜을 입사, 방사, 산란으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던 기존의 방법 대신 전체 포텐셜을 직접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최근의 경향을 반영하였다. 선형 유탄성해석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석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해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구조체의 모델링에 소요되는 요소수를 줄이고, 휨 변형 시 전단변형률에 의한 잠김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MITC 기법을 적용한 평판 유한요소를 사용하였으며, 3차원 Green 함수법을 적용해 유체력을 산정하였다.

  • PDF

흘수가 폰툰형 초대형 구조물의 유탄성 응답에 미치는 영향 해석 (Draft Effects on Hydroelastic Analysis of Pontoon-type VLFS)

  • 홍사영;최윤락;홍석원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32-4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고차경계요소법을 사용하여 폰툰형 초대형 구조물의 유탄성 응답을 해석하였다. 폰툰형 구조물의 설치가 예상되는 천수심 해역에서 유탄성 응답 해석에서 흘수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초대형 구조물인 경우 실제 해상파의 파장 범위인 단파장 구간일 때 흘수의 영향을 무시한 해석은 구조물의 유탄성 응답과 상대파고를 과소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나 폰툰형 구조물에서도 흘수 영향을 고려한 해석이 중요함을 보였다.

유탄성 효과를 고려한 완전통계 피로해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Fundament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full spectral-atigue analysis software to consider hydroelasticity effects)

  • 박준범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9호
    • /
    • pp.903-9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유탄성 효과를 고려한 완전통계 피로해석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강체 선체운동을 바탕으로 한 완전통계 피로해석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두 가지 선종에 대해 선급 피로해석 결과와 비교하였고, 결과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유탄성 선체운동 결과를 반영하고 광대역 피로손상 모델을 도입하면 유탄성 효과를 고려한 완전통계 피로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부유식 유탄성 보 모델의 수렴성 연구 (Accuracy analysis of a hydroelastic model of a floating beam)

  • 김기태;이필승;박광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31-6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규칙 파랑 중에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유탄성 거동을 해석 하고, 수치모델의 수렴성을 살펴본다. 부유식 구조물은 보로 모델링 하며, 유체는 이상유체로 가정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보 모델의 경우 Euler-Bernoulli 보 모델과 Timoshenko 보 모델로 나누어 그 특성을 비교 해 본다. 문제의 해석법에 있어서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는 유한요소법을, 유체의 경우는 경계요소법을 이용하여, 상호 연성된 방정식을 이끌어 낸다. 상호 연성된 방정식을 토대로 Euler-Bernoulli 보 모델과 Timoshenko 보 모델의 거동 특성을 살펴보고 제시된 수치 모델을 기준으로 수렴성을 분석해 본다.

  • PDF

해수순환 방파제를 고려한 폰툰형 구조물의 유탄성응답 해석 (Analysis of Hydroelastic Response of a Pontoon-type Structure Considering Effect of Wave Breaker with Underwater Opening)

  • 홍사영;최윤락;홍석원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53-59
    • /
    • 2003
  • Ocean space utilization using VLFS(Very Large Floating Structures) can provide environmental impact free space by allowing sea water flow freely through the floating structure. Use of Pontoon type VLFS for that purpose needs employment of breakwaters for reduction of wave effects.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advantage of environmental impact free structure, the breakwater should be the one that can allow water flow freely through it, too. In this paper hydroelastic response of a pontoon type structure is analyzed considering breakwaters which allow water flow through its opening at bottom of the breakwaters. Mode superposition technique is used for solving equation of flexible body while interactions between the pontoon and breakwaters is considered based on generalized mode concept. Bi-quadratic nine node higher-order boundary element method is adopted for more accurate numerical treatment near sharp edged body shape. Performance of various combinations of breakwaters is investigated.

부유구조물 파랑응답 해석

  • 홍사영;홍섭;김병현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3-20
    • /
    • 1996
  • 해양공간 활용을 위해 예상되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은 단위구조들이 결합된 형태의 초대형 구조물로서 단위 구조물간의 탄성변형 문제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단위구조물간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유체력 산출과 탄성응답이 고려된 해석법의 개발이 전세게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독립 부유구조물 자체의 크기가 대형화될 때 발생하는 탄성 변형 또한 구조 해석 및 진동관점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며, 이는 조선공학분야에서 유탄성 해석기법에 바탕을 두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고에서는 부유구조물의 설계에 있어 핵심기술중 하나인 파랑응답 해석기술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한국기계연구원에서 수행중인 국책연구개발사업 "해양공간이용 대형 복합플랜트 개발"의 세부과제인 "부유구조물 파랑응답 해석기법 개발"의 추진내용에 대해 환경 하중/응답해석기술, 계류시스템 설계/해석기술, 유탄성응답 해석기술로 나누어 소개하고자 한다. 해석기술로 나누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초대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초기 설계를 위한 설계차트 개발 (Development of a Design Chart for the Initial Design Stage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s)

  • 지광습;김진균;이승오;이필승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B호
    • /
    • pp.315-32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유탄성 해석을 통해 초대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설계 차트를 개발했다. 초기 설계단계에 본 챠트를 이용해서 고비용의 유탄성 해석을 사용하지 않고도 초대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유탄성 거동을 예측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설계챠트 I, II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설계차트 I은 특정 주파수의 파랑에 대한 구조물의 최대응력 응답진폭함수를 얻을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설계차트 I의 경우 동일한 변장비와 무차원 구조강성계수를 갖는 모든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설계챠트 I과 파랑스펙트럼의 적분을 통해 설계차트 II를 개발하였으며, Beaufort 풍력급에 따른 Bretschneider 스펙트럼을 적용해 해상의 환경요인을 고려하도록 구성되었다.

부유구조물의 모델링 차원에 따른 유탄성 응답 (Hydroelastic Responses of Floating Structure by Modeling Dimensions)

  • 홍상현;황웅익;이종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285-29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부유구조물 모델링의 효율성 및 응답의 정확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체 영역을 압력으로 정의한 유탄성 해석법에 1차원 보-2차원 유체 결합의 1차원 문제와 2차원 판-3차원 유체 결합의 2차원 문제를 적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1차원 문제와 2차원 문제의 모델링 차원에 따른 응답을 비교하기 위해 다양한 평판의 변장비와 입사파의 조건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르면 강체거동의 영향이 큰 장주기파에서는 변장비가 변하더라도 두 문제의 유탄성 응답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탄성거동의 영향이 지배적인 단주기파에서는 모델링 차원에 따라 뚜렷한 차이가 발생한다. 즉, 1차원 보 모델은 비록 입사파의 각도는 고려할 수 없지만 평판의 변장비가 클 경우에 유탄성 해석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2차원 평판보다 단순화된 모델링 조건으로서 부유구조물의 전반적인 응답을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치해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역-국부 해석기법에 의한 LNG 운반선 화물창의 유탄성 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Hydroelastic Analysis of LNGC Cargo by Global-Local Analysis Technique)

  • 박성우;조진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3-92
    • /
    • 2007
  • 대형의 유체-구조물 연계시스템(FSI) 해석을 위해 많은 수치기법들이 있지만, 유체의 슬로싱에 의해 발생되는 집중적이고 불규칙한 동수압의 영향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수치 결과와 수치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조밀한 메쉬를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신뢰할 수 있는 장기적인 시간 응답을 구하기 위한 수치해석은 상당히 많은 CPU 시간을 요구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부 상세 모델을 이용하여 LNG운반선의 화물창 시스템의 유탄성적 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전역-국부 해석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해석기법의 타당성을 증명하고 이 기법을 통해 LNG운반선 화물창 시스템의 국부응답을 효율적으로 예측한 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