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치원 기관의 적응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유아의 놀이성, 적응, 그리고 문제 행동과의 관계성 연구 (Children's Playfulness in Relation to Preschool Adjustment and Behavior Problems)

  • 안효진;임연진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3-6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the degree of preschool adjustment and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were 118 children from 3 child care centers and 5 kindergartens in Kyungbuk province. Children's playfulness was measured through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 and the level of pre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through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 The modified version of Kim's (2000)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PBQ), created by Behar and Stringfield (1974) was used to measure the acceptability of children's behaviors. The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use of SPSS 12,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playfulness, the degree of preschool adjustment, and the acceptability of behavior problems. Second, the degree of preschool adjustment appears to be a reliable predictor of children's playfulness.

중증장애아동 어머니의 낮병원 및 보육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erience of Day Hospital and Day Care Service Use of The Mothers with Severely Disabled Children)

  • 전지혜;원영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9-174
    • /
    • 2019
  • 본 연구는 중증장애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낮병원과 보육서비스 기관 이용을 통해 자녀와 본인의 삶에 어떤 변화를 경험했는지, 어려움이 있었다면 무엇인지 알아보고, 중증장애아동의 의료적 욕구와 발달과업에 대한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년 이상 낮병원 이용 경험이 있고,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을 이용한 장애아동 어머니 9명을 눈덩이 표집방법으로 모집하여 포커스그룹 면담 또는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증장애아동 어머니는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낮병원외의 기관을 알게 되고 이용하게 되면서 차츰 삶의 균형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처음으로 자녀와 떨어져 지내며 걱정을 보이기도 했지만, 차츰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자녀와 떨어져 있는 시간에 적응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중증장애아동인 자녀도 낮병원 외에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게 되면서 표정이 밝아지거나, 웃는 모습을 보이는 등 다양한 경험을 긍정적으로 하고 있다고 느꼈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주변사람과의 쉼을 느끼고 재충전 되는 경험을 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수요자 관점에서의 보육, 복지, 의료에 대한 종합적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