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xperience of Day Hospital and Day Care Service Use of The Mothers with Severely Disabled Children

중증장애아동 어머니의 낮병원 및 보육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 Jeon, Ji Hye (Dept. of Social Welfa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Won, Young Mi (Dept. of Social Welfa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전지혜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인천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원) ;
  • 원영미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전공)
  • Received : 2019.01.30
  • Accepted : 2019.03.11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Objective: The study wanted to find out what changes the mother, who is the main parent of the severely disabled children, experienced in their lives through the use of day hospitals and child care services, and what difficulties they had, and discussed policy practical improvements that could satisfy both the medical and developmental needs of the severely disabled.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 mothers of a child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d experience using hospitals and kindergarten. They were recruited by snowball sampling method. Focus group interview and individual interview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ther of severely handicapped child gradually began to seek the balance of life as her child grew and became aware of the institution other than the day hospital. - (e.g) Although I was distracted and worried for the first time, I was gradually adjusting to the time away from my child thinking positively.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were also positively influenced by various experiences. They become to show som positive behavior or feeling such as brightening facial expressions or smile as they were using day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in addition to daytime hospitals. Conclusion/Im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rehensive policy proposals on child care, welfare, and medical car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증장애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낮병원과 보육서비스 기관 이용을 통해 자녀와 본인의 삶에 어떤 변화를 경험했는지, 어려움이 있었다면 무엇인지 알아보고, 중증장애아동의 의료적 욕구와 발달과업에 대한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년 이상 낮병원 이용 경험이 있고,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을 이용한 장애아동 어머니 9명을 눈덩이 표집방법으로 모집하여 포커스그룹 면담 또는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증장애아동 어머니는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낮병원외의 기관을 알게 되고 이용하게 되면서 차츰 삶의 균형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처음으로 자녀와 떨어져 지내며 걱정을 보이기도 했지만, 차츰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자녀와 떨어져 있는 시간에 적응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중증장애아동인 자녀도 낮병원 외에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게 되면서 표정이 밝아지거나, 웃는 모습을 보이는 등 다양한 경험을 긍정적으로 하고 있다고 느꼈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주변사람과의 쉼을 느끼고 재충전 되는 경험을 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수요자 관점에서의 보육, 복지, 의료에 대한 종합적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수, 양신승, 이경준, 조정하(2016). 대전광역시 중증장애 아동의 재활치료 욕구에 관한 연구. 대전: 대전복지재단.
  2. 김기전(2014).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5), 262-271. doi:10.5392/JKCA.2014.14.05.262
  3. 김미라, 정남운(2006). 장애아동 어머니가 자녀의 초등학교 통합직전 느끼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18(1), 201-216.
  4. 김인옥, 이원령(2011).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7(1), 101-120.
  5. 박은수, 윤석영(2011). 장애인활동지원제도 인정조사표, 이용자 욕구 충족가능한가?. 서울: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6. 박주현, 김성우, 고성은, 권정, 이지선, 양신승, 장대현, 김태우, 이장우(2017). 어린이재활의료 확충방안 연구. 서울: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7. 보건복지부(2017). 보육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8. 여복기(2014). 소아 재활 낮 병동 이용실태와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연희, 황순영(2014). 자녀의 장애진단 시기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공감피로와 공감만족 수준분석. 특수아동 교육연구, 16(3), 23-40.
  10. 원영미, 전지혜(2018).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 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1), 169-192. doi:10.21213/kjcec.2018.18.1.169
  11. 정민정, 서주은(2010). 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재활치료서비스 현황 및 욕구조사에 관한 연구: 바우처사업 수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5(4). 157-173.
  12. 최복천(2013). 장애아동 의료 및 재활치료서비스 지원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애아동인권연구, 4(1), 61-81.
  13.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CA: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