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총량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Run-off Components using Watershed Management Model (유역관리모형을 활용한 유출성분 분석)

  • Lee, Sang-Jin;Hwang, Man-Ha;Sin, Hyeon-Ho;Sin, Yong-N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28-732
    • /
    • 2008
  • 일반적으로 유역의 유출량을 모의하는 경우 강우-유출모형을 구축한 후 해당 모형에서 제공하는 유출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모형에 의한 유출결과는 단편적인 유출총량에 대해서만 검증된 결과이기 때문에 기저 및 직접유출성분 각각의 적정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SSARR모형을 적용하고 단순 유출결과 뿐만 아니라 유출성분별로 결과값을 도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리주파수 기법을 활용하여 관측값의 유출성분을 분리하고, 모의결과와 서로 비교하였다. 이와같이 적용 검증된 모형을 토대로 유출성분 뿐만 아니라 소유역별 습윤상황과 용수이용정보 등 유출지표를 산정하여 효율적 유출관리 지원을 위한 기초 수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in Korea (유역별 가용수자원의 추정 연구)

  • Choe, Jong-Geun;Yun, Se-Ui;Lee, Won-Hwan
    • Water for future
    • /
    • v.16 no.1
    • /
    • pp.49-56
    • /
    • 1983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AVAILABLE WATER RESOURC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stimated the total amount of runoff in Korea. The annual mean runoff is estimated by cumulating daily discharges that obtaine from daily stages on the rating curve. The selected five major gaging stations(Indogyo, Gyuam, Jindong, Naju, and Songjeong) to take the daily discharges stand for the five major streams such as the Han River, the Geum River, the Nokdong River, the Yeongsan River and the Seomjin R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ximum quantity of the total available water resources is estimated at 26,900 million cubic meters, the minimum is 24,300 million, and the annual mean quantity is 25,600 million 2) The annual mean rate of runoff is evaluated about 58 percent in the five major basins. 3) The annual mean rate of runoff over inland is estimated about 57 percent as a result of assuming the runoff rate of 5 zone about 80 percent, the annual mean rate of runoff is estimated about 56 percent except for V-zone in analysis.

  • PDF

Analysis of Sediment Out Problem in SWAT Modeling (SWAT 모형의 하천 유사량 모의에 대한 문제점 분석)

  • Choi, Yonghun;Yang, Dong-Seok;Park, Sang-Jun;Park, Un-Ji;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17-417
    • /
    • 2021
  • 복합 토지이용 유역의 수문 모형에서 중요한 것은 큰 강우량이 발생하는 시점에서의 유출량과 유사량이다. SWAT 모형도 이와 같은 부분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이는 모형의 평가가 실측값에 대한 예측값의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또는 Nash-Sutcliffe efficiency(NSE)와 같이 큰 값의 영향이 큰 지수들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수질오염총량제와 같이 유역에서 발생하는 총량을 평가할 때는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유출과 수질뿐만 아니라 평시에 유출에 대한 수질도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으나 모형의 평가에서 반영되기 어려우므로 실측값과 매우 다른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SWAT 모형에서는 하천 유사량에 사용되는 계수가 모든 상황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과대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의 비강우시 하천 유사량 모의에 대한 부분이 강우시 하천 유사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SWAT 모형에서 하천 유출량과 관련된 계수를 확정하고, 하천 유사량과 보정에 사용되는 변수 중에서 prf 계수를 평시와 강우시 다른 계수 적용하여 하천 유사량 변화에 대한 SWAT 모형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지표면 유출과 관련된 변수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하천에 유입되는 유사량은 항상 같다고 가정하면, 특정 강우 조건에서의 하천 유사량은 변화하지 않아야 하지만 SWAT 모형에서는 평시 유사량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평시 prf 계수가 낮아질 때 하천을 통해 유역 밖으로 배출되는 유사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특정 강우 조건에서 유사량이 달라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현재 SWAT 모형은 지표면 유출로 유입되는 유사량 일부가 퇴적되기 때문에 평시에 실제보다 높은 농도로 예측되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표면 유출로 발생하는 유사의 하천 퇴적량을 최소화하고, prf 계수를 강우반응에 대해 변동성을 부여하는 등 비강우시에도 실측과 비슷한 수준의 유사량이 모의 될 수 있도록 SWAT 모형을 개선하고 있다.

  • PDF

Huff 강우분포의 손실률과 유출수문곡선 분석

  • Kim, Kyo-Sik;Park, Ki-Bum;Park, Jong-Kwon;Cha, Sa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80-683
    • /
    • 2008
  • 최근의 사전재해영향성 평가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Huff 강우분포는 실제 호우사상의 적용성 보다는 최빈분위의 적용에 따라 특히나 재해 관련하여서는 홍수량이 크게 산정된다는 이유로 인하여 Huff 4분위를 채택하고 있다. 시간분포는 설계홍수량 수문곡선의 모양과 첨두홍수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하게 적용하여야 한다. 원칙적으로는 해당 지역의 과거 강우자료로부터 강우지속기간 동안에 총강우량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떻게 분포되었는지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지역에 적합한 시간분포 모형을 작성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유출수문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점에 있어 분위별 강우 분포에 따른 손실율과 유출수문곡선과의 관계는 아직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확률강우량의 시간분포 산정 방법 중 Huff분포를 이용하여 각 분위별로 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하였으며, 유효우량 손실과 유출수문곡선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강우의 손실율은 유출수문곡선의 상승부와 첨두전의 유출총량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Sediment yield in Imha Reservoir Watershed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임하댐 유역 토사 유출 성향 분석 연구)

  • Shin, Hyun-Suk;Kang, Du-Kee;Choi, Young-Don;Kal, By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20-192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의 임하댐 유역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토사 유출 모의와 관련된 주요 매개변수들을 보정하고, 보정된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유역에 대한 토사 유출을 분석하였다. 모형 구성 자료로는 임하댐 유역 청송, 영양, 부남, 석보, 일월의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10년간의 강우자료를 사용하였으며 DEM도와 토지이용도, 토양도를 이용하여 유역 모델을 구축하였다. 유출 보정 자료로는 임하댐 일 유입량과 낙동강 오염총량제 지점인 반변과 용전 지점의 일유출량을 이용하였다. 특히, 임하댐에 유입되는 토사량에 대한 토사 유출 성향을 분석하여 유역의 토사 전달율(Soil Delivery Ratio)과 토사 발생지도(Sediment yield map)를 제작하여 각 소유역에 대한 토사 유출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사용하게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Rainfall-Sediment-Runoff Estimation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강우-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Yu, Wan-Sik;Lee, Gi-Ha;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8-42
    • /
    • 2010
  • 기후변화에 의해 집중호우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지속적인 유역개발에 따른 토지이용의 증가는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로 인한 재해 및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토양침식량 산정기법은 대부분 대상유역내의 평균 토양침식량을 산출하는 총량적 개념의 경험식이므로 호우기간동안의 유역 침식/퇴적의 시 공간적 변화양상을 모의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유역규모의 강우-유사-유출 메카니즘 해석을 위해서는 집중형(lumped) 모의기법을 대체하고 다양한 기상학적/지형학적 디지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의 지표 및 지표하 흐름을 고려한 유출모의 모듈과 단위수류력(Unit Stream Power)이론을 기반으로 유사유출 모의모듈을 결합한 분포형 강우-유사-유출 모형을 개발하고, 용담댐 상류부의 천천유역에 적용하여 개발된 모형의 재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Estimation of Pollutant EMCs and Loadings in Highway Runoff (국내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의 EMCs 및 유출 부하량 산정)

  • Kim, Lee-Hyung;Ko, Seok-Oh;Lee, Byung-Sik;Kim, Sung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2B
    • /
    • pp.225-231
    • /
    • 2006
  • The nonpoint source control is based on TPLMS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program. Recent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has programed TPLMS for 4 major large river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rivers by controling the total pollutant loadings from the watershed area. Usually the urbanization is the main pollutant sources, particularly for nonpoint pollutants,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and high pollutant mass emissions. The stormwater runoff from urban areas is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such as sediments, metals and toxic chemicals due to human and vehicle activities. Of the various landuses, the highways are highly polluted landuses because of high pollutant accumulation rate by vehicle activities during dry periods. Therefore, this research is achieved to provide pollutant EMCs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mass loadings washed-off from highways during rainfall periods. Five monitoring locations were equipped with an automatic rainfall gage and an flow me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EMC ranges for 95% confidence intervals in highway land use are 45.52-125.76 mg/L for TSS, 52.04-95.48 mg/L for COD, 1.77-4.48 mg/L for TN, 0.29-0.54 mg/L for TP. The ranges of washed- off mass loading are $712.7-2,418.4mg/m^2$ for TSS and $684.1-1,779.6mg/m^2$ for COD.

Investigation of Pollution Sources for Gongjichun Watershed (공지천 수계 유역 오염원에 관한 연구)

  • Seo, Ji-Yeon;Shin, Min-Hwan;Choi, Yong-Hun;Kim, Ki-Cheol;Lim, Kyoung-Jae;Choi, Jung-Dae;Jun, M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51-2055
    • /
    • 2008
  • 하천의 수질오염에 영향을 주는 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된다. 비점오염원은 주로 농경지에서 강우에 따른 유출수에 의해 일어나는 반면 점오염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에 의해 발생한다. 최근 수질오염의 특징은 과거의 대량 발생원인 점오염에 의한 수질오염에서 도시 강우 유출수나 농경지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비점오염에 의한 수질오염으로 변화해 가는 경향이다. 그러나 비점오염은 점오염과 같이 일정한 출구를 통해 유출되지 않으므로 집중처리에 의한 조절 방법의 적용이 곤란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지천을 4개의 유역으로 나누어 환경부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산정하고 원단위 오염부하를 산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역내 각 계별 오염부하량의 비교와 파악이 가능하였다. 둘째,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을 기준으로 산정한 부하량은 축산계의 오염이 크게 나타났다. 공지천의 경우 도시화로 인한 오염물질의 증가에 비해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미비한 실정으로 생태계 및 인간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천내 수질개선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현재 공지천내 오염부하량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수질개선을 위한 대안을 마련할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