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Pollutant EMCs and Loadings in Highway Runoff

국내 고속도로 강우 유출수의 EMCs 및 유출 부하량 산정

  • 김이형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고석오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이병식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 김성길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05.10.17
  • Accepted : 2006.01.05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The nonpoint source control is based on TPLMS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program. Recent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has programed TPLMS for 4 major large river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rivers by controling the total pollutant loadings from the watershed area. Usually the urbanization is the main pollutant sources, particularly for nonpoint pollutants, because of high imperviousness and high pollutant mass emissions. The stormwater runoff from urban areas is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such as sediments, metals and toxic chemicals due to human and vehicle activities. Of the various landuses, the highways are highly polluted landuses because of high pollutant accumulation rate by vehicle activities during dry periods. Therefore, this research is achieved to provide pollutant EMCs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mass loadings washed-off from highways during rainfall periods. Five monitoring locations were equipped with an automatic rainfall gage and an flow meter. The results show that the EMC ranges for 95% confidence intervals in highway land use are 45.52-125.76 mg/L for TSS, 52.04-95.48 mg/L for COD, 1.77-4.48 mg/L for TN, 0.29-0.54 mg/L for TP. The ranges of washed- off mass loading are $712.7-2,418.4mg/m^2$ for TSS and $684.1-1,779.6mg/m^2$ for COD.

최근 들어 오염총량관리제의 시행과 함께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오염총량이란 하천수질의 개선을 위하여 도입하였으며 유역이란 개념을 도입하였다. 하천수계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부하량은 점오염원 부하량, 비점오염 부하량 및 안전율의 합으로 산정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역 및 강우 특성에 기인하여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특수성 때문에 안전율을 보통 10% 정도로 두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는데, 모니터링을 통한 기초자료의 부족이 가장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비점오염원 중에서 포장율이 높아 오염물질의 유출이 높은 고속도로 지역에서의 오염물질 유출 부하 원단위 산정을 위하여 가장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오염물질의 EMC 및 유출부하량 산정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속도로의 경우, 높은 포장율과 많은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하여 건조기간 동안 오염물질들의 축적이 높은 지역이며, 강우시 집중적으로 인근 수계로 유입되기에 비점오염원 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토지이용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비점오염원에 관한 기초 연구가 미흡하여 고속도로 등을 포함한 각종 토지이용에서의 비점오염원에 관한 기초 자료의 부족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5개의 고속도로 지점에서 모니터링이 수행되었으며, 각 지점별 자동 유량 및 강우량 측정계를 설치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니터링 자료는 고속도로에서의 비점오염물질 EMC 및 부하량 산정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EMC에 관한 95% 신뢰구간을 살펴보면, TSS의 경우 45.52-125.76 mg/L, COD는 52.04-95.48 mg/L, TN은 1.77-4.48 mg/L 그리고 TP의 경우 0.29-0.54 mg/L의 범위로 나타났다. 부하량에 관한 95% 확신범위는 TSS가 $712.7-2,418.4mg/m^2$의 범위를 보였으며, COD의 경우 $684.1-1,779.6mg/m^2$의 범위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이형, 강주현(2004) 강우 시 발생하는 고속도로 유출수의 초기 우수 특성 및 기준,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0권 6호, pp. 641-646
  2. 김이형, 이선하(2005) 주차장 및 교량강우유출수의 중금속 오염 물질 특성과 동적 EMCs,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1권 4호, pp. 385-392
  3. 환경부(2004) 관계부처합동 물관리 종합대책의 추진강화를 위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4. Barrett, M.E., Irish, Jr.L.B., Malina, Jr.J.F., and Charbeneau, R.J. (1998) Characterization of highway runoff in austin, texas, area, J.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4, No.2, pp. 131-137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8)124:2(131)
  5. Becher, K.D., Schnoebelen, D.J., and Akers, K.K.B. (2000) Nutrients discharged to the mississippi river from eastern iowa watershed, 1996-1997, J.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 Vol. 36, No. 1, pp. 161-173
  6. Charbeneau, R.J., and Barrett, M.E. (1998) Evaluation of methods for estimating storm water pollutant loads, J. of Water Environmental Research, Vol. 70, No.7, pp. 1295-1302 https://doi.org/10.2175/106143098X123679
  7. Deletic, A.B., and Mahsimivic, C.T. (1998)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actors in storm runoff from paved areas, J.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4, No. 9, pp. 869-879 https://doi.org/10.1061/(ASCE)0733-9372(1998)124:9(869)
  8. Kim, L.-H. (2003) Determination of event mean concentrations and first flush criteria in urban runoff,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8, No.4, pp. 163-176 https://doi.org/10.4491/eer.2003.8.4.163
  9. Kim, L.-H., Kayhanian, M., and Stenstrom, M.K. (2004) Event mean concentration and loading of litter from highways during storm,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Vol. 330, pp. 101-113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04.02.012
  10. Sansalone, J.J., and Bushberger, S.G. (1997) Characterization of solid and metal element distributions in urban highway storm-water, Wat. Sci. & Tec., Vol. 36, pp. 155-160
  11. SYSTAT version 9.0 for windows, SPSS Inc
  12. Ujevic, I., Odzak, N., and Baric, A. (2000) Trace metal accumulation in different grain size fractions of the sediments from a semi-enclosed bay heavily contaminated by urban and industrial wastewaters, Water Res., Vol. 34, pp. 3055-3061 https://doi.org/10.1016/S0043-1354(99)00376-0
  13. U.S. EPA (1994) Nonpoint sources pollution control program, U.S. EPA, Report 841-F94-005,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