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유

Search Result 48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velopment of Hydrocarbon Oil Detection Sensor using the Swelling Property of Silicone Rubber (기름에 대한 실리콘의 부피 변화 성질을 이용한 유출유 탐지 센서 개발)

  • Oh, Sang-Woo;Lee, Moon-Jin;Choi, Hyeuk-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4 no.4
    • /
    • pp.280-286
    • /
    • 2011
  • In this research, the oil detection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 of sensor using the selective reaction of silicone rubber in response to hydrocarbon oil will be described. As a sensing principle, the swelling property of silicone rubber in response to hydrocarbon fuel is used, also a strain gauge is used to transduce the volume change to an electrical signal. The sensor core is manufactured with a strain gauge embedded in silicone rubber by the curing process and experiments for characteristics of sensor core with various oils were carried out. It is shown that the sensor core can be used as an oil spill detection sensor. Also, for the application to the sea area, a buoy type sensor platform is integrated with a sensor core and a strain amplifier and it is tested in the simulated oil spill condition. In this study, it is proven that the integrated sensor can be used for the detection of various oils.

개인정보 유.노출 등의 통지 관련 국내외 법제 현황

  • Byun, Soon-Joung;Lee, Gang-Shin;Park, Kwang-Jin
    • Review of KIISC
    • /
    • v.18 no.6
    • /
    • pp.35-42
    • /
    • 2008
  • 최근 개인정보 유 노출 사건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개인정보를 수집 이용하는 기업들의 개인정보 유 노출에 대한 대응 행태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이 급속히 발달함에 따라, 유 노출된 개인정보가 야기할 수 있는 피해의 정도가 점점 커지고 있지만, 정작 해당 기업들은 회사 이미지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대응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많은 사업자들의 개인정보가 해킹으로 100만건 이상 유출된 바 있지만, 이들 사업자 중 유출 사실을 고객에게 통지한 기업은 전무하였다. 금년 8월,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러한 세계적 트랜드에 발 맞추어 개정 정보통신망법(안)에 개인정보 노출사고 발생 시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노출된 정보, 노출시점 및 대처방법 등을 이용자에게 통지하고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하도록 의무화하는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미 미국은 거의 모든 주(州)가 이러한 유 노출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고지하도록 하는 법안을 마련하였으며, 영국, 캐나다, 호주 등도 관련 지침을 마련하여 운영 중에 있다. 본 고에서는 개인정보 유 노출과 관련한 국내외 관련 법제 현황에 대해 살펴본다.

Analysis of the Flood Discharge Measurement and Flood Stage Reduction Effect by the Stream Detention Basins (제주도 홍수유량 계측 및 저류지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

  • Kim, Dong-Su;Yang, Sung-Kee;Yu, Kwon-Kyu;Kang, Meoyng-Su;Jung, Woo-Yul;Lee,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0-170
    • /
    • 2012
  • 제주도는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태풍의 증가로 집중호우의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지난 태풍 나리로 인해 발생한 제주시에서의 극심한 재해로 태풍 시 홍수 유량 관측 및 저류지의 건설로 인한 저류효과의 분석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제주대학교 주관의 제주도 물순환 해석 및 수자원 관리체계 구축 사업단은 제주도 환경에 적합한 유량조사기법을 적용 및 개발 중에 있으며 특히 집중 호우 시 유량 계측을 비롯한 제주 유량 자료 확보 방안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제주도 연구단은 지난 여름 태풍 무이파 때 제주시 하천의 제 2동산교에서 다양한 계측 방식을 활용하여 유량관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태풍 무이파는 강한 중형 태풍으로 제주도 산간 지역에 700mm 이상의 집중호우를 보여 제주 하천에 많은 양의 유출을 발생시키고 일부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 홍수 유량의 계측은 지금까지도 최적화된 계측 방식이 확립되지 못했고 그 측정의 어려움과 계측기기의 한계로 봉부자 같은 전통적인 방식의 홍수유량 측정방식이 여전히 통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본 연구단은 최신 관측기법인 비접촉식의 표면영상유속계와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사용하여 전 강우 지속시간 동안 유량을 매 시간마다 관측하여 수문곡선을 완성하여 홍수 유량 계측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었다. 계측 결과 홍수유출 시 한천 상류의 제 1,2 저류지가 가동되어 저류효과가 수문곡선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홍수 유출 시 나타나는 대표적인 특이 경향이 수위-유량곡선의 이격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홍수 유출은 단순히 수위 자료만으로는 부족하고 유속자료를 동시에 관측해야 정확한 계측치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신 계측기기인 표면영상유속계와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유속 관측값의 상호비교도 실시하여 관측기기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Oil Spill Detection Mechanism using Single-wavelength LED and CCD (단일 파장의 LED와 CCD를 이용한 유출유 탐지방법)

  • Oh, Sangwoo;Lee, Moon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5 no.4
    • /
    • pp.323-329
    • /
    • 2012
  • In this study, a new optical method for oil detection using an analysis the light-absorption image of separate oil-water mixture with a LED illumination is described. To obtain an information about the presence of oil on water and the thickness of oil, the intensity of light-absorption images acquired through CCD is analyzed. To select the optimal wavelength of the light source, the experiment is conducted using several LEDs having four different wavelength. In the case of using a blue LED having 465 nm wavelength, an intensity decreasing tendency of light-absorption image is obvious and clear.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sensing system at the real sea condition, experiments are conducted as varying the brightness and water surface angle. Through this research, new optical oil detection methodology is proposed using the absorption difference between water and oil with single-wavelength LED and CCD.

Empirical experiment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formula for time of concentration (홍수도달시간 산정식 적용성 개선을 위한 실증실험)

  • Keum, Ho Jun;Ko, Taekjo;Joo, Jaeseung;Kim, Yerim;Jung, D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23-123
    • /
    • 2021
  • 도시하천유역이나 복합유역 등 지역적 성향을 고려한 도달시간 산정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미흡한 실정이다. 소규모 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할 경우 유하시간보다 유입시간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유하시간만을 고려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할 때, 소규모 유역의 경우 하도가 없고 유역면적이 5km2 내외 또는 하도의 저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우 도달시간이 짧아 홍수량이 과대 산정된다. 이를 극복하고자 재해영향성평가등의 협의 실무지침에서는 도달시간 이외에 매개변수인 저류상수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왜곡한다는 근복적인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중·대규모 하천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홍수 도달시간 산정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입시간이 지배적인 소규모 복합유역에 적용 가능한 도달시간 산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증실험을 통해 기존 유입시간 산정식을 개선하고, 도시수문 모니터링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정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홍수도달 시간 측정을 위한 강우유출 실내 실험장치를 제작하였다. 실험장치는 본체(길이3m×폭1.2m×높이0.8m)와 경사조절 장치(0~15도)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 전면부를 타공(ø10mm)하고 상·하단에서 지표와 기저유출을 집수하여 티핑버킷으로 유량을 측정하였고, 토체 내에는 토양수분센서를 설치하여 강우유출 발생시간 동안 토양수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흐름인 유하시간(Kraven 공식)을 계산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기 보다 지표면 흐름인 유입시간(Kerby 공식)에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도달시간을 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불투수 면적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도달시간은 감소하고, 불투수 유역이 하류에 위치할수록 유출발생시간이 빨라졌다. 실증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수문 모니터링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기존 유하시간과 저류상수를 보정하는 도달시간 산정방식(연속형 Kraven)과 유입시간을 보정한 도달시간 산정(수정 Kerby)으로 도출된 유출량을 실측 유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홍수도달시간 산정식에서 모의된 홍수량이 기존 방식과 유사하거나 우수한 첨두홍수량을 보였으며, 설계자 임의성이 배제된 일관성있는 해석값을 제시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vention Technologie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IMO action in Arctic Ice-covered Waters (극지해역에서의 환경오염 방지 기술 및 IMO 동향)

  • Kang, Jae-Sung;Kim, Ki-Pyoung;Kang, Ho-Keun;Kim, Dae-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6a
    • /
    • pp.237-239
    • /
    • 2011
  • 최근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는 "극지를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안전기준(Polar Code)"를 제정하여 결정하기로 하였으며, 2012년까지 완료하여 법제화하기로 하였다. 이는 최근의 극해 지역의 연속적인 사고의 심각성에 대한 대비책의 일환이다. 2004년도에 알라스카 앞바다에 침몰한 Selendang Ayu 는 6600만 톤의 콩, 170만 리터의 연료유와 55,564 리터의 MDO 및 다른 오염물질을 바다에 유출하였다. 이는 주변의 동물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쳤고, 아직까지도 유출되어진 오염물질들을 완전히 처리하지 못한 상태이다(Arctic marine shipping assessment, Arctic council 2009.). 즉, 기름이 유출을 하면 방재시설이 다른 육상에서 오기 전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사고 지역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며, 유빙이나 극한의 온도는 방재 작업을 더욱 힘들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극해와 같은 해역에서 기름이 유출 하였을 때에 대응하는 방법, 즉 현존하는 기계적인 복구 방식, 점화식 처리 방식 과 유처리제 방식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국제규정 및 기술 발전 동향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PDF

A Study on the Pollution Risk Assessment of Oil Spill Accidents (해양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Moon-Jin;Kim, Hye-Jin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3 no.1
    • /
    • pp.24-3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ssessment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the pollution risk by oil spill accidents. Various oil spill patterns were calculated based on past accidents in the study area and thes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n the risk probability, the oil arrival time, risk range, and so on were calculated. These calculations were performed for sub area sectors, fisheries and aquaculture farms, based on information about environmentally sensitive resources. Finally, the risk to each sub area sector was assess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results. These consequences indicated the objective and general risks of oil spill accidents and the result of this method will be made more appropriate by integrating real time risk prediction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Retention Time in Grassed Swale (식생수로에서 유하시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 분석)

  • Paek, Seoungbong;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3
    • /
    • pp.303-310
    • /
    • 2015
  • Recently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gives priority to management the point source. Point pollution sources have definite emission points and are discharged to one point through a pipe. But Nonpoint pollution source (NPS) has uncertain pathway, pollutant load and runoff characteristics unlike point pollution sources, making them difficult to manage. Thus, the Korea government plans to develop and equip facilities that help reduce NPS so as to manage them more easily. But removal efficiency of Best Management Practice (BMPs) is in influenced by rainfall, hydrologic condition like natural phenomenon, so factors of removal efficiency are difficult. Thus there is a need for multilateral research about many factors that affect removal efficiency for removal facility design of proper non-point pollution. In this research, mapping, vegetation coverage and retention time were investigated in the case of factors that affect removal efficiency in grassed swale, a nature-type non-point removal facility. Grassed swale obtained changed of coverage using Braun-Blanquet within swale and retention time was obtained from point that rainfall effluent enters into swale to the time that first outflow starts. Besides, correlation analysis was obtain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removal efficiency increases as retention time is longer in grassed swale and that retention time increases as vegetation coverage is higher.

Comparison of rainfall-based and model-bsed runoff ensemble members (강우기반 유출앙상블과 모형기반 유출앙상블의 비교 및 평가)

  • Kang, Minseok;Na, Wooyoung;Kim, Gild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28-32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강우앙상블 멤버를 입력자료로 한 강우기반 유출앙상블 멤버와 관측 강우자료를 입력자료로 한 모형기반 유출앙상블 멤버를 생성하고 각 유출앙상블 멤버의 정확도를 비교·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앙상블 멤버 생성을 위해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강우장 이동 모의에 필요한 모의 격자망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최근 10년 동안 발생한 37개 호우사상의 관측자료를 토대로 격자별 특성방향을 결정하고 특성방향의 통계치로부터 유도된 베타분포를 기반으로 강우앙상블 멤버를 생성하였다. 유출앙상블 멤버는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구로1 빗물펌프장 배수유역을 대상으로 shot noise process 기반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강우-유출모형 매개변수의 난수 생성을 위해서 감마분포를 이용하였다. 2017년과 2018년 발생한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강우기반 및 모형기반 유출앙상블을 생성한 결과, 강우의 방향성을 조정하여 생성한 강우기반 유출앙상블의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