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역

Search Result 74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haracteristics of the Rainfall-Runoff and Groundwater Level Change at Milbot Bog located in Mt.Cheonseong (천성산 밀밭늪의 강우 유출 및 지하수위 변동 특성)

  • Jung, Yu-Gyeong;Lee, Sang-Won;Lee, Heo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9 no.4
    • /
    • pp.559-567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and rainfall hydrological runoff processes caused by tunnel construction at Milbot bog located in Mt. Cheonseong.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04 to May 2008.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occurrence time of the direct runoff caused by unit rainfall at the Milbot bog were tended to be slower than those at general mountainous basin. Also, runoff did not sensitively respond to amount of rainfall at the most of the long and short term hydrograph. The annual runoff rates from 2004 to 2008 were 0.26, 0.13, 0.16, 0.25 and 0.27, respectively, slightly increased after 2005 regardless of the tunnel construction. Thus, the function of Milbot bog will be weakened, and it supposed to be changed to land in the future because of increasing annual runoff. The annual runoff rate for 4 years was 0.19, which is grea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mountainous basin. The recession coefficient of the direct runoff in short term hydrograph was ranged to 0.89~0.97, which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general mountainous basin, 0.2~0.8. The recession coefficient of base flow ranged from 0.93 to 0.99, which are similar to general mountainous watershed's values. Groundwater level of Milbot bog increased or decreased in proportion to rainfall intensity, and in the descending time after the groundwater level was reached at peak point, it tends to be decreased very slowly. Also, groundwater level increased or decreased maintaining relatively high value after precedent rainfall. Groundwater level was highest during summer with heavy rainfall, but was lowest during winter. Average groundwater levels decreased annually from 2004 to 2008, -8.48 cm, -14.60 cm, -20.46 cm, -20.11 cm, -28.59 cm, respectively. Therefore, it seems that the Milbot bog is becoming dry and losing its function as a bog.

Interaction betwee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지하수와 하천수의 교류량)

  • Bae, Sang-Keun;Lee, Seu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9
    • /
    • pp.919-927
    • /
    • 2008
  • Flow exchanges between stream and groundwater are assessed on urban streams in Daegu, Korea. Two rivers and 25 streams with the total length of 240 km run through the study area. The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was estimated using Darcy's method.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basin into 16 smaller watersheds, and for comparison purposes. Groundwater level, surface water level, hydraulic conductivity, thickness of aquif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well and the nearest stream were used for quantifying the interaction. To investigations the groundwater interaction in the watersheds, the amount of effluent seepage from groundwater to the stream, the amount of influent seepage from the stream to groundwater, and the amount of annual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were computed. The total amount of effluent seepage from the groundwater to stream in the basin was approximately $72{\times}10^6m^3/year$. The total amount of influent seepage from the stream to groundwater was approximately $35{\times}10^6m^3/year$. It appeared that the total amount of annual interaction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was approximately $108{\times}10^6m^3/year$ and the total groundwater flow balance was approximately $37{\times}10^6m^3/year$. The annual amount of interaction between the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was the largest in the Goryung Bridge Basin($29{\times}10^6m^3/year$) and the least in the Dalchang Dam Basin($0.2{\times}10^6m^3/year$). The results show that flow exchanges between stream and groundwater are very active a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maller watersheds. Fin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vestigate to more precisely understand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 urban areas.

Comparison of Algal Growth Kinetics using Reclaimed Wastewaters from Various Treatment Processes (다양한 수질정화 공정 별 하수처리수 재이용수의 조류성장 비교)

  • Joo, Jin-Chul;Seo, Sou-Hyun;Song, Ho-Myeon;Kim, Il-Ho;Ahn, Chang-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9-309
    • /
    • 2011
  • 지구온난화와 도시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연의 생태적 기능을 복원하고 환경에 대한 오염부하를 저감하여 도시 환경의 건강성과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도심 내 물순환시스템(urban water circulating system)의 구축이 요구된다. 즉, 물순환시스템을 활용하여 도심 내 다양한 수원(생태하천/호수 유지용수, 하수처리수, 우수, 지하수 등)을 네트워크 및 통합 관리하여 도시 내 물순환의 건전성과 수자원의 재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중 발생량이 일정하고 막대한(66.4억톤/년, 2009년 기준) 하수처리수 방류수는 고도처리를 통해 수질이 양호하며 안정적인 대체 수자원으로 고려된다. 또한,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은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총량 삭감 및 상수사용량의 절감과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면에서 최근 재이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도심 내 친수공간(생태하천/호수)은 저류수량에 비해 유입수량이 적어 체류시간이 비교적 장시간이고, 이로 인해 부영양화가 쉽게 발생해 수질이 악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를 도심 내 친수공간의 유지용수로 활용 시, 수질정화공정(응집 후 여과, 응집 후 여과+한외여과, 응집 후 여과+한외여과+역삼투 공정)이 친수공간 내 조류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하수처리수 재이용수 pilot plant의 수질정화공정별 유출수를 활용해 M. aeruginosa를 시험조류로 조류성장(growth kinetics)을 조사하였다. 조류는 $5\times104$ cells/mL의 초기 농도로 접종하여 배양하였으며, 조류성장에 직접적인 제한인자인 용존반응성인의 농도에 따른 성장속도를 Monod와 변형 Monod Kinetics를 이용해 반포화상수(Ks)와 최대 성장속도(${\mu}$max)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역삼투 공정을 제외한 다른 수질정화공정은 비록 영양염류가 80~90% 이상 제거되어 수계의 화학적 성상이 변하였으나 조류성장역학의 변화는 통계학적 (p=0.05)으로 유의할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2주 이상이 될 경우, 역삼투 공정을 제외한 수질정화공정 별 유출수에서는 조류의 과다성장으로 인해 부영양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론적으로 하수처리수 재이용수를 친수용수로 활용시, 조류성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존반응성인의 농도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수질정화공정 및 유지용수 공급방안을 고려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racing Source and Concentration of Riverine Organic Carbon Transporting from Tamjin River to Gangjin Bay, Korea (탐진강-강진만의 댐하류 열린하구 시스템에서 유기탄소의 조성 및 기원 변화 연구)

  • Park, Hyung-Geun;Kang, Dong-Won;Shin, Kyung-Hoon;Ock, Giyo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0 no.4
    • /
    • pp.422-431
    • /
    • 2017
  • The biogeochemical information of riverine organic matter gives a detailed and integrated recording of natural and anthropogenic activity within a watersh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quality and quantity of organic carbon transporting from mountain to ocean via river channels, we estimated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DOC)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then traced the source origin of POC using stable carbon isotopes ratio before and after summer rainfalls in the Tamjin River and Ganjin Bay, Korea. Along the small watershed, a total of 13 sites including headwaters, dam reservoir, river and estuary were established for the study. We found some interesting findings in the aspect of distribution of DOC/POC concentration changing their origin sources dynamically flowing downstream. In particular, the river channel transport downstream mainly DOC to river mouth, although upper dam reservoir increased POC concentration by phytoplankton production in summer. Whereas, in the river mouth and estuary, POC was dominated not only by local supply from nearby reed saltmarsh, but also by marine phytoplankton production, respectively. The findings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riverine organic carbon transport in upper large dam and lower open estuary system.

Water Reuse of Sewage Discharge Water Using Fertilizer Drawn Forward Osmosis -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Draw Solution - (비료 유도용액의 정삼투를 이용한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 유도용액의 성능 평가 -)

  • Kim, Seung-Geon;Lee, Ho-Won
    • Membrane Journal
    • /
    • v.26 no.2
    • /
    • pp.108-115
    • /
    • 2016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raw solutions in the water reuse of sewage discharge water using fertilizer drawn forward osmosis. Feed water used in all experiments was the effluent from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in activated sludge process. Considering osmotic pressure, solubility, and pH, $NH_4H_2PO_4$, KCl, $KNO_3$, $NH_4Cl$, $(NH_4)_2HPO_4$, $NH_4NO_3$, $NH_4HCO_3$, and $KHCO_3$ were screened from a comprehensive lists of fertilizer. Their performanc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water permeate flux and reverse solute flux. KCl showed the highest average water flux followed by $NH_4Cl$, $NH_4NO_3$, $KNO_3$, $KHCO_3$, $NH_4HCO_3$, $NH_4H_2PO_4$, and $(NH_4)_2HPO_4$. Using KCl as draw solution, the average water permeate flux was 13.49 LMH.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osmotic pressure between the effluent from secondary sedimentation tank and deionized water. $NH_4H_2PO_4$ showed the lowest reverse solute flux followed by $NH_4Cl$, $(NH_4)_2HPO_4$, $KNO_3$, $NH_4HCO_3$, and $NH_4NO_3$. Using $NH_4H_2PO_4$ as draw solution, the reverse solute flux was $4.96{\times}10^{-3}mmol/m^2{\cdot}sec$.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city Using MODSIM-DSS Coupled with SWAT (SWAT과 MODSIM-DSS 모형을 연계한 금강유역의 농업용수 공급능력 평가)

  • Ahn, So Ra;Park, Geun Ae;Kim, Seong 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2
    • /
    • pp.507-519
    • /
    • 2013
  • This study is to evaluate agricultural water supply capacity in Geum river basin (9,865 $km^2$), one of the 5 big river basin of South Korea using MODSIM-DSS (MODified SIMyld-Decision Support System) model. The model is a generalized river basin decision support system and network flow model developed at Colorado State University designed specifically to meet the growing demands and pressures on river basin management. The model was established by dividing the basin into 14 subbasins and the irrigation facilities viz. agricultural reservoirs, pumping stations, diversions, culverts and groundwater wells were grouped and networked within each subbasin and networked between subbasins including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supplies. To prepare the inflows to agricultural reservoirs and multipurpose dams,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was calibrated using 6 years (2005-2010) observed dam inflow and storage data. By MODSIM run for 8 years from 2004 to 2011, the agricultural water shortage had occurred during the drought years of 2006, 2008, and 2009. The agricultural water shortage could be calculated as 282 $10^6m^3$, 286 $10^6m^3$, and 329 $10^6m^3$ respectively.

Spatial-Temporal Analysis of Flow and Suspended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Soyang River Basin using SWAT (SWAT 모형을 이용한 소양강 유역의 유출 및 부유사량 시공간 분석)

  • Kim, Jeong-Kon;Son, Kyong-Ho;Kim, Ik-Jae;Park, B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35-4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집중호우로 인해 탁수문제가 심각한 소양강 유역의 효과적인 탁수 관리를 위한 SWAT 모형 구축 및 유역의 시공간 토사유실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보정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부유사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조항천, 영실천/북천 상류, 인북천 상류 유역(서쪽) 등에서 연간 10톤/ha이 상의 부유사가 발생하여 소양강댐 유역에서의 탁수유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론천, 자운천 등은 연간 6톤/ha이상의 부유사 발생이 예측되었다. 특히 내린천의 최상류 두 유역인 조항천과 주운천 유역에서 발생하는 부유사는 소양강 전체 유역에서 발생하는 부유사의 1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유역들에 대한 토사유실 저감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유역에서 발생하는 부유사량의 시간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댐 유입부에 유입되는 부유사량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최근 6년간 발생한 부유사량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3년에 최고 약 1,200,000톤이 댐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5년도에 최저 40,000톤이 유입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각 소유역별로 탁수를 유발하는 토사 유실량 평가, 유역의 토사유실 저감대책 효과분석 및 저수지 모형과의 연계를 통한 유입된 탁수의 효율적인 관리 대책 수립에 이용될 것이다.

  • PDF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XP-SWMM in the coastal Urban Area (XP-SWMM을 이용한 해안 도시지역 침수해석)

  • Mun, Myung-Jin;Kim, Ji-Hyeon;Lee, Nam-Joo;Kim, T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97-98
    • /
    • 2013
  •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해안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원인 및 면적을 XP-SWM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해안과 인접한 지역이며, 유역의 면적은 $2.74km^2$이고 관로의 총연장은 11.20km이다. 대상지역을 32개의 소유역과 67개의 하수관로로 XP-SWMM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한 강우분석을 수행하여 2년, 5년, 10년, 20년, 30년, 50년 빈도의 강우량을 결정하였으며, 각 빈도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조위조건을 반영한 침수해석을 수행하였다. 우수관거시스템과 연계된 TUFLOW 흐름모형을 이용하여 침수범람지역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모든 빈도에 대하여 내수침수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도별로 최대침수심은 0.485~0.673m, 침수면적은 $88,600{\sim}230,700m^2$로 예측되었다. 대상유역의 침수발생 양상은 하수관로의 유량이 맨홀을 통해 지표면으로 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 지역의 하류로 침수범위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상류에 위치한 소유역의 우수 유출량을 집수하는 집수정의 용량과 하류로 유하시키는 우수관로의 통수단면이 부족한 것을 주요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 PDF

Improvement of Hydrologic Flood Forecasting Model for Flood Forecasting System in the Sapgyocheon (삽교천홍수예보시스템의 수문학적 홍수예측모형 개선)

  • Yeo, Kyu-Dong;Song, Jae-Hyun;Yoon, Kwang-Seok;HwangBo,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45-349
    • /
    • 2007
  • 삽교천 홍수예보시스템은 1999년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나, 개발 이후 유역특성의 변화를 반영한 모형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삽교천 하구둑의 영향을 고려한 모형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지역 중에서 특히 천안/아산지역은 급격한 인구증가와 산업화 및 도시화에 의해 면적당 자산의 고도화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홍수시 피해잠재능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홍수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삽교천 유역내 수위관측소 증설에 따른 소유역을 재분할하여 유역특성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모형을 재구축하였다. 따라서, 삽교천유역에 신설 및 T/M화된 수문관측소에 대한 소유역 분할과 저류함수법을 이용하기 위한 저류상수를 산정하기위해 기존의 일반 종이지도로 제작된 지형도(1:50,000), 녹지자연도, 지질도, 개략토양도 등을 이용하는 대신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저류상수를 산정하였다. 변화된 유역 조건을 가지고 삽교천 유역의 전체 유역 및 하도유출계산을 수행한 후, 측정 결과가 있는 지점의 수문곡선과 비교하여 모형상수가 적절히 산정되었는지 검토하고, 개선된 모형상수를 제시하였다. 또한 홍수예보지점인 원평지점의 선행예보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원평지점 상류의 예당저수지 방류량과 원평지점 수위간의 통계학적모형을 구축하였고, 2시간 이상의 선행예보시간을 확보하였다.

  • PDF

Yoencheon Dam Failure Simulation Using the DAMBRK (DAMBRK를 이용한 연천댐 파괴 모의)

  • Jang, Suk-Hwan;Sung, Ha-Seoung;Park, S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57-1761
    • /
    • 2007
  • 이 연구는 1999년 7월 31일부터 8월 3일까지 경기도 북부지방의 임진강 전유역에 걸쳐 내린 집중호우로 발생한 연천댐 일부 유실에 따른 사고에 대해 댐파괴를 모의하였다. 댐지점의 홍수량 분석은 HEC-HMS모형을 사용하여 한탄강 유역을 15개의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분석하였고 댐유출량 산정은 FLDWAV모형의 DAMBRK모듈을 사용해 모의하였다. 댐파괴 홍수량에 의해 발생되어지는 홍수파 해석은 HEC-RAS모형을 구축하여 모의하였다. HEC-RAS모형의 검증은 1999년 7월 31일부터 8월 2일 까지 한탄강수계 내 전곡수위표에서 관측된 관측수위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분석은 댐이 없는 자연상태(Case1)와 댐이 있는 경우 (Case2) 그리고 댐파괴된 경우(Case3) 세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천댐 지점의 첨두 홍수량은 Case1의 경우 $10,324m^3/sec$, Case2의 경우 $10,117m^3/sec$, Case3의 경우 $11,485m^3/sec$로 모의 되었고 이때의 관측수위는 각각 EL.43.59m, EL.43.38m, EL.44.03m였다. 댐이 있는 경우와 댐파괴된 경우를 비교 하였을때 첨두 홍수량은 $1368m^3/sec$증가하였고 수위상승은 0.65m였다. 댐이 없는 자연상태와 댐파괴된 경우를 비교 하였을땐 첨두 홍수량은 $1161m^3/sec$증가하였고 수위상승은 0.65m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