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출수량

검색결과 407건 처리시간 0.027초

Initial Operating Condition of Membrane Bioreactor with PVDF Hollow Fiber and Permeate Reuse (PVDF 중공사막을 이용한 막생물반응기의 초기 운전조건 설정 및 여과수 재활용)

  • Shin, Choon-Hwan;Kang, Dong-Hyo;Park, Hae-Sik;Cho, Hyun-Kil
    • Clean 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39-45
    • /
    • 2010
  • In this paper, 4 bundle modules of PVDF hollow fiber membrane from Woori Tech company (Korea) were manufactured in a treatment capacity of 10 ton/day. A membrane bioreactor (MBR) pilot plant was installed at Sooyou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Busan. An alternating aeration process was selected to avoid the concentration profile of suspended solid (SS) in the MBR. For stable operation, raw wastewater with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MLSS) of about 1,000 ppm, which was in-flowed from the aeration tank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was fed and filtered through the pilot plant. Subsequently the pilot plant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washing water: once with ethanol solution, once with a solution of 5% NaOCl, and finally with washing water. After the chemical washing, the remaining water in the MBR was fed into the pilot plant. As a result, the SS removal efficiency was found to be more than 99.9%. The amount of filtrate with the aeration tank influent decreased by 16%, compared with that from the initial conditions, giving rise to 30% increase in the suction pressure. These results were used to set up continuous operation conditions. The results from the continuous operation with influent MLSS of 1,900 mg/L showed that the SS removal efficiency was about 99.99% and that the amount of filtrate and the suction pressure were $42{\sim}52L/m^2$ and 16~20 cmHg, respectively, indicating stable operation of the pilot plant. However, for the reuse of wastewater, methods need to be sought to avoid growth of algae which affects the SS removal efficiency at inlet and outlet of the permeate tank.

The Analysis of Potential Discharge to Supply the Stream Water Discharge in Paldang Dam by Dam Operation (댐 운용을 통한 팔당댐의 하천용수 공급가능량 분석)

  • Choi, Gye-Woon;Kim, Young-Kyu;Ham, Myeong-Soo;Hwang, Young-M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제8권6호
    • /
    • pp.121-128
    • /
    • 2008
  • Instream flows are defined as the stream flows needed to protect and preserve instream resources and values. They are supplied by the essential discharge for maintaining the channel. However, due to the lack of precipitation during the dry season, which is usually between the months of January and April, natural flows are not enough for the instream flows, thus leaving the dams at a shortage. In this paper, the method which will be discussed will show a physical way to improve water quality by the dilution of water that is supplied from a reservoir or dam, and how it is analyzed at the Han River basin. For the sake of this analysis, the basin has been divided into 33 catchments. Each catchment's natural flow has been simulated by SWAT-K, and the future water demand has been estimated using statistical data. It has also been assumed that the Han River basin has two large reservoirs(Chung-ju dam, and So-yang dam). The supply of potential discharge has been calculated using a case of water separately from each dam, as well as supply water from both dams.

A Study of the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ervoir by Numerical Three Dimensional Flow Model (3차원 흐름모델을 이용한 지하저수지의 관리에 대한 연구)

  • 신방웅;김희성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제5권3호
    • /
    • pp.289-300
    • /
    • 1995
  • At the initial stage of the underground reservoir design one should thoroughly consider surface and subsurface hydrology, hydrogeologic characteristics of aquifer system, and the function of cut - off wall because it is linked to the effective management. In this study, three 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model was applied to analyse the function of Ian underground reservoir at Kyungbuk Province. The steady and unsteady state conditions after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dam were simulated through the model, and from these results the groundwater budget and the safe yield were determined. The model simulation indicates the infiltration of irrigation water to be one of the major factors of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The recharge rates of irrigation water were estimated as 4.3mm/d during May and June, and 1.7mm/d during July and Agust. Groundwater recharge from the watershed area estimated to about $0.04m^3/s$, almost consistent through the year. In 1984, groundwater discharge through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dam was $0.002m^3/s$ and the optimum yield for two momths(July and Aguest)was $254000m^3$, however, the discharge became $0.013m^3/s$ in1993, implying the failure of cut -off function. without appropaiate of the cut - off wall, optiumum yield during the irrigaton period would be $93, 000m^3$.

  • PDF

Aquatic Plant Restortaion by Mattress/Filter System in Stagnant Stream Channel (정체수역에서의 Mattress/Filter에 의한 수생식물 복원)

  • Yeo Woon Ki;Cho Seung Ho;Jee Hong 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93-1397
    • /
    • 2005
  • 홍수유출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유역의 저류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댐 건설은 이수적인 측면에서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보장해주는 수단으로 겸용되어 왔으며, 특히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하도의 첨두홍수유출량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해 왔다. 하지만 그로 인해 물의 흐름이 막히는 정체수역이 증가하고 있으며, 생활오수, 산업폐수의 발생은 정체수역에서의 영양염류 부하량을 증가시켜 부영양화를 초래하고 있다. 수생식물은 태양빛을 받아 광합성 작용을 하여 수중에서 성장하면서 수중의 유$\cdot$무기물질을 영양소로 섭취함으로써 수질을 정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영양염류 부하량이 큰 정체수역의 오염된 물은 식물의 성장활동에 의해서 어느 정도 정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중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해서는 식물이 하상에 쉽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번식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ttress/Filter를 정체수역에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식물의 성장과 번식을 도와줄 수 있는 환경조건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Mattress에 식재한 갈대, 줄 및 애기부들의 피도는 $60-80\%$ 정도로 나타났다. 각 Mattress의 식물군집에는 초기 식재한 식물의 우점도가 가장 높았으나 갈대와 줄 군락의 경우 다른 종이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대 군락에서는 갈대가 크게 우점하였으나 그 외에 돌피, 하늘지기, 여뀌바늘 등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줄 군락에서는 역시 줄이 크게 우점하였으나 방동사니, 돌피, 조개풀 등이 출현하였다. 애기부들 군락에서는 애기부들외에 세모고랭이와 미국가막사리 두가지 종만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갈대와 줄 군락의 출현 종수는 각각 7과 11이었으며, 다양도지수가 1.67, 2.18로 식물다양성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은 BOD 10mg/L, TN 15mg/L, TP 2.0mg/L이하로 이를 유등천 상류부에 공급할 경우 유등천의 수질은 BOD 6.7mg/L, TN 9.80mg/L, TP 0.90mg/L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된다. 고도처리시설의 도입 후 금강 합류점에서 갑천의 예측 BOD는 7.4mg/L로 현재 9.0mg/L에 비하여 개선되지만 이는 금강수계 오염총량 관리계획의 시$\cdot$도 경계지점 목표수질인 5.9mg/L를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방류수 BOD 7.2mg/L이하로 처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which support only concepts or image features.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 PDF

Analysis on the Discharge Capacity Improvement of the Lock Gate Type by Using the 3-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배수갑문의 형상변화에 따른 방류능력 개선효과 분석)

  • Lee Jong Hyun;Lee Kil Seong;Kim Dae Geun;Choi Wo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58-1062
    • /
    • 2005
  • 통상 방조제 배수갑문의 방류능력은 위어공식 또는 오리피스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하는데, 이 경우 지형특성, 배수갑문 형상에 따른 흐름의 간섭현상, 유입부와 유출부의 형상 등이 방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류벽, 배수문, 물받이 등 방조제 배수갑문의 형상과 배치가 방류량에 미치는 영향을 상용 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배수갑문의 방류능력과 유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화조력발전소를 대상으로 배수갑문의 방류능력 개선에 3차원 수치모의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유출부측의 물받이길이를 40 m 증가시킴에 따라 전체 방류량은 계획안에 비해 약 $1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받이 끝과 원지반의 연결부 사면을 1:1에서 1:5의 완경사로 변화시킴에 따라 전체 방류량은 약 $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수문과 수차발전 구조물 사이의 유선형 연결구조물을 제거함에 따라 전체 방류량은 약 $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도류벽의 접근각도를 $10^{\circ}$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킴에 따라 전체 방류량은 약 $5\%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배수갑문의 설계시 방류능력 개선을 위해서는 수리학적 검토가 필요하며 수치모형실험이 수리모형실험과 더불어 유용한 해석도구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인 것으로, 이후 관련 구조물의 설계시 참고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다. 실험 결과, Escarameia와 May가 제안한 공식을 더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험 공식으로 개선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

  • PDF

A Cause Analysis on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for the Cheongdocheon (청도천의 건천화 원인분석)

  • Lee, Sang-Ho;Park, Jong-Pyo;Lee, Jung-Min;Cho, Hyo-Seob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제36권6호
    • /
    • pp.1069-1082
    • /
    • 2003
  • The Cheongdocheon has the reaches under reduction of stream flow. We analysed the cause of the reduction.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for agricultural water use. We also compared the discharge measurements with the results from the continuous simulation of watershed runoff The satellite image was a tool to find some reaches of stream flow reduction under doubt. Agricultural reservoirs block up the stream and water does not flow over the reservoirs except by storm. They also discharge water through diversion channels and the water diverted does not flow through the natural stream. Farmers directly take water from the stream by weirs. The infiltration gallery of water below the stream ground makes the reach dryness perfect in Kamakchon. These are causes of the stream flow reduction. The discharge measurements are less than the simulation results of watershed runoff, and we guess that the reaches investigated have dried. We found the reaches of stream flow reduction that were under doubt from some KOMPSAT satellite images with the resolution of 6.6 m. Then, we confirmed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by a field investigation. All the above reaches have infiltration galleries of water below the stream ground. The research results are a case study on the cause analysis on the reduction of stream flow. One can obtain the KOMPSAT image for a low price and can get prior information to find the doubtful reach of stream flow reduction.

A Sensitivity Analysis of Cell Size on a Distributed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분산형 비점오염원 모델에서 단위유역 크기의 민감도 분석)

  • Bae, In-Hee;Park, Jung-Eun;Park, Seok-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제27권9호
    • /
    • pp.952-957
    • /
    • 2005
  • A sensitivity analys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ell size on a distributed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The model, AnnAGNPS, whiff is a modified version of USDA's AGNPS, was applied to Eung stream watershed, a tributary of Cheongmi stream located in the South Branch of Han River System. The model components and results, such as channel length, slope, land use, and delivery ratio,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various cell sizes from 10 to 200 ha. As cell sire increases, channel length decreases due to short-circuiting of meandering creek. The decreased channel length has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model results than any other geomorphological change. When the effects of land use and soil distribution are excluded, sediment delivery loads increase due to shorter time to reach the outlet of the watershed in larger tell size. When those effects are included, however, sediment delivery loads decrease in larger fell size because the variety of land use types can not be inputted. The predominant land use in the applied watershed is forest with very low soil erosion such that the predicted sediment delivery might be much lower than real system. The cell size of 30 ha was determined to produce the most appropriate resolution. Surface runoff and non-point source loads of TN, TP and BOD were predicted and the results agree well with the field measurements. From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model results would be very dependent on variations of topography, land use, and soil distribution, as a function of cell size, and the optimum cell size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distributed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A Water Quality Modeling Study of Chunggye Stream during Combined Sewer OverFlow Period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유입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청계천 수질 변화 모델 연구)

  • Yi, Hye-Suk;Park, Seok-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제27권12호
    • /
    • pp.1340-1346
    • /
    • 2005
  • A water quality modeling study was performed for Chunggye stream during combined sewer overflow(CSO) period, utilizing the diagnostic system for water management in small watershed, CREEK-1(Cyber River for Environment and Economy in Korea). This system integrated geog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base, landscape ecological model(FRAGSTATS), watershed model(SWMM), water quality model (WASP5), and computer graphic. In this study, the watershed model and water quality model were extensively utilized so as to simulate water qualities and flow in Chunggye stream during wet periods. The Chunggye stream watershed was divided into 18 sub-basins in the watershed model and the stream reach into 11 segments in the water quality model. The watershed model was validated against field measurements of BOD, TN, TP, and flow at the downstream location, where the model results showed a reasonable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at all parameters. From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stream water quality would change along with elapsed time from rainfall start as well as rainfall intensity. The model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ter quality would significantly upgrade due to the first flush and high sewage ratio of CSO at the beginning of rainfall event, but become degraded along with the runoff increase due to dilution effect.

Application of Moving Design Storm for Rainfall-Runoff Simulation (이동설계강우의 적용성 연구)

  • Oh, Kyoung-Doo;Lee, Soon-Cheol;Ahn, Won-Sik;Jun, Byong-Ho;Ryu, Jae-H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4-248
    • /
    • 2008
  • 홍수량산정과 관련하여 국내 실무에서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문제는 설계강우의 결정이다. 설계강우와 관련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강우의 시간분포(예를 들면 Huff, Mononobe, 교호블록 등), 강우의 공간분포(ARF 적용 등)의 두가지 문제로 집약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우의 시간분포와 공간분포에 관련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호블록형 이동설계강우에 대한 적용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연구된 강우의 이동속도와 여름철 저기압기단과 태풍의 이동속도 등을 감안하고 나아가 표준화된 방법으로서 적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강우의 이동속도 $\upsilonv\;=\;10km/hr$, $\Delta\;=\;10km$ 간격으로 직사각형 띠 형태로 연결되는 이동강우를 채택하였다. 강우의 이동방향은 서$\rightarrow$동, 남$\rightarrow$북, 남서$\rightarrow$북동의 3가지 방향을 기준하였다. 유역특성 이동강우 3가지(서$\rightarrow$동, 남$\rightarrow$북, 남서$\rightarrow$북동)와 정체강우 2가지(유역평균, 유역특성) 등 총 5가지 경우에 대하여 100년 빈도 48시간 설계강우를 한강유역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체강우에 있어서 유역평균강우와 유역특성강우에 대한 홍수량 비교를 통하여 해당 유역의 홍수량과 강우량과의 관계를 판단할 수 있었다. 충주댐유역의 경우 한강유역 전체에 대한 평균 100년 빈도 강우가 내린다면 23,000cms까지도 발생할 수 있으나 충주댐유역 100년 빈도에 해당하는 강우량으로는 18,000cms 정도의 홍수량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강우량이 적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임진강하류부는 한강유역평균강우 보다 더 많은 강우량이 내림으로 인하여 홍수량이 증가하는 유역임을 알 수 있었다. (2) 이동설계강우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유역이 매우 크거나 매우 작으면 강우의 이동방향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감소해가는 반면에 중규모 유역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한강하구와 같은 대유역의 경우 여러 방향의 유역들이 유출에 기여하기 때문에 강우의 이동방향에 대한 영향이 상쇄되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매우 작은 소유역의 경우는 전체 유역이 단일 강우강도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므로 이동방향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정체설계강우와 이동설계강우의 비교를 통하여 한강하구와 같은 대유역의 이동강우에 대한 ARF 효과를 간접 측정할 수 있었다. (4) 정체설계강우 보다 이동설계강우가 오히려 더 큰 첨두홍수량을 발생시키는 유역들이 있었다. 이와 같은 수문현상은 기존 정체형 설계강우로는 분석이 어려운 현상으로서 강우와 유역특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 필용성을 제기하고 있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Overtopping Discharge Reduction for Restricted Water Level of Reservoir During Flood Period (홍수기중 저수지의 제한수위에 따른 월류량 저감효과)

  • Kim, Yong-Kuk;Kim, Young-Sung;Noh, Jae-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2-442
    • /
    • 2011
  • 우리나라는 홍수조절이나 통제를 목적으로 10개의 다목적댐을 통한 홍수방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다목적댐 또한 방류능력과 저류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홍수조절을 위해서는 유입량과 유출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강수량은 그 변동이 심하여 정확한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합리적인 하천 구조물의 설계와 홍수예측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강우-유출 해석뿐만 아니라 과거의 수문자료를 사용한 통계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과거에 겪지 않았던 이상 기후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기상청발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1996~2005) 15개 지점의 평균 연강수량은 1,458.7 m로 약 10 �時貂� 하였고, 특히 여름철은 18 %로 증가폭이 가장 크며 호우일수는 30년 평균이 2일인데 비하여 2.8일로 0.8일 증가하였다. 이러한 강수량 및 호우일수 증가는 여름철 심각한 수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해를 대비하여 홍수기중 저수지 제한수위운영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은 광교저수지로 수원천 상류부인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에 위치한다. 유역면적은 10.98 km, 유효저수량은 250.0 만$m3$이며, 현재 예비취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하류지역의 예상치 못한 홍수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광교저수지 유역의 설계 강수량과 설계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제한수위의 시나리오는 현재 시행중인 제한수위와 만수위를 포함하여 5개로 설정하였다. 설계 홍수량이 광교저수지로 유입될 때 시나리오에 따른 월류량은 웨어공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39년간의 최다 일 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100년 빈도의 설계 강수량을 Gumbel 분포법으로 산정한 결과 344.4 mm임을 알 수 있었다. 2. 광교저수지 유역의 설계 홍수량을 SCS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한 결과 $216.2\;m^3/s$/s로 나타났으며, 총 유입량은 $301.0\;m^3$/day로 파악되었다. 3. 광교저수지로 설계홍수량이 유입될 때 제한수위 시나리오에 따른 최대 방류량은 EL. 87 m의 경우 $23.1\;m^3/s$, EL. 89 m의 경우$27.5\;m^3/s$ EL. 91.36 m의 경우 $79.6\;m^3/s$, EL. 93 m의 경우 $121.1\;m^3/s$ EL. 95.2 m의 경우 $137.`\;m^3/s$이다. 광교저수지 하류부분의 하천정비기본계획상의 설계 홍수량은 $114\;m^3/s$로 홍수기중 저수지의 제한수위는 EL. 91.36 m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