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구

Search Result 52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Factor G for Pipelines with Equally Spaced Multiple Outlets and Outflow (관수로에서 유출수에 따른 마찰계수 인자 G)

  • Anwar Arif A.
    • KCID journal
    • /
    • v.6 no.1
    • /
    • pp.81-87
    • /
    • 1999
  • 등간격으로 된 여러 개의 유출구와 말단의 배출이 있는 관수로에서 G 인자를 유도하였다. G인자는 관수로의 유출구 수에 따라 사용되는 마찰공식의 함수이며, 관의 입구에서부터 첫 번째 유출구까지의 거리가 유출구 사이의 간격과 같을 때 직접 수두손실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관수로 하류 말단부에 배출량이 없을 때에는 G 인자는 잘 알려진 Christiansen의 F인자가 되며, G 인자는 여러 개의 유출구를 가진 관수로의 구간별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 PDF

Assessment of application effect a small sediment trap at field (밭에서의 소규모 침사구 적용효과 평가)

  • Shin, Min-Hwan;Jang, Jeong-Ryeol;Choi, Yong-Hun;Shin, Jae-Young;Choi, Joo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89-893
    • /
    • 2012
  • 전 국토의 약 7.6%를 차지하고 있는 밭은 장마철이나 집중호우에 의해 하천의 탁수문제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수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을 저감시켜야 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을 줄이기 위한 여러 최적관리방법 중 침사구를 밭의 유출부에 적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저감효과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평가 방법은 6개(각 110m2)의 무밭을 조성하여 무 재배기간(2011년 4월부터 7월) 동안 시험포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를 1.125 m3($1.5m{\times}1.5m{\times}0.5m$) 크기의 침사구 3개로 각각 유입되도록 하였다. 침사구로 유입된 유출수는 토양으로 침투 및 저류 또는 증발되도록 하였고, 강우에 의한 유출수의 양이 침사구의 용량보다 클 경우 침사구 유출부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 64.1%의 유출량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질농도는 BOD5 39.0%, SS 62.1%, CODMn 43.4%, DOC 43.5%, T-N 40.0%, T-P 41.2%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출량과 수질농도를 고려한 오염부하 저감효과는 유출량이 적었던 #2와 #3의 침사구에서 모든 수질항목에서 각각 80%와 90% 이상의 저감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밭의 유출부에 작은 웅덩이와 같은 침사구를 설치할 경우 비점오염을 저감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강우유출수가 적을 경우 침사구에 의한 유사량의 저감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줄이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이 밭의 지표를 볏짚이나 다른 피복재 등으로 피복하여 토양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줄여 오염부하량을 저감하고, 유출이 발생할 경우 밭의 유출부에 침사구를 설치하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저감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of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Based on Varied Flow Analysis (부등류 해석에 의한 노면배수시설 설계)

  • Ku, Hye-Jin;Jun,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13-417
    • /
    • 2007
  • 노면배수 시설의 설계를 위하여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한 설계모형을 수립하고 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한 설계결과와 비교하였다. 노면배수시설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지속시간을 가정하여 설계강우를 결정하고 설계변수인 유출구 간격을 가정하여, 호우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홍수의 도달시간이 가정된 지속시간과 유사할 때까지 계산을 반복하여 유출구 간격을 결정한다. 부등류 해석에 의한 수로 흐름 해석은 수로 양단에 유출구를 갖는 수로의 분수계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발생하는 최대수심이 허용수심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로길이를 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므로 등류 해석에 비해 계산과정이 복잡하게 된다. 가상의 노면배수 체계를 설정하고 다양한 수로경사에 대해 노면배수 설계모형을 적용한 결과, 등류해석의 경우 유출구 간격은 수로경사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부등류 해석의 경우 수로경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로경사가 작은 경우 등류 해석보다 부등류 해석을 기반으로 노면배수 시설을 설계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Optimal Designs of Urban Watershed Boundary and Sewer Networks to Reduce Peak Outflows (첨두유출량 저감을 위한 도시유역 경계 및 우수관망 최적 설계)

  • Lee, Jung-Ho;Jun, Hwan-Don;Kim, Jo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2
    • /
    • pp.157-161
    • /
    • 2011
  • Although many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concerning the watershed division in natural areas, it has not been researched for the urban watershed division. If the boundary between two urban areas is indistinct because no natural distinction or no administrative division is between the areas, the boundary between the urban areas that have the different outlets (multi-outlet urban watershed) is determined by only designer of sewer system. The suggested urban watershed division model (UWDM) determines the watershed boundary to reduce simultaneously the peak outflows at the outlets of each watershed. Then, the UWDM determines the sewer network to reduce the peak outflow at outlet by determining the pipe connecting directions between the manholes that have the multi-possible pipe connecting directions. In the UWDM, because the modification of the sewer network changes the superposition effect of the runoff hydrographs in sewer pipes, the optimal sewer layout can reduce the peak outflow at outlet, as much as the superposition effects of the hydrographs are reduced. Therefore, the UWDM can optimize the watershed distinction in multi-outlet urban watershed by determining the connecting directions of the boundary-manholes using the genetic algorithm. The suggested model was applied to a multi-outlet urban watershed of 50.3ha, Seoul, Korea, and the watershed division of this model, the peak outflows at two outlets were decreased by approximately 15% for the design rainfall.

Studies on the Runoff and Soil Loss from Small Agricultural Watersheds with different treatment near Lincoln, Nebraska (처리를 달리한 소농업유역의 유출과 토양유실에 관한 연구 -네브라스카주 링컨 지방을 중심으로-)

  • ;Howard D. Wittmuss;Jos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23 no.1
    • /
    • pp.49-63
    • /
    • 1981
  • 본 연구는 3개의 서로 다른 농지보전처리를 가진 시험구 및 테라스처리가 없는 목초용 Bromegrass 시험구에 있어서의 강우, 유출현상과 토양유실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합리적인 농지보전 대책과 작부체계를 제시코저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강우, 유출 및 토양유실에 관한 분석고찰은 3개의 농지보전 시험구에서는 5년간(1972-1976년)의 자료를 그리고 Bromegrass 목초시험구에서는 3년간(1972-1974년)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3개의 농지보전처리구는 첫째로 Non-terrace에 추경 춘조파형식의 관행법에 의한 비처리구와 둘째로 급역구배 테라스를 가진 초생수로에 가을 수확시 crop residue를 남겨두고 봄에 경작조파하는 Till plant system을 가진 초생수로구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하배수와 함께 역구배 Terrace를 구비한 조파의 Till plant system 을 채용한 배수구를 나누어진다. Bromegrass 처리구는 Terrace나 기타 농지보전책이 없는 목초용 시험구이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기간대의 평균강수량은 네브라스카 링컨 지방의 76년간의 평균치, 728mm보다 66mm가 적은 662mm이였고 1974년과 1975년은 평균치보다. 300mm나 적은 극히 건조한 해 이였으며 1972년과 1976년은 거의 평균강수량에 가까웠고 1973년만은 평균치보다. 240mm나 더 많은 다우년 이었다. 2. 관행의 작부체계를 가진 비처리구에서의 연평균 유출고(2.44cm)는 역구배의 Terrace를 가지고 Till plant system을 채택한 초생수로구의 유출고(2.42cm)와 거의 유사하나 치였다. 3. 배수처리구로부터의 유출은 3개의 농지보전 처리구 중에서 5년간의 평균치가 1.57cm/year로 초생수로구와 비처리구의 유출보다 35%나 적은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4. Bromegrass 목초처리구에서의 유출은 방목정도에 따라서 영향되었다. 1972년의 무방축시 유출은 다른 3개 추리구로 부터의 유출으 7 내지 19%내인 0.07cm 정도였으나 1973년과 1974년의 방축년에는 조차 3개 처리구(3.4-5.18cm)에 필적되는 연평균 4.16cm로 나타났다. 5. 전체 시험구로부터으 연평균 토양유실량은 Sharpsburg 점질양토에 대한 S.C.S 한계허용치 10ton/ha/year 이내로 나타났다. 비처리구에서의 토양유실량은 평균 2.56ton/ha/year로 높게 나타난 반면 3개의 서로 다른 추리구인 비수구, 초생수로구 및 Bromegrass구에서는 각각 0.152, 0.192 및 0.290ton/ha/year로 낮은 결과를 가져왔다. 6. 평균 침전량에 대한 L.S.D. 검정 걸과 전시험구중 비처리구가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낸 반면 비수구, 초생수로구 및 Bromegrass 목초구 간에는 아무런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7. 농지보전 처리구인 배수구와 초생수로구는 비처리구에 비해 낮은 침두 유출량과 낮은 토양유실량을 나타내었다.

  • PDF

Varied Flow Analysis for Linear Drainage Channels (선형 배수로에 대한 부등류 해석)

  • Ku, Hye-Jin;Jun, Ky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8
    • /
    • pp.773-784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flow properties in linear drainage channels such as road surface drainage facilities. The finite difference formulation for the varied flow analysis was solved for flow profiles in the channels. Starting the first step at the control section, the Newton-Raphson method was applied for producing numerical solutions of the equation. We considered two types of linear drainage channels, a channel with one outlet at downstream end and a channel with two outlets at both ends. Moreover, the flow analysis for various channel slopes was performed. However, we considered channels with the two outlets of slopes satisfying the condition that the both ends are the control section. The maximum of those slopes was decided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channel slope and the location of control section. The flow of a channel with one outlet was calculat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control section existing in channel or upward from the control section at downstream end. The flow of a channel with two outlets at both ends were calculated for upstream and downstream channel segments divided by the water dividend, respectively and the flow analysis was completed when the water depth at the water dividend calculated from upstream end was equal to that calculated from downstream end. If the slope was larger than the critical slope, the channel with two outlets was likely to behave like the channel with one outlet. The maximum water depth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calculated additionally from the uniform flow analysis. The uniform flow analysis was likely to lead a excessive design of a drainage channel with mild slope.

A Study on the Smoke Movement by the Opening and Heat Generator Position (개구부와 열원의 위치에 따른 연기이동에 관한 연구)

  • 조성우;이재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6 no.4
    • /
    • pp.7-14
    • /
    • 2002
  •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by effect of an ascending air movement in a local part of the room where heat generated was studied. How the smoke move in the limited parts of the room at which heat generated was studied through 3 cases altering locations of inlet and outlet of ventilated air and heat generated by CFD(Computational Fluids Dynamics) method. It was found that 1. Similar distribution of air velocity, air temperature and smoke concentration appeared in the case of upper left inlet and lower right outlet and the case of lower inlet and upper right outlet. 2. Distribution of temperature and smoke concentration was 0∼0.3, 0.06∼0.14 in the case of lower left inlet and upper right outlet. 3. the location of heat generation did not influence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but influence on the distribution of smoke concentration.

Soil erosion and sediment in the construction area (도로공사지역의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

  • Park, Sang-Deog;Ji, Min-Gyu;Shin, Seung-Sook;Kim, Ho-Sup;Lee, Jong-S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60-1763
    • /
    • 2010
  • 산지환경급변지역에서 집중호우에 의한 다량의 토사유출은 하천유역내 사회기반시설을 파괴하는 재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환경급변지역 중 인위적인 지표교란 지역으로 대표되는 도로공사지역을 선정하여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6월, 7월, 8월의 강우사상별 강우에너지와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강우에너지가 커질수록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토양침식 조사를 위한 조사구에서 토양침식량은 식생요인과 관리상태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일반적으로는 강우에너지 증가에 따라 토양침식량이 증가한다. 도로공사지역에서는 심각한 지표교란뿐만 아니라 선행강우, 세류의 존재 여부, 그리고 외부적 요인들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강우에 대해서도 다량의 토양침식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란이 발생하지 않은 인근 산지의 대조구와 공사에 의한 교란 나지사면 조사구를 비교해보았을 때, 평균 토양침식량은 약 7,352배의 차이를 보였으며, 섬유매트처리 및 사면포장처리 조사구처럼 인공적인 관리를 수행한 조사구와는 약 132배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인공적인 관리를 수행한 조사구는 지표사면관리의 영향과 야생종의 유입으로 지표가 안정되어 나지사면 조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토양침식이 발생하였다. 이는 지표교란이 심한 공사활동 지역에서는 지표특성에 따른 적합한 사면 응급처리 기법의 적용이 중요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from Agroforest Culture Field (산림농업지대에서 식물영양물질의 유출특성)

  • Kim, Eun-Hyeok;Cho, Jae-Yo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7 no.4
    • /
    • pp.331-336
    • /
    • 2014
  • Sediment and nutrient loading caused by the forest to conversion of agricultural lands have led to the deterioration in near water eco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agroforest culture field and open field culture field on water quality and runoff loading of nutrient. The runoff loading of Tot-N and Tot-P in agroforest culture field were similar to open field culture field. The runoff loading of total suspended solids (TSS) in agroforest culture field and open field culture field were $2,721kg{\pm}196/10a$ and $420{\pm}29kg/10a$ in 2011 and $696kg{\pm}59/10a$ and $463{\pm}36kg/10a$ in 2012, respectively. Our investigation showed that the runoff loading of TSS from agroforest culture field decreased when soil cover and soil stabilization increased. Therefore, protect facility of soil erosion for early alteration of agricultural lands are needed to minimize the soil erosion from agroforest culture field.

The Application Assessment of Global Hydrologic Analysis Models on South Korea (전지구 수문해석 모형의 국내 적용성 평가)

  • Son, Kyung-Hwan;Lee, Jong-Dae;Bae, Deg-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2
    • /
    • pp.1063-107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Land Surface Model (LSM) and global spatial and weather data. After selecting the appropriate LSM, we evaluated the calculation ability of the model for dam basins. Based on the global meteorological and topography data, the accuracy of runoff results were analysed to assess the uncertainty of global data. Period analysis was performed to suggest the global data utilization. The model results by using local data a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reflecting the local complex meteorological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accuracy of the simulated results from global data is not good by the uncertainty of meteorological data, it indicated that the accuracy can be improve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runoff analysis over 10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