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계수

Search Result 77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oil Moisture (토양수분량 측정 현황 및 분석)

  • Lee, JungHoon;Jang, Eunse;Lee, YeonKil;Kim, SangHyu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23-223
    • /
    • 2016
  • 수문 순환과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규명될 수 있다. 특히 국내 지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 사면에서 토양수분량 측정은 물순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수문자료의 다양화 목적을 가지고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TDR) 장비를 이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2015년 3월부터 12월까지 측정을 수행하였다. 관측지점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의 설마천 유역 내에 위치한 감악산내 범륜사 주변 사면과, 충청북도 음성군의 청미천 유역내의 수레의산 산지 사면에서 수행하였다. 관측소에서 측정된 토양수분량 자료는 토양수분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양수분량의 통계분석(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를 수행하였다. 설마천유역의 설마천 관측소에서는 2015년 강수량이 적어 2014년의 토양수분량 평균값보다 낮게 측정되었다(평균 12.96%, 표준편차 2.2%). 청미천유역의 청미천 관측소에서도 설마천관측소와 마찬가지로 과거보다 적은 강수량이 발생하였지만, 설마천 관측소와는 다르게 안정적인 토양수분 평균값을 유지하는 것은 설마천 관측소 보다 토양층이 발달하고 토성의 점토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미천 관측소의 토양수분량은 평균 24.3%, 표준 편차 1.7%로 나타났다.

  • PDF

An Comparative Study on Effect of Inundation Reduction in Urban Area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 of the Side Weir(Fixed Weir-Movable Weir) (횡월류위어 가동방식(고정보-가동보)에 따른 도시지역 침수피해 저감 효과 비교 분석)

  • Sung, Bok Kyeong;Yoon, Tae Hyung;Hwang, Sung Hwan;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10-510
    • /
    • 2015
  • 우리나라는 1960년대 경제개발에 의한 산업화 이후, 토지이용이 꾸준히 확대되어 왔으며, 이로 인해 불투수면적 증가하였고, 배수시설의 확장은 표면조도계수 및 침투율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우수 및 오수의 유출속도가 증가하여 홍수방어능력이 감소하였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피해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현재 이에 대한 대응능력을 갖추기 위한 치수대책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으나 주로 홍수량을 줄이기 보다는 증가하는 홍수량을 처리하기 위한 하천정비, 하수관, 유수지 및 펌프장 증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하천 하류의 홍수량을 증가시켜 하천주변에 침수피해를 일으키고 있어 보다 항구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유역에 침수가 발생할 시 횡월류위어 가동방식(고정보-가동보)에 따라 미치는 침수영향에 대해 저류조 유입특성(총 유입량, 유입유량 첨두치), 침수지역 침수특성(첨두유량, 첨두수위, 첨두유속, 침수면적, 월류시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저류지 설치에 따른 횡월류위어 가동방식 선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Estimation of streamflow depletion from groundwater pumping using Hunt's analytical solution (Hunt 해석해를 이용한 지하수 양수에 따른 하천수 감소량 산정)

  • Lee, Jeongwoo;Chung, Il-Moon;Kim, Nam Won;Lee, Mi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7-327
    • /
    • 2016
  • 하천 인근에서 지하수를 채수할 경우 지하수위 저하로 인해 하천으로의 지하수 유출이 감소하거나 하천수가 역으로 지하수계로 유입되어 하천수 감소(stream depletion)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지하수 양수로 인한 하천수 감소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지 계측, 수치해석 모델링, 해석해 적용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해석해를 이용하는 방법은 실제 하천수-지하수 연계시스템을 단순화한 조건에서 유도되었다는 단점이 있지만 비용이나 시간적 측면에서는 가장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Hunt(1999)가 개발한 해석해를 전산프로그램화하고 이를 하천변에 위치한 실제 지하수 관정 109개에 적용하여 양수로 인한 지하수위 강하 및 하천수 감소량을 산정하여 대수층 및 하천의 수리특성, 하천과 관정간의 이격거리에 따른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Hunt 해석해로 양수 시간에 따른 하천수 감소량을 계산한 결과, 양수후 5년 뒤에는 지하수 양수량 대비 하천수 감소량의 비율이 80%를 초과하는 관정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리확산계수가 $1,000m^2/d$를 넘고 하천고갈인자(Stream Depletion Factor, SDF)값이 100 보다 작은 범위에서는 양수의 영향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Estimation of the Social Benefits from the Water Quality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Artificial Flood by Dam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의 사회적 편익추정)

  • Choi, Hanju;Ryu,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8-78
    • /
    • 2016
  • 다이옥산, 페놀 등의 오염물질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사건 유형에 따라 단수로 인하여 국민들이 불편 겪거나 및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수질 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를 통해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는데 기여하여 단수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겪을 수 있는 불편을 방지하여 소비자효용의 감소를 줄이고, 안전성측면에서 수자원에 대한 소비자효용을 증가시키는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주도 제외 전국 1,000 가구를 대상으로 한 일대일 개별면접 방식의 설문조사 수행하여 자료를 얻었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가구당 WTP의 대푯값을 추정하기 위해 KDI의 CVM 분석지침(2012)을 적용하였다. 수질오염사고 발생시 댐 추가방류에 대한 대푯값 WTP는 2,132.7(원/년/가구)로 추정되었다. 또한 추정결과 상수항 및 제시금액 항의 추정계수는 1.1451(t-값 5.83)와 -0.7286(t-값-5.54)로 모두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설문조사가 제대로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에는 수질개선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존재하지만 댐 추가방류를 통한 수질오염사고 해소 편익 등과 특정사안에 대한 연구들은 존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수질 오염 사고로 인한 댐 추가방류의 가치에 대한 선제적인 연구로서 방법론적인 지침과 향후 수자원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정량적인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rought Characterization Using a Generalized Complementary Principle of Evapotranspiration (증발산 상호보완이론을 이용한 실제증발산기반 가뭄해석)

  • Chun, Jong Ahn;Kim, Dae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0-38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상호보완이론(Generalized Complementary Relationship, GCR)을 활용하여 실제증발산량을 추정하고, 추정한 실제증발산량기반 가뭄지수로부터 미국 전역에 대한 가뭄을 해석하는 것이다. 월강수량, 최고 최저기온, 이슬점온도 등의 필요한 기상자료는 Parameter-elevation Relationships on Independent Slopes Model(PRISM)으로부터 수집하였으며, 1981년부터 2015년까지 총 35년의 미국 전역에 대한 실제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대상지역의 유역평균 강수량과 유출량의 차(P-Q)와 North American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NLDAS-2) Noah 지표모형(Land surface models)으로 산정한 실제증발산량과 비교 검증하였다. GCR로부터 증발산 부족량(ET Deficit, ETD)을 산정하고 이를 표준정규화하여 미국 전역에 대해 Standardized Evapotranspiration Deficit Index(SEDI)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GCR 기반 실제증발산량은 P-Q의 값과 상관계수가 0.94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NLDAS-2 Noah모형의 실제증발산량보다 다소 크게 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SEDI와 Standard Precipitation Index(SPI)의 상관성은 지속시간이 클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 증발산 상호보완이론활용 실제증발산기반 SEDI이 강수자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적절한 가뭄해석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for Diffusion of Oil Spill in the Ocean 1 -Thre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irculation in the Nearly Closed Bay- (해양유출기름의 확산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I- 폐쇄만에서의 3차원 흐름특성분석 -)

  • Lee, J.W.;Kim, K.C.;Kang, S.Y.;Doh, D.H.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11 no.2
    • /
    • pp.241-255
    • /
    • 1997
  •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circulation patterns in the Gamcheon Bay located in Pusan, Korea and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model is forced by winds, tidal elevation at open boundaries, and warm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fall of power plant, Turbulence mixing coefficients are calculated according to a ${\kippa}-{\varepsilon}$ turbulence closure submodel. Temperature, salinty and current are measuted extensively and these measuted data are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results. Eddy-like features exist both in observed data dna simulation results. These eddies are the results of interaction with the weak tidal current, wind driven current and warm water discharges. Compensational deeects are also found to exit such that while surface current is strong, bottom current tends to weaken and vice versa.

  • PDF

Evaluation of Soil Loss Reduction Efficiency by Restoring illegally cultivated agricultural fields in Mandae District (만대지구 고랭지밭 복구에 따른 토양유실량 저감 효과 평가)

  • Lee, Gwanjae;Hong, Jiyeong;Lee, Seroro;Yang, Dongseok;Bak, Sangjoon;Choi, Yonghu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8-358
    • /
    • 2022
  • 비점오염물질 중 토사는 강우유출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영양물질과 중금속을 비롯한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흡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북한강 상류 유역의 만대지구에서는 고랭지밭에서 다량의 토사가 발생하여 하류수계의 수질 및 수생태계에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에 한국의 환경부에서는 Web GIS 기반의 고랭지밭 GIS시스템을 개발하여 고랭지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다. 고랭지밭 GIS시스템은 고랭지밭에 대한 DB를 구축하여 국유지, 시·도유지 중에서 임대허가를 받지 않고 경작을 하는 임의/불법경작지를 분석한다. 만대지구의 임의/불법경작지는 3.57 km2 으로 전체 경작지 면적의 약 20.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불법 경작지가 복구되었을때의 토양유실량 저감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SWAT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MUSLE 공식의 지수 및 계수를 수정하여 토양유실량을 보정하였다.

  • PDF

Nutrient Load Balance in Large-Scale Paddy Fields during Rice Cultivation (경지 정리된 광역 논에서 영양물질 수지와 배출 특성)

  • Kim, Min-Kyeong;Roh, Kee-An;Lee, Nam-Jong;Seo, Myung-Chul;Koh, Mun-Hwa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8 no.3
    • /
    • pp.164-171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ad of nutrient from paddy fields. Water management practices that can reduce eutrophication and meet water quality requirements will also be addressed. Continuous monitoring from May to September in 2002 and 2003 was conducted for water quantification and qualification at the intensive paddy fields in Icheon, Gyunggi province of Korea. Water balance and concentration vari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water were independently compared for water quality assessment at each rice cultivation period. Rice land preparation and transplanting periods usually marked the highest water demand when compared to other periods of cultivation. Overall, a greater net irrigation ratio was observed during the transplanting period in 2002 (92.3%) and 2003 (87.2%). The measured total N loads of precipitation, irrigation, drainage, and percolation during the rice cultivation period were 9.9, 41.6, 22.1, and $5.5kg\;ha^{-1}$ for 2002 and 15.8, 55.4, 17.3, and $7.5kg\;ha^{-1}$ for 2003, respectively. The measured total P loads of precipitation, irrigation, drainage, and percolation during the rice cultivation period were 2.1, 13.0, 3.6, and $1.8kg\;ha^{-1}$ for 2002 and 1.6, 15.0, 5.0, and $1.2kg\;ha^{-1}$ for 2003, respectively. Daily nutrient load followed the pattern of surface drainage water, but this pattern was changed by rainfall events. The nutrient load in drainage water depends on rainfall and surface drainage water amount from the paddy fields. Interestingly, the load of total N and total P output was smaller than the input load due to the natural infiltration that Occurred during the rice cultivation period. It is concluded that the paddy fields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ecosystem and can reduce eutrophication in the water.

Impacts assessment of Climate changes in North Korea based on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II. Impacts assessment of hydrologic cycle changes in Yalu River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북한지역의 수문순환 변화 영향 평가 II. 압록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변화 영향 평가)

  • Jeung, Se Jin;Kang, Dong Ho;Kim, Byung S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spc
    • /
    • pp.39-5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hydrological cycle at a basin level in North Korea. The selected model for this study is MRI-CGCM 3, the one used for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 Moreover, this study adopted the Spatial Disaggregation-Quantile Delta Mapping (SDQDM), which is one of the stochastic downscaling techniques, to conduct the bias correction for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application and postapplication of the SDQDM supported the study's review on the technique's validity. In addition, as this study determined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on the hydrological cycle, it also observed the runoff in North Korea. In predicting such influence, parameters of a runoff model used for the analysis should be optimized. However, North Korea is classified as an ungauged region for its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it was difficult to collect the country's runoff observation data. Hence, the study selected 16 basins with secured high-quality runoff data, and the M-RAT model's optimized parameters were calculated. The study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for basin characteristics to consider multicollinearity. Then, based on a phase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developed an equation to calculate parameters for ungauged basin areas. To verify the equation, the study assumed the Osipcheon River, Namdaecheon Stream, Yongdang Reservoir, and Yonggang Stream as ungauged basin areas and conducted cross-validation. As a result, for all the four basin areas, high efficiency was confirmed with the efficiency coefficients of 0.8 or higher. The study used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parameters of the estimated runoff model to assess the changes in hydrological cycle processes at a basin level from climate change in the Amnokgang River of Nor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climate change would lead to an increase in precipitation, and the corresponding rise in temperature is predicted to cause elevating evapotranspir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torage capacity in the basin decreas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flow duration indicated a decrease in flow on the 95th day; an increase in the drought flow during the periods of Future 1 and Future 2; and an increase in both flows for the period of Future 3.

Adsorption and movement of Alachlor and Chlorothalonil in the representative soil of Cheju Island (제주도 대표 토양에서 Alachlor와 Chlorothalonil의 흡착과 이동 연구)

  • Hyun, Hae-Nam;Oh, Sang-Sil;Yoo, Sun-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4 no.2
    • /
    • pp.135-143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coefficients, and movement of alachlor(2-chloro-2', 6'-dimethyl-N-(methoxymethyl) acetanilide) and chlorothalonil(tetrachloroisophthalonitrile) for the 3 soils sampled from major soil groups in Cheju Island. Namwon, Jeju, and Mureng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as black volcanic ash soil, dark brown volcanic ash soil and dark brown nonvolcanic soil, respectively. Organic carbon content and CEC of Namwon soil were very high and those of Mureung soil were very low. Linear and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s were the best to fit the adsorption of alachlor and chlorothalonil in the soils. K value, Freundlich coefficient, of alachlor for Namwon soil was 21.38, being 5.4 and 97.2 times higher than that for Jeju and Mureung soils respectively. The values of chlorothalonil for the soils were similar to those of alachlor but were much higher than them. When Mureung, Jeju and Namwon soil columns were leached with a solution containing 10.25 mg/l of alachlor and 1.50 mg/l of chlorothalonil, alachlor was first detected at 0.265, 0.47, and 1.86 pore volume (PV) and chlorothalonil was 3.71, 4.7 and 17.5 PV, respectively. The pore volumes at $C/C_o=1$ of alachlor in the leachates from Mureung, Jeju and Namwon soil columns were 1.1, 3.7 and 6.6 PV and those at $C/C_o=0.2$ of chlorothalonil were 7.5, 8.5 and 27.5,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deceasing order of the mobility of the chemicals in soils was Mureung soil>Jeju soil${\gg}$Namwon soil. The pore volumes detecting $C/C_o=0.5$ of alachlor and $C/C_o=0.05$ of chlorothalonil in leachat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coefficients for the soi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