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계수

Search Result 77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unoff Characteristics Change of a Basin under Urbanization (도시화 진행에 따른 유역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Son, Kwang-Ik;Kim, Min-Ch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4
    • /
    • pp.89-93
    • /
    • 2010
  • It is well known that the drastic change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 urbanized basin causes severe runoff, sediment yield, and peak flow. High vulnerability of urban flood disasters is caused by land-use change and development of a basin. A typical site suffering urbanization was selected and the experimental site has being operated last three years. Hydrological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urbanizing basin were examined by observation of runoff, sediment loads and precipitation with T/M. The effects of land-use change were analyzed by examination of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un-off ratio (runoff volume/rainfall volume), sediment yields. Runoff coefficient of rational equation was increased as basin was urbanized. Suspended sediment yields due to a urban development activities were raised almost 10 times compare to undisturbed condition for small runoff less than 1 cms. Meanwhile, no big change could be detected for bed loads.

Performance of Pressure Swirl Injector using Screw Type Swirler for Combustor in a Supersonic Engine (Part I. Performance of Control Group Injector) (초음속 엔진용 연소기를 위한 스크류형 선회기를 장착한 압력선회형 인젝터의 성능(Part I. 기준 인젝터의 성능))

  • Hwang, Yong-Seok;Lee, Jang-Woo;Lee, Sang-Youn;Jeong, Hae-Seung;Yoon, Hyun-Gul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3
    • /
    • pp.258-263
    • /
    • 2008
  • Performance of injector equiped with screw type swirler which is suitable for supersonic cruise engine combustor was investigated using theoretical, numerical, and experimental methods. Based on discharge coefficient and spray angle which represent the performance of injectors, the geometrical parameters which affect these performance parameters were defined, control group injectors were designed, and variation of performance parameters according to the geometrical parameters were examined. Within the defined range, measured value of performance of injectors was smaller than result of theoretical prediction, and prediction result from numerical simulation using VOF method agreed with the result of experiments very well. The viscous barrier was not observed, and minimum discharge coefficient and maximum spray angle, 0.05 and 104 respectively, was obtained for this type of injector.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geologic parameters in SWAT-MODFLOW model (SWAT-MODFLOW 모형의 수리지질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 Kim, Nam-Won;Chung, Il-Moon;Lee, Jeong-Woo;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24-828
    • /
    • 2006
  • SWAT-MODFLOW 모형은 물리적 기반의 준 분포형 모형인 SWAT모형의 지하수 모듈을 분포형 모형인 MODFLOW로 대체하여 하천과 대수층간의 수위차이에 따른 물교환량으로 지하수 유출량을 결정하는 완전 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이다. 이 모형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유역자료, 기상자료, 하천특성자료, 토지 이용자료, 토양자료, 작물자료, 지하수자료 등 다양한 입력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입력 자료의 변동양상에 따라 모형의 결과가 크게 다르게 나타나므로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모형의 반응을 분석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유출해석을 담당하는 MODFLOW 모형의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 변화에 따른 모형의 반응을 검토하였다. SWAT-MODFLOW 모형을 경안천 유역에 적용하여 투수계수, 저류계수, 하상수리전도도 등의 주요 수리지질학적 매개변수가 지하수 유출현상에 미치는 증감과 변화율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역출구점에서의 연평균 지하수유출량의 변화,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에 따른 지하수 유출량 시계열의 변화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A Tank Model Shell Program for Simulating Daily Streamflow from Small Watersheds (Tank모형 쉘프로그램을 이용한 중소하천의 일유출량 추정)

  • 박승우
    • Water for future
    • /
    • v.26 no.3
    • /
    • pp.47-61
    • /
    • 1993
  • A menu-driven shell program DSFS (Daily Streamflow Simulation Model), that can process the input data, optimize the parameters, execute the program, and graphically display the results of a modified tank model,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imulating daily streamflow from small watersheds. The model defines daily watershed evapotranspiration losses from potential values multiplied by monthly landuse coefficients and correction factors for soil water storage levels. The parameters were calibrated using observed hydrologic data for fifteen watersheds, and th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watershed parameters to define empirical relationship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streamflow data of ungaged conditions, and the simulation results overestimated the annual runoff.

  • PDF

The Applicability of KIMSTORM2 for Flood Simulation Using Conditional Merging Method and GPM Satellite Rainfall Data (조건부 합성기법과 GPM 위성강우자료를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2의 홍수모의 적용성 평가)

  • Kim, Se Hoon;Jung, Chung Gil;Jang, Won Ji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1-11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건부 합성 기법(Conditional Merging, CM) 기법을 활용하여 GPM(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위성 자료를 보정하고, 이를 격자기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2, KIMSTORM2)에 적용하여 보정된 자료의 효율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모형의 유출 해석은 남강댐 유역($2,293km^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 10월에 발생한 태풍 차바에 대하여 GPM 자료와 CM 기법을 적용한 GPM 자료를 각각 활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 때, 강우자료의 보정은 유역 내 위치한 21개 지점의 지상강우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각각의 위성강우자료에 유출 검보정은 남강댐 유역 내 3개의 수위관측 지점(산청, 창촌, 남강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출 결과는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모형 효율성 계수(Nash-Sutcliffe efficiency, NSE) 및 유출용적지수(Volume conservation index, VCI)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지상강우자료와 CM 기법을 통해 보정한 강우자료는 대기의 많은 영향을 받는 위성자료의 특성을 보정하여 공간유출 및 첨두유출을 합리적으로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Influence of drainage density on rainfall-runoff in urban area (도시유역의 배수 밀도가 강우-유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inwoo;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9-379
    • /
    • 2018
  •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폭우발생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역 차원에서 도시화와 산업 개발로 인한 불투수면적 증가는 내수침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불투수면적이 높고 인구와 건물이 밀집되어있는 도시유역에서의 내수침수는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도시유역의 불투수층에 내린 강우는 지표면을 따라 흐르다가 대부분 우수관으로 유입되어 유역에서 배출된다. 그러므로 도시 우수관의 설계빈도를 결정하고 설계홍수량을 결정하는 일은 도시 홍수 저감을 위한 구조적인 대책 중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또 가장 중요한 대책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홍수피해가 빈번히 발생했던 도시유역들 중 유역면적과 우수관망의 구조가 다른 7개의 도시를 선정하여 다양한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해석을 실시하였다. 서울과 부산 기상관측소에서 관측된 1975년부터 2015년까지의 강우자료에 대한 EPA-SWMM 모형에서의 유출해석 결과 첨두강우량의 변화에 따른 첨두유출량의 변화를 선형회귀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모형의 결정계수와 95% 신뢰구간, 변동계수를 비교하였고, 수계밀도개념을 적용하여 첨두유출량의 변화를 해석한 결과, 우수관망이 조밀하게 건설되어 배수밀도가 높을수록 증가된 첨두강우량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첨두유출량의 예측이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우수관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른 유출 응답 속도를 고려하여 우수관을 설계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우수관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avitating Flow in an Impinging-type Injector (충돌형 분사기 내의 캐비테이션 유동)

  • Jo, Won Guk;Ryu, Cheol Seong;Lee, Dae 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5
    • /
    • pp.80-86
    • /
    • 2003
  • An anaysis on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an impinging-type injector for cavitating flow has been conducted by both numerical and experimental method. The predicted discharge coefficient for cavitating flow agrees well with the measured data showing less than 1% discrepancy. For the case of non-cavitating flow analysis, the disagreement between CFD results and the experimental data is 8%. The discharge coefficient for the cavitating flow decreases with decrease in the Reynolds number. On the other hand, it increases slightly as the Reynolds number increases for the non-cavitating flow because of the reduced viscous effect. From the present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fact that cavitation phenomena should be included to predict accurately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injectors for cavitating flow regime. The uniformity of density and velocity magnitude degraded at the injector exit, and the secondary flow strength through the injector orifice accentuated due to cav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