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착성 관절낭염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1초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 동반된 회전근 개 병변 (Pathology of the Rotator Cuff in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 유재철;안진환;김재훈;장문종;서희수;설은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31
    • /
    • 2007
  • 목적: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된 환자들에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자기 공명 관절 조영술(magnetic resonance arthrography, MRA) 및 초음파 (ultrasonography, USG)를 이용해 평가해 보았으며, 검사 소견에 있어서 MRA 및 USG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으로 진단한 연속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무작위로 나누어 MRA 혹은 USG를 시행하였으며,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에서 극상근을 중심으로 한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여섯 예(MRA 4, USG 2, 8%)에서 극상근에 소규모(1cm 이하)의 전층 파열을 보였으며 극상근의 부분 파열은 21예(MRA 12, USG 9, 26%)에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극상근의 건 병증(tendinopathy)이 15예(MRA 7, USG 8, 19%)에서 관찰되어, 총 42예(53%)에서 극상근 병변을 동반하고 있었다(MRA 23, 68% USG 19, 41%). 견갑하근의 부분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9예(MRA 6, USG 3, 11%)로 관찰되었다. 두 군간 극상근 병변의 동반 정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견관절 유착성 관절 낭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한 MRA 또는 USG검사 상, 약 반 수(53%)의 환자들에서 극상근의 병변이 동반된 소견을 보였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USG군 보다 MRA군에서 다소 높은 회전근 개 병변의 동반소견을 보였으며 이는 MRA가 USG보다 해상도가 더 뛰어 난 데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견관절 난치성 유착성 관절 낭염에서 관절경 하의 관절낭 유리술 (Arthroscopic Capsular Release in Refractory Adhesive Capsulitis of the Shoulder)

  • 고상훈;조성도;최승원;정지영;정광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9-114
    • /
    • 2004
  • 목적: 견관절의 난치성 유착성 관절 낭염에서 관절경 하 관절낭 유리술의 임상 결과를 평가하고 유효성을 증명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의 난치성 유착성 관절 낭염에서 1년 이상의 보존적 가료에 실패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적 가료를 시행하였으며 술후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한 2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년 1개월(1년-5년)이었다. 통증에 대한 VAS(visual analog scale)를 측정하였고 일상 생활 지수(ADL, Activity of dailv living)를 측정하였으며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견관절 평가법을 이용하여 기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술전과 술후 6개월 및 1년에 측정을 반복하였고 이후 1년 마다 측정하였다. 최종 추시 시기에 역시 VAS of pain, ADL, UCLA점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VAS는 술전 평균 8점에서 술후 평균 1점으로 향상되었고, ADL은 술전 평균 7점에서 술후 평균 26점으로 향상되었다. UCLA 지수는 술전 평균 8점에서 술후 평균 34점으로 향상되었다. 전방 거상은 술전 평균 75도에서 술후 평균 175도로 향상되었으며, 측방 외회전(E/Rs, External Rotation at Side)은 술전 평균 4도에서 술후 평균 52도로 향상되었고, 외전은 술전 평균 60도에서 술후 평균 170도로 향상되었다. 후방 내회전(1/Rp, Internal Rotation at posterior)은 술전 대퇴부에서 부터 요추 3번 극돌기 부위까지로 감소되었으나 술후 7번 흉추 극돌기에서 부터 9번 흉추 극돌기 부위 까지로 향상되었다. 결론: 견관절의 난치성 유착성 관절 낭염에서 1년 이상의 보존적 가료에 불응성인 경우 관절경하의 관절낭 유리술은 유효한 치료 방법 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견관절 관절강내 주사의 정확성과 임상적 결과: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견봉 쇄골 접근법 (Accuracy and Clinical Outcomes of Ultrasound-guided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Acromioclavicular Approach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 이상훈;황석민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4
    • /
    • 2012
  • 목적: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관절와 상완 관절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한 후 주사요법의 정확성이 임상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임상적으로 유착성 관절낭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외상이 없고, 약물 치료 및 물리 치료를 받았으나 만족할 만한 호전을 보이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총 33명으로 남자 15명, 여자 18명으로 평균 연령은 55.1세(42~72세)였다. 이를 대상으로 견봉 쇄골 접근법을 통해 스테로이드 칵테일 10 ml(triamcinolone 1 ml(40 mg/ml), lidocaine 4 ml(2%), normal saline 5 ml)와 조영제 5 ml ($Telebrix^{(R)}$, Guerbet, France)를 주입하였으며, 이후 바로 방사선 촬영을 시행하여 주사의 견관절 관절강 내 주입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정확히 들어간 경우, 부분적으로 들어간 경우 그리고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경우로 3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군에서 주사요법 전, 후 수동적 운동범위 및 VAS score를 이용한 통증 완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33례 중 25례(76%)에서 조영제가 정확히 관절강 내로 주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례(18%)에서는 관절강에 부분적으로 조영제가 관찰되었고, 2례(6%)에서는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에서 관찰되었다.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정확히 들어간 군은 시행 전 굴곡은 평균 111도(80~140도), 외회전은 48도(0~90도)였고, 시술 후 굴곡은 평균 134도(90~150도), 외회전은 70도(30~90도)로 호전되었다(p<0.01). 그리고 조영제가 관절강내로 부분적으로 들어간 군은 시행 전 굴곡은 평균 120도(90~150도), 외회전은 70도(10~90도)였고, 시술 후 굴곡은 평균 139(135~140도)도, 외회전은 78도(50~90도)로 호전된 결과가 관찰되었다(p<0.01). 조영제가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군은 환자수의 부족으로 통계적으로 의미를 갖지 않았다. 시술 전, 후 VAS 점수의 변화는 조영제가 관절강 내로 정확히 들어간 군은 7.1점(3~9점)에서 2.6점(0~5점)으로 호전되었고(p<0.01), 부분적으로 들어간 군은 7.5점(7~9점)에서 3.3점(2~4점)으로 호전되었고(p<0.01), 관절강 바깥으로 들어간 군은 7.5점에서 2점으로 호전되었다. 또한 당뇨 환자군과 비 당뇨 환자군을 비교한 결과 임상적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모두 호전되었다. 결론: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서 초음파 하에 견봉 쇄골 접근법을 통한 견관절 관절강 내 스테로이드 주사는 기존의 방법들보다 좋은 정확도(94%)를 보고하였으며, 이 중 관절강 바깥으로 새어나간 군과 새어나가지 않은 군 간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외상 후 유착성 견관절낭염 환자에서 관절가동술을 병행한 슬링 운동치료의 효과 :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with Combined Exercise Therapy of Sling on Post-traumatic Adhesive Capsulitis Patient: A Case Report)

  • 권원안;김연정;권혜미;김은지;박우경;신혜원;오정익;우정희;이다혜;이은정;정은주;정재영;정현경;최보영;허은영;이재홍
    • PNF and Movement
    • /
    • 제10권2호
    • /
    • pp.9-16
    • /
    • 2012
  • 본 연구는 43세 남성 환자의 관절가동술과 슬링을 이용한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치료사례를 조사하여 그 과정과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깨통증장애지수(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측정과 어깨관절의 굽힘(flexion), 벌림(abduction), 바깥돌림(external rotation), 안쪽돌림(internal rotation)에 대한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견관절 주위에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 주사 1회, 약물치료를 병행하며 주 3회 8주간 보존적인 물리치료인 온습포(hot pack)와 간섭파(ICT), 관절가동술, 그리고 슬링을 이용한 운동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관절가동술과 슬링운동치료의 적용이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통증을 줄이고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견관절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한 관절강 내 봉약침 적용 1례 (A Case Report of Intra-articular Bee Venom Pharmacopuncture for Adhesive Capsulitis)

  • 권오곤;이윤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99-103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port a case of adhesive capsulitis treated by intra-articular bee venom pharmacopuncture. Methods : Patient was treated by intra-articular bee venom pharmacopuncture four times during two weeks, and after that the patient had intermission period for 2 weeks. The same treatment was administered four times during two weeks after the intermission. The effect of treatment was evaluated by visual analog scale(VAS), range of motion(ROM). Results : After treatment, VAS score declined from 7 to 4, ROM increased. Conclusions : Intra-articular bee venom pharmacopuncture was effective for adhesive capsulitis.

견관절의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 대한 자가신장운동의 효과 (The Effect of Self Stretching Exercise in Patients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 서병도;신형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1호
    • /
    • pp.19-2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 a self stretching exercise (SSE) maintained below the level of pain with (b) physical therapy (PT) performed without pain limitation in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Methods: Forty-three subjects with frozen shoulder were recruited.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 an experimental group (SSE group, $n_1=18$) and a control group (PT group, $n_2=25$). The duration of each intervention was five weeks. We assessed night pains, range of motion (ROM), and shoulder function. Results: Overall, subjects in both groups improved over five weeks (p<0.05). The change in the PT group was greater (p<0.05) Conclusion: SSE carried out under the pain threshold may be used to treat patients with adhesive capsulitis SSE can be prescribed with PT as part of a home program or of group management.

관절경을 이용한 재발성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Recurrent Prepatellar Bursitis)

  • 경희수;김희수;황준경;인주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3-187
    • /
    • 2002
  • 목적 : 재발된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관절경적 절제술의 수기 및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1년 3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4례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6개월에서 20개월로 평균 14 개월이었다. 원인으로는 급성외상이 3예, 반복적인 경미한 외상에 의한 것이 1예이었다. 모두 타 병원에서 천자 흡입, 스테로이드 주입, 압박 붕대 처치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 후 일부 호전을 보이다가 재발한 경우이었으며, 1례는 수술적 치료를 받은후 재발한 예이었다. 수술 방법은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점액낭을 팽창시킨후 4 mm 직경의 관절경을 위한 삽입구를 점액낭에서 약 1 cm 떨어진 곳에 피부 천자를 가하여 위치하게 한다. 점액낭의 절제는 피하부위를 먼저 절제하고, 깊은 부위를 나중에 절제하였다. 점액낭 상층 피부와 점액낭의 심부 조직간을 같이 묶는 몇 개의 경피적 연차봉합(percutaneous mattress suture)을 하고, 압박 처치를 술 후 2주까지 유지하였다. 결과 : 종창의 재발과 동통 및 압통의 종상 없이 4례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합병증으로는 2례에서 피부-점액낭 하부조직의 봉합 부위에서 경미한 유착에 의한 피부 함몰이 관찰되었다. 결론 :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관절경적 절제술은 재발성 슬개골전 점액낭염의 치료에 새로운 수술 수기로 사료되며 재발에 대한 장기간의 추시가 요구된다.

  • PDF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 대한 테이프 적용이 관절가동범위와 통증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ping Therapy on the ROM and VAS in Adhesive Capsulitis)

  • 이문환;오성태;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5권3호
    • /
    • pp.223-23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aping therapy for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40, male 18, female 22, average age was 59 years ol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aping therapy, we sampled 20 patients treated with H/P, electrical therapy and scapular pattern & hold-relax technique of PNF(control group), and 20 patients treated same as control group with taping therapy(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houlder 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 and VAS in both group(P<0.05). 2.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houlder flexion and external rotation(P>0.05), but abduction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aping group and non-taping group(P<0.05). 3. VAS was observ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3rd and 4th post treatment(P<0.05). These results are imply that taping therapy has a effectiveness of shoulder motion and VAS for adhesive capsulitis.

  • PDF